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FFFFFF '''Gilead Sciences'''}}}}}} || ||<-2> [[파일:길리어드 사이언스 로고.svg|width=100%]] || || '''정식명칭''' || 길리어드 사이언스 주식회사 || || '''영문명칭''' || Gilead Sciences, Inc. || || '''설립일''' || [[1987년]] [[6월 22일]] || || '''업종명''' || 생물학적 제제 제조업 || || '''상장여부''' || [[상장기업]] || || '''기업규모''' || [[대기업]] || || '''상장시장''' || [[나스닥]]시장([[1992년]] ~) || || '''종목코드''' || [[https://www.nasdaq.com/market-activity/stocks/gild|NQ: GILD]] || ||<-2><:> [[https://www.gilead.com/|홈페이지]] [[https://www.gilead.co.kr/|한국사무소]]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제약]]회사. 본사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마테오 [[카운티]] 포스터 시티에 위치해 있다. 정확한 주소는 333 Lakeside Dr, Foster City, CA 94404 미국. 본사의 이름은 "길리어드 사이언시스"로 끝에 s가 들어간다. 하지만 [[대한민국]]에 [[타미플루]][* 글로벌 판권은 [[로슈(제약회사)|로슈]] 에 있음]를 납품하면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자사 공식 명칭을 "길리어드 사이언스 주식회사"로 등록 하였고[* 한국에서 영화 제목등의 고유명사는 흔히 명사의 복수형 혹은 동사의 3인칭형 s가 묵음처리 된다. 예를들면 The Dark Knight Rises는 [[다크나이트 라이즈]]로 배급.], 따라서 [[나무위키]] 문서명도 이렇게 정했다. 타미플루 납품을 계기로 한국에 연락사무소를 두고 운영중이다.[* 사명은 길리어드 사이언스 코리아 유한회사] 그리고 한국지사 설립 전에는 [[유한양행]]이 국내 총판 이외에도 유통까지 맡았었다. [[파일:P01-200501-332.jpg]] [[미국]] [[캘리포니아]]주 포스터 시티에 있는 길리어드 사이언스의 본사. --[[외계인 고문]] 장소-- == 상세 == [[1987년]] Oligogen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 이후 [[1992년]] [[1월 31일]] [[나스닥]] 시장에 [[기업공개]]를 완료하였다. [[1996년]] [[인플루엔자]]에 대항한 항바이러스제 [[타미플루]]를 개발하면서 전 세계에서 신종플루에 대항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이러한 타미플루의 대성공으로 길리어드가 급성장하자, 회사가 위치한 포스터시티도 덩달아 성장했다. 포스터시티에 회사가 위치해 있는데 포스터시티는 [[2020년]] 기준 인구가 3만 명이다. 포스터시티 인구의 40%인 12,000여명이 길리어드 사이언스의 직원이고, 나머지 인구의 절반 정도인 8,000여명은 길리어드 직원의 가족들이라고 한다. 나머지 중에서도 유통업 같은 3차산업 종사자가 있을것을 고려하면, 사실상 기업하나가 도시 하나를 먹여살리는 셈이다.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치료법|치료제]]인 항레트로바이러스제 및 그 복합제로도 유명한 회사로서 2004년 출시한 트루바다(테노포비르+엠트리시타빈)는 HIV 치료를 획기적으로 바꿔놓았다는 평을 받았다. 이는 이전부터 있던 PEP요법에 더해 이를 응용한 [[PrEP]]요법을 본격적으로 등장하게 한 약품이다. 이후 이를 복합제제로 만든 스트리빌드, 스트리빌드의 개선판인 젠보야는 HIV의 필수적인 치료제로 자리잡았다. [[2014년]] [[2014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에 따라 [[렘데시비르]](Remdesivir)라는 항바이러스제를 개발하였으나 [[에볼라]] 바이러스에 기존 치료법에 비해 우위를 보이지 못해 임상 실패로 분류하고 있었다. 그러나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에 렘데시비르 처방이 효과가 있다는 여러 결과가 발표되었고, 이에 고무된 길리어드 측에서 렘데시비르를 코로나19로 타겟을 바꿔서 임상절차를 다시 진행중이다. [[2020년]] [[4월 16일]](미국시간) [[렘데시비르]]의 임상 효과가 있다는 보고서가 공개되며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1555466|주가가 급등하였다.]] 하지만 [[5월 3일]] 회사는 렘데시비르의 모든 재고를 기부하겠다고 [[https://www.cnbc.com/2020/05/03/gilead-ceo-says-remdesivir-available-to-coronavirus-patients-this-week-weve-donated-the-entire-supply.html|밝혔다.]] D형 간염 치료제 헵클루덱스(HEPCLUDEX)를 개발한 독일 'MYR GmbH'를 13억9천만달러(약 1조5천106억원)에 인수한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074387?sid=104|#]] 2017년 허가를 받은 면역세포 치료제(항암제)인 예스카르타(악시캅타진 실로류셀) 역시 블록버스터급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분류:미국의 제약회사]][[분류:1987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