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중의원|[[파일:shuugiin_logo.png|width=100px]]]] {{{#000000 '''[[일본|{{{#000000 일본}}}]] [[중의원|{{{#000000 중의원}}}]] ([[야마구치현 제2구|{{{#000000 야마구치 2구}}}]])'''}}} || || '''제44·45대'''[br][[히라오카 히데오]] || → || '''제46-49대[br]기시 노부오''' || → || '''제49대'''[br][[기시 노부치요]] || ---- [include(틀:역대 일본 방위대신)] ---- [include(틀:제1차 기시다 내각의 국무대신)] ---- [include(틀:제2차 기시다 내각의 국무대신)] ---- ||<-5> [[참의원(일본)|[[파일:Sangiin_logo.png|width=100px]]]] {{{#000000 '''[[일본|{{{#000000 일본}}}]] [[참의원(일본)|{{{#000000 참의원}}}]] ([[야마구치현 선거구|{{{#000000 야마구치현 (2022년 개선)}}}]])'''}}} || || '''제18대'''[br]마쓰오카 마스오 || → || '''제20-22대'''[br]'''기시 노부오''' || → || '''제22-24대'''[br]에지마 기요시 || ---- }}} || ---- ||<-2> '''{{{#fff 일본국 제21-23대 방위대신}}}''' || ||<-2> '''{{{#white 일본국 제20·22대 참의원 의원[br]일본국 제46-49대 중의원 의원}}}[br]{{{#white {{{+1 기시 노부오}}}[br]岸信夫 | Kishi Nobuo}}}'''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기시노부오.jpg|width=100%]]}}} || ||<|2> '''{{{#fff 출생}}}''' ||[[1959년]] [[4월 1일]] ([age(1959-04-01)]세) || ||[[도쿄도]] [[신주쿠구]] || ||<|2> '''{{{#fff 재임기간}}}''' ||제21-23대 방위대신 || ||[[2020년]] [[9월 16일]] ~ [[2022년]] [[8월 10일]] || || '''{{{#fff 링크}}}''' ||[[https://kishi-jpn.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user/kishinobu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kishinobuo|[[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ishiNobuo, 크기=20)] | [[https://ameblo.jp/nob-1/|[[파일:Ameba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f 학력}}}''' ||게이오기주쿠 유치사 {{{-2 (졸업)}}}[br]게이오기주쿠 보통부 {{{-2 (졸업)}}}[br]게이오기주쿠 고등학교 {{{-2 (졸업)}}}[br][[게이오기주쿠대학]] 경제학부 {{{-2 (경제학 / 학사)}}} || || '''{{{#fff 종교}}}''' ||[[불교]] || || '''{{{#fff 가족}}}''' ||조부 [[아베 간]][br]외조부 [[기시 노부스케]][br]양아버지[* 혈연상으로는 외삼촌이다. 친모인 아베 요코(혼전에는 기시 요코)의 오빠이다.] 기시 노부카즈[* 1921~2017. 그가 방위대신이 되는 것을 못 보고 영면했으며 기시 노부스케의 장남이며 세이부석유 회장을 지낸 기업인이다.][br]아버지 [[아베 신타로]][br]어머니 아베 요코[* 결혼전에는 성이 기시였다.][br]첫째 형 [[아베 히로노부]][br]둘째 형 '''[[아베 신조]]'''[br]형수 [[아베 아키에]][br]배우자 기시 치카코[br]장남 [[기시 노부치요]][* 노부오의 비서로 근무하다 지역구를 물려받아 당선되었다.][br]차남 기시 토모히로 || || '''{{{#fff 신체}}}''' ||178cm || || '''{{{#fff 정당}}}'''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fff 파벌}}}''' ||[[세이와 정책연구회]] || || '''{{{#fff 지역구}}}''' ||[[야마구치현 제2구|야마구치 2구]] (중)[br][[야마구치현 선거구|야마구치현]] (참) || || '''{{{#fff 의원 선수}}}''' ||'''4''' (중)[br]'''2''' (참) || || '''{{{#fff 의원 대수}}}'''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6]],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7]],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8]],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9]]'''[* 의원직 사직] (중)[br]'''[[제20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0]]''', '''[[제22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2]]''' (참) || || '''{{{#fff 약력}}}''' ||[[스미토모상사]] 근무[br][[일본 참의원|참의원]] 의원 {{{-2 (야마구치현 / 20, 22대)}}}[br]방위대신 정무관[br][[중의원]] 의원 {{{-2 ([[야마구치현 제2구]] / 46~49대)}}}[br]외무부대신[br]중의원 외무위원장[br]중의원 안보위원장[br]중의원 의원운영위원회 이사[br][[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야마구치현 연합회 회장[br][[방위성|방위대신]] {{{-2 (제21-23대)}}}[br]내각총리대신 안보담당보좌관 {{{-2 ([[제2차 기시다 제1차 개조내각]])}}}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정치인. [[야마구치현 제2구]] [[중의원]]. [[일본 참의원]], 외무부대신, 중의원 외무위원장, 방위대신을 역임한 바 있다. 전임 [[일본 내각총리대신]]인 [[기시 노부스케]]의 외손자이자 양(養) 친손자, 그리고 전임 [[일본 내각총리대신]] [[아베 신조]]의 [[동생]]이다. 본명은 아베 노부오였으나[* 그러나 노부오가 아베가(家)의 일원이었던 기간은 정말 얼마 안 되었을 확률이 높다. [[https://entame.site/kishi-nobuo-abe-shinzo/|이 링크]]를 보면 애초에 친부모인 신타로와 요코가 "셋째 아이가 남자라면 기시가(家)에 입양한다"'''라는 조건을 달고 결혼한 것이라는 대목이 나온다. 즉 노부오는 이미 태어나기 전부터 외갓집에 입양될 운명이었던 것. 사실 이건 '노부오'라는 이름에서부터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다. 기시 가문의 적통을 잇는 남자의 이름에는 '노부(信)'라는 글자가 통자(通り字)로 사용되는 듯한데, 조부는 기시 노부스케이며 부친은 기시 노부카즈, 본인은 기시 노부오, 장남은 기시 노부치요이다. 즉 실제로 셋째가 남자로 태어나자, 기시 가의 양자로 보낼 것을 염두에 두고 이름을 지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사람과 비슷한 사례로 [[다테 마사무네]]의 큰아버지인 이와키 치카타카(岩城親隆)를 들 수 있다. 마사무네의 할아버지 하루무네(晴宗)는 이와키 쿠보(岩城久保)와 결혼했는데, 쿠보의 아버지 시게타카(重隆)는 결혼을 승낙하는 조건으로 이 결혼에서 나는 맏아들은 자기네 이와키 가문을 잇도록 할 것을 내걸었다. 그 조건을 받아들이고 결혼한 결과 맏아들 치카타카는 친가가 아닌 외가를 이을 것이 나기도 전에 이미 정해져 있던 것. 하루무네의 후계는 차남인 [[다테 테루무네|테루무네]]가 잇게 된다.] 외가에 양자로 보내졌기에 법적 성씨가 친형과 다르다. == 생애 == === 성장기 === 1959년 4월 1일, [[도쿄도]]에서 아베 신타로와 아내 아베 요코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태어나자마자 외갓집에 양자로 보내져 '기시'라는 성씨를 잇게 되었는데, 이는 노부오의 외조부인 기시 노부스케의 장남 노부카즈에게 자녀가 없어 그 대를 잇기 위함이었다.[* 이것은 일본이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변방에 위치했던 탓에 [[종족]]을 기초로 한 유교적 혈통 문화가 제대로 자리잡지 못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당장에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이런 식으로 양자를 들이는 건 대를 잇는 걸로 인정하지 않는다(異姓不養)는 걸 [[가충#s-4|가충]]과 [[진수(서진)|진수]]의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에서도 장자에게 대를 이을 자식이 없을 때 가까운 친척을 양자로 들이는, 가령 [[범LG가|LG 가문]]에서 2018년 사망한 [[구본무]] 회장에게 대를 이을 아들이 없었기에 조카인 [[구광모]]가 호적상 구본무의 양자로 입적하여 회장직을 물려받았던 것과 같은 사례가 있다. 그러나 이건 어디까지나 '''한 집안 내부에서의''' 입양일 뿐이고, '''전혀 다른 혈통인 외가'''에 양자로 들어가는 건 적어도 동아시아에서는 일본에서만 볼 수 있는 모습이다. 한국, 중국, 베트남 같이 다른 동아시아권 국가들의 윤리적 기준에 따르자면 기시 노부오와 형 아베 신조의 친증조부가 본래 성이 무쿠노키였다가 아베 가문에 데릴사위로 들어온 것이므로 아베 신조도 무쿠노키 신조여야 한다. ] 에스컬레이터식으로 진학한 전형적인 게이오보이로, 게이오기주쿠 유치사, 보통부, 고등학교를 거쳐 내부진학으로 [[게이오기주쿠대학]] 경제학부에 들어간다. 장남 [[기시 노부치요]]와 똑같은 코스를 탔다. === 성인 이후 === 이때까지만 해도 본인이 아베 신조의 친동생인 것을 전혀 몰랐었다. 그러나 대학 진학 즈음, [[호적]] 등본을 보니까[* 일본은 대학 진학할 때 준비 서류로 호적등본을 제출해야 한다. 기시 노부오처럼 [[출생의 비밀]]이 있는 사람이 이 과정에서 진실을 알게 되는 일이 여럿 있다고 한다.(예: [[다나카 고이치]]) 한국도 마찬가지로 한국인이 한국 대학에 진학할 때 [[가족관계증명서]]를 제출해야 하긴 하는데, 한국은 국가 행정의 전산화가 완비되어 교육부 전산을 통해 자동으로 넘어가기 때문에 지류로 제출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한국인이 일본 대학에 진학할 때는 [[아포스티유]]를 받은 가족관계증명서를 제출하면 된다.] 사촌형으로 알고 있던 2명이 알고 보니 친형들이라는 걸 알게 되었고, 그걸로 충격을 받아 정신 착란 증세를 겪었다고 한다. >신조 형과의 관계를 알게 된 건 대학 진학을 준비하며 관련 서류를 준비하던 중 호적 등본을 떼었을 때였다. 그때가 대학 입학 전이었는데, 호적 등본을 보니 아버지 노부카즈[* 호적상 양부이자, 원래는 외백부(외삼촌).] 밑에 있는 내 이름 옆에 떡하니 ''''양자''''라는 글씨가 쓰여 있었다. '''그걸 본 순간 나는 얼음이 되고 말았다.''' 그때의 충격은 정말이지 대단했다. 그날 호적 등본을 본 이후로 한 달 동안 '왜 지금까지 안 알려준 거지?'라는 생각만 했다. 머릿속이 일종의 혼란 상태였다. 1981년 대학 졸업 이후 [[스미토모 그룹|스미토모 상사]]에서 근무를 시작했고, 1991년 생부 신타로를 여의었다. 2002년 퇴사했다. 스미토모상사에선 2001년에 호주지사 멜버른지점장을 역임하는 등 주로 해외에서 많이 근무했다. 참고로 스미토모 상사는 3대 상사중 특히 군수분야에 깊게 발담근 기업이라 방위성 출신 퇴직자가 낙하산 임원으로 많이 오는 곳이다. === 정계 입문 === 2004년 7월 제20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 야마구치현 선거구에서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공천을 받아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의 전 야마구치현 부지사 오이즈미 히로코를 꺾고 초선했다. 그 후 [[후쿠다 야스오 개조내각]]에서 방위대신 정무관에 임명되어 [[아소 내각]]까지 유임한다. 2010년 7월의 제22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재선한다. 그러던 중 2012년,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참의원을 사직, [[야마구치현 제2구]]에서 민주당의 [[히라오카 히데오]] 전 법무대신을 물리치고 당선됐다. 2013년 9월 30일, 외무부대신에 취임하며 2014년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재선한다. 2016년 중의원 외무위원장, 외무부대신에 임명되고 2018년 중의원 안보위원장, 2019년에는 중의원 의원 운영 위원회 이사로 취임했다. === 방위대신 === 2020년 9월 16일에 발족하는 [[스가 내각]]의 방위대신으로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035762?sid=104|내정되었다.]] 이번이 그의 첫 입각이다. 위의 설명에 나오듯이 방위성에서는 과거 후쿠다 야스오, 아소 다로 내각에서 정무관(차관급)을 역임한 바 있다. 앞서 형 아베가 총리 퇴임을 앞두고 사실상 일본의 독자적인 보복, 타격 능력의 확보를 개인 담화 형식으로 주장하고 나선 바 있다. 기시 본인도 군사 부문에서 형 못지않은 강경파인만큼, 그의 방위대신 임명이 이를 정책화하려는 의향을 반영하는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오는 중이다. 방위대신 임명 직후인 9월 26일 주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미국과의 동맹 발전을 비롯한 정책 방침들에 대해 소견을 밝혔다. 특히 미사일 위협 저지를 위한 역량 구축에 대해서도 '적 기지 타격'을 포함한 포괄적 대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 [[전수방위]] 원칙과의 합치 여부를 놓고 다시금 논란이 예상된다. 2021년 5월 20일, 니혼게이자이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정부 예산안 편성 시 방위예산을 요구안을 편성할 때 GDP 대비 1% 이내로 유지해 온 관행에 얽매이지 않고 늘려나가겠다는 뜻을 밝혔다. 닛케이는 방위력 강화를 목적으로 GDP 대비 1% 이상의 예산을 확보할 경우 일본 안보정책이 전환점을 맞게 된다면서 이에 대한 [[중국]] 등의 반발도 예상된다고 전했다.[[https://www.yna.co.kr/view/AKR20210520050400073|#]] 2021년 8월 13일, 2차대전 종전 기념일을 앞두고 야스쿠니 신사에 참배하였다. 현직 방위대신이 야스쿠니를 참배한 것은 5년 만의 일이다. [[기시다 내각]]에서도 엄중한 안보 환경을 고려한 정책의 연속성을 위해 유임되었다. 스가 내각에서 [[제1차 기시다 내각]]으로 넘어갈 때 [[모테기 도시미쓰]] 외무대신과 더불어 단 둘뿐인 유임 국무대신이었으나, [[제2차 기시다 내각]]에서 모테기 외무대신이 자민당 간사장으로 이임하고 외무대신이 교체됨에 따라 결과적으로는 스가 내각에서 기시다 내각으로 유일하게 유임된 국무대신이 되었다. [[2022년]] [[자위대]] 이미지 쇄신과 입대 홍보를 위해 제작된 [[후지 테레비]]의 수요일 10시 [[드라마]] <테파치!>에 '''기시 방위대신 본인이 직접 출연''', [[육상자위대]]원으로 분한 배우들과 만나는 등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7월 8일]] '''[[아베 신조|작은형]]이 그만 [[야마가미 데쓰야|전직 자위관]]에게 [[아베 신조 피살 사건|총격으로 암살당하여]]''' 자위대의 위신이 크게 손상되었고, 방위대신인 본인 역시 매우 곤란한 입장에 놓였다. 피살 원인이 되었던 통일교와의 관계를 인정했다.[[https://m.yna.co.kr/view/AKR20220727058900073?section=international/all|#]] 그로 인한 여파 때문인지, 1개월 후 개각하면서([[제2차 기시다 제1차 개조내각]]) 방위대신직에서 퇴임하였다. 건강도 매우 안 좋기도 하고 스캔들도 겹쳤다. === 이후 === 내각총리대신 국가안보담당보좌관에 기용되었다.[[https://www3.nhk.or.jp/news/html/20220810/k10013762931000.html|#]] 2022년 12월 11일,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차기 중의원 선거]]에 불출마하고 그대로 정계 은퇴할 것을 표명했다.[[https://news.yahoo.co.jp/pickup/6447336|#]] 지역구는 그의 31세의 아들인 [[기시 노부치요]]가 세습한다. 2023년 1월 14일 건강이 악화되어 2월 달쯤 의원직 사퇴를 검토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2월 3일]] 의원사직서와 총리보좌관직 사직서를 제출하면서 정계에서 은퇴했다.[[https://www3.nhk.or.jp/news/html/20230203/k10013969831000.html|#]] 건강이 안 좋은 것도 사실이지만, 본인과 형인 아베 신조 전 총리의 위상이 비교적 남아있을 때 아들이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밀어주려는 의도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럴만도 한 것이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대신이 있는 하야시 가문과 아베-기시 가문의 치열한 대립[* 다른 후원회 기업들끼리는 거래도 안 할 정도라고 한다.] 때문에 그렇게 안심하고 있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기 때문이다. 아베가 건재하던 시절에야 아베-기시 가문의 압승이었지만 현재는 상황이 역전되었고, 특히나 야마구치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시모노세키시는 확실히 하야시 가문의 영향력 아래이기 때문.[[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755992?cds=news_my_20s|#]] 아들 [[기시 노부치요]]는 2023년 4월 23일 치러진 보궐선거를 통해 국회 입성에 성공하여 세습이 이뤄졌다.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2004 - || 정계 입문[br]정계 은퇴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지역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04 || 제20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2> [[야마구치현 선거구|야마구치현]] ||<|6>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365,462 (49.10%)''' ||<|6> '''당선 (1위)''' || '''초선''' || || 2010 || 제22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421,055 (57.76%)''' || '''재선'''[* 2012.11.30. 사직 (46회 중원선 출마)] || || 2012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4> [[야마구치현 제2구|야마구치 2구]] || '''105,760 (55.37%)''' || '''초선''' || || 2014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96,799 (58.41%)''' || '''재선''' || || 2017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13,012 (73.83%)''' || '''3선''' || || 2021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09,914 (76.94%)''' || '''4선'''[* 2023.02.07 의원직 사직] || == [[아베 신조/가족관계|가족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베 신조/가족관계)] == 기타 == * 형인 아베 신조처럼 외조부인 기시 노부스케에게서 정치를 배워서 형처럼 개헌 찬성, 여성 미야케 창설 반대 등 정치 성향은 [[우파]]다. * 2020년 8월에 [[야스쿠니 신사]]에 참배하였다.[[https://this.kiji.is/666549760862602337|#]] * 아베 신조의 동생임에도 불구하고 아베의 집권기 동안 [[내각]]에서 주요 요직을 차지하지도 못했는데, 이는 불필요한 논란을 피하기 위한 의도적인 것으로 보인다. 아무래도 [[존 F. 케네디|케네디 대통령처럼]] [[로버트 케네디|친동생을]] [[족벌주의|주요 요직에 발탁할 경우]] 여론이 안 좋아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 그러다가 스가 내각에서 방위대신으로 처음 입각하고 기시다 내각에서도 유임하여 조금씩 빛을 볼 전망이다. * 형과 마찬가지로 건강이 좋지 못한 것 같다. 국회 질의에서 이례적으로 앉아서 답변을 하였으며, 걸을때 지팡이를 사용하거나, 휠체어를 타기도 한다. 아베 신조 피살 사건 당시 브리핑에서도 휠체어를 탄 상태로 질의응답을 진행하였다.오히려 암살 직전까지도 선거 유세를 했던 형보다 훨씬 더 건강이 안 좋은 것이라고 볼 수도 있다. 건강이 워낙 좋지 않은데도 기시다 정권에서까지 유임된 건 순전히 형의 후광 덕분이었던 만큼, 아베가 죽고 사라진 현 차기 개각에서 교체당할 1순위 각료로 꼽힌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아베 신조)] [include(틀:기시·사토·아베 가문)] [include(틀:일본 제49대 중의원 의원/자유민주당)] [include(틀:일본 제48대 중의원 의원/자유민주당)] [include(틀:주고쿠 지방의 국회의원)] [[분류:일본의 남성 정치인]][[분류:일본의 정치인 자녀]][[분류:기업인 자녀]][[분류:제20대 일본 참의원 의원]][[분류:제22대 일본 참의원 의원]][[분류:제46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7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8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9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자유민주당(일본) 국회의원]][[분류:일본 방위대신]][[분류:1959년 출생]][[분류:신주쿠구 출신 인물]][[분류:게이오기주쿠 고등학교 출신]][[분류:게이오기주쿠대학 출신]][[분류:일본의 불교 신자]][[분류:2023년 은퇴]][[분류: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일본/연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