>'''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목차] == 개요 == [[김성모]] 화백이 만든 새로운 한국어 [[문체]]다. 말 끝에는 마침표 대신 물음표를 붙이는 어체다. 처음에는 [[김성모]]의 작품에서 약간씩 나왔던 [[말투]]다. 단순히 부호를 잘못 쓴 것 같지만, 나중에 [[디시인사이드]] [[김성모 갤러리]]에서 '근성체'라는 하나의 어체로 확립해 일반인들에게 널리 퍼져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근성체를 쓰게 되었다. 근성체와 상반되는 것은 의문문에다가 [[물음표]]가 아닌 [[마침표]]나 [[느낌표]]를 넣는 것이다. == 어원 == [[김성모]] 화백이 자주 주장하는 "근성이 최고다?"라는 발언으로 인해 김성모체는 근성체로 변형되었다. 가끔 김성모 화백도 근성모로 부르기도 하며 [[김성모 갤러리]]는 근성갤로 불리우고 있다. 작가의 말로는 [[군대]]식 말투라고. ?를 붙여서 묻는 것 같은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그 실체는 [[답정너]]라는 게 딱 군대식이다. 고전 시가의 "-ㄴ다"는 의문형 어미였다.(2인칭 청자에게 질문을 할 때 쓰였다.)[* 홍길동전에서는 "네 무삼 흥(興)이 있어 야심(夜深)하도록 잠을 자지 아니하는다?”라는 표현이 나온다 ] 그리고 [[정지용]] 시인도 '[[장수산#장수산 I|장수산1]]'이라는 작품에서 근성체를 쓴다. >달도 보름을 기달려 흰 뜻은 한밤 이 골을 걸음이랸다? 웃절 중이 6판에 6번 지고 웃고 올라간 뒤 조찰히 늙은 사나이의 남긴 내음새를 줍는다?[* 본문 중 발췌다. 다만 정지용의 장수산1은 예스러운 어체가 특징이므로 고전시가와 마찬가지로 -ㄴ다가 의문형으로 쓰인 것으로 보는 것이 맞다.] == 사용법 == ||<(> * 기본적으로 문장이 끝날 땐 마침표가 아닌 물음표를 붙인다? 느낌표도 물음표로 바꾼다? [[http://magicarp.egloos.com/3113009|그러니까 이런 것이다?]] * 질문할 땐 물음표를 느낌표로 바꾼다? (예문:철수야, 밥 먹었니? ▶ 철수야, 밥 먹었니!) * 보통 반말을 쓰고 가끔 존댓말을 쓸 때도 있다? * 상대를 부를 때는 'XXX 가이'라는 호칭을 붙인다? * 진심으로 감탄하고 싶을 때는 '우와아아앙!'이라는 관용구를 붙인다? * 무언가를 호칭할 때는 '저,저거!'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이것은 대략의 문법이다? 이것 외에도 근성체에는 [[풋 사과]]나 [[왱알앵알]], '이, 이거?'같은 독자적인 맞춤법 내지 어휘, 관용구 등이 존재한다? [[근성갤]] 문서나 [[김성모/작품 및 유행어]] 문서를 참고하면 더 이해하기 쉽다? == 기타 == [[호주 영어]]는 끝을 올려서 근성체를 쓰는 것처럼 들린다. [[발터(파이어 엠블렘 성마의 광석)]]은 근성체를 사용한다. [[유희왕 태그 포스]] 4에 나오는 몇몇 엑스트라도 근성체를 사용한다. [[아이돌 마스터 ~디어리 스타즈~]]에 나오는 캐릭터 중 [[미즈타니 에리|한 명]]도 말꼬리를 의문형으로 사용한다. 2016년 2월 21일에는 [[슈퍼맨이 돌아왔다]]의 자막에도 나왔다. 범아빠 [[이범수]]의 파트에서 나왔다. [[눈물을 마시는 새]]에 등장하는 [[비형 스라블]]의 말꼬리는 전부 의문형이기에 근성체로 간주할 수 없다. [[도국]]작가의 [[하리랑 에그타르트]]에 등장하는 병원의사, 아미타불은 명백한 근성체를 사용하는 것처럼 보이나, 단지 말 끝에 '다'를 붙이는 것 뿐이다. [[http://m.comic.naver.com/bestChallenge/detail.nhn?titleId=409465&no=3|하지만 근성체를 가끔 쓰는 것 같다.]] [[삼국지 10]]의 [[주창]]도 근성체를 쓴다. 애니메이션 [[세토의 신부]]의 [[샤크 후지시로]]도 근성체를 쓴다. [[오오카미 씨 시리즈]]의 오토기 은행장인 키리키 리스트도 근성체를 쓴다. 애니메이션 [[로젠메이든]]에서 [[카나리아]]는 근성체를 쓴다. [[http://gall.dcinside.com/list.php?id=wow_new&no=6124395|#와갤과 일리단도 근성체를 사용한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86377241|근성체가 충만한 책]] 목차의 제목 내용이 전부 근성체로 되어 있다.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family/217/list?bbsId=G005&sortKey=depth&itemId=64&itemGroupId=&platformId=&objCate1=&searchKey=subjectNcontent&searchValue=%EB%93%9C%EB%9E%98%EA%B3%A4%EB%B3%BC+%EC%B4%88+%EA%B7%BC%EC%84%B1%EB%8C%80%EC%A0%84|근성이 충만한 드래곤볼이다?]] 김화백의 유행어가 정리되어있는 만화다. [[원펀맨]]에 나오는 괴인 중 하나인 심해왕도 쓰는 것 같다. [[인피니트 스트라토스]]의 [[IS 학원]]의 검도부 주장도 근성체를 쓴다. 한때 웹 사이트 회원가입에 대한 asp 소스의 약관 부분에 누군가가 근성체를 집어넣은 소위 '[[빅장 약관]]'이 퍼져서 많은 사이트에서 약관에 "뼈와 살이 분리됩니다?"라는 말이 나와서 뉴스에도 크게 나왔다. 이것은 웹마스터마저도 사이트의 약관을 확인하지 않는다는 증거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143&aid=0000020351|관련기사다.]] || 윈도우 8 || 윈도우 10 || 윈도우 11 || || [[파일:attachment/근성체.jpg|width=300px]] || [[파일:근성체/백업을 중지하시겠습니다?.png|width=300px]] || [[파일:근성체/백업을 중지하시겠습니다/Windows 11.png|width=300]] || [[윈도우 8]]에도 근성체가 등장한다. [[윈도우 7]] 방식의 시스템 이미지[* [[고스트(소프트웨어)|고스트]]와 비슷한 기능이다.]를 만들다 중단하려고 할때 뜨는 경고 메시지이다. [[윈도우 8.1]], [[윈도우 10]], [[윈도우 11]]에서도 지금도 그대로다. 그리고 Java Update 사용 가?라는 것도 있다. 주로 학교 컴퓨터에서 자주 보인다. 아마 [[占쏙옙|문자가 깨진]] 것이다. 기자도 근성체를 사용하고 있다. [[http://auto.naver.com/special/contentsView.nhn?contentsType=TECH&seq=35 |#]] 나는 가수다 '그것만이 내 세상 MR' 가사도 근성체를 [[http://music.naver.com/lyric/index.nhn?trackId=2596777|사용하고 있다.]]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의 [[소기이타 군하]]가 즐겨 쓴다. 네이버 웹소설 [[납치 감금에서 시작되는 우리들의 사바트]]의 캐릭터 중 하나인 부회장도 근성체를 쓴다. [[스레더즈]]의 에러쨩도 근성체를 사용한다. [[스레딕]]의 난장판에서 근성이들이 이 말투를 사용한다. [[스컬걸즈#2.3|스컬걸즈]]에 나오는 판처파우스트도 근성체를 쓴다? 래퍼 [[UNEDUCATED KID]]가 [[119 REMIX]]에서 근성체를 사용해 [[https://www.youtube.com/watch?v=wpvs3SvOsjo|랩을 했다?]] == 관련 문서 == * '''[[근성#s-2|근성]]''' * [[김성모]] * [[김성모 갤러리]] * [[김성모/작품 및 유행어]] * [[물음표]] [[분류:문체]][[분류:김성모/밈]][[분류:엔하계 위키/특징적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