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대한민국 제9·10·12·14·15대 국회의원[br]{{{+1 김광수}}}[br]金光洙 | Kim Kwang-soo'''}}}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921837_131804_4836.jpg|width=100%]]}}} || ||<|2> '''출생''' ||[[1925년]] [[8월 15일]]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증산리 삭골마을 || || '''사망''' ||[[2013년]] [[2월 24일]] (향년 87세) || || '''본관''' ||[[김해 김씨]][* [[http://m.blog.daum.net/qqq3172/16156271?np_nil_b=1|#]]] || || '''호''' ||목정(牧汀) || || '''학력''' ||[[덕수고등학교|덕수상업고등학교]] {{{-2 (졸업)}}}[br][[단국대학교]] {{{-2 (국문학 / 학사)}}} || || '''병역''' ||[[대한민국 육군]] [[소령]] 전역 || || '''종교''' ||[[유교]](성리학) → [[개신교]]([[장로회]])[* 생전에 성북구 성북동에 있는 덕수장로교회에 출석한 적이 있었다.] || || '''의원 선수''' ||'''5''' || || '''의원 대수''' ||'''[[제9대 국회의원|9]], [[제10대 국회의원|10]], [[제12대 국회의원|12]], [[제14대 국회의원|14]], [[제15대 국회의원|15]]''' || || '''경력''' ||새한제지 사장[br]홍익대학교 겸임교수[br]인하대학교 전임강사[br]세종대학교 석좌교수[br]무소속 국회의원[br]민주공화당 국회의원[br]한국국민당 국회의원[br]한국국민당 부총재[br]민주정의당 국회의원[br]민주자유당 당무위원[br]민주자유당 국회의원[br]신한국당 전임고문[br]자유민주연합 국회의원[br]자유민주연합 부총재[br]한나라당 특임고문[br]대한교과서 사장[br]미래엔 명예회장[br][[대한승마협회]]회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기업인]], [[정치인]]. == 생애 == 1925년 8월 15일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증산리 삭골마을에서 태어났다. 서울 [[덕수고등학교|덕수상업고등학교]], [[단국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였다. 1948년 대한교과서(현 [[미래엔]]교과서)는 자신의 양아버지 우석 김기오에 의해 설립됐는데, 김광수는 이때 대한교과서 창립사원으로 참여했다. 그러나 [[6.25 전쟁]]으로 서울이 함락되자 대한교과서 출간이 중단됐고 [[6.25 전쟁]] 중 위관급 [[장교]]로 복무하였다. 이후 [[미래엔|대한교과서]]는 1952년 다시 부활했다. 그리고 1954년 양아버지 우석이 서울로 돌아온 뒤 현대문학사를 설립했는데, 1961년 김광수는 양아버지의 뒤를 이어 현대문학사 대표이사 회장에 올랐다. 이어 어문각 사장, 대한출판문화협회 회장, 한국잡지발행인협회 이사장 등을 맡았으며 1964년에는 어린이 잡지 출판사인 [[새소년 게임북|새소년]]을 설립하여 회장이 되었고, 1968년에는 새한물산 회장을 맡았다. 1963년에 [[경기도]] [[파주시]]에 있는 [[삼광중고등학교|삼광중학교]]를 설립, 초대 이사장직에 오르기도 했었으나 1974년까지는 학교법인 명칭이 그의 호를 딴 "목정학원"이라는 명칭이었으나 그 해 11월에 학교법인 명칭을 지금의 "삼광학원"으로 바뀌었다.[* 김광수 이사장의 후임으로 제2대 변원옥 이사장이 올랐다.][* 1971년을 끝으로 삼광농업고등학교가 폐교되었다가 이후 1981년에 삼광고등학교가 세워졌다. 자세한 내용은 삼광중고등학교 항목 참조.]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에 전라북도 무주군-[[장수군]] 선거구로 공천 신청을 하였으나 탈락하자 [[국민당(1971년)|국민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길병전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민주공화당에 전라북도 진안군-[[무주군]]-장수군 선거구로 공천 신청을 하였으나 탈락하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신민당(1967년)|신민당]] [[최성석]] 후보와 동반 당선(초선)되었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신민당 최성석 후보와 동반 당선(재선)되었다. 1979년 민주공화당 중앙위원회 부의장에 임명되었다. 1980년 [[전두환]] 정권이 출범하자 정치규제를 당하였다. 1984년 정치규제에서 해금되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국국민당(1981년)|한국국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정의당]] [[전병우(정치인)|전병우]] 후보와 동반 당선(3선)되었다. 당선 후 한국국민당 부총재에 임명되었다.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양정규]] 등과 한국국민당을 탈당하여 민주정의당에 입당하였다. 그러나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의 공천을 받지 못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전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에 당선(4선)되었다. 1996년 [[신한국당]]을 탈당하여 [[자유민주연합]]에 입당하였고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민주연합 전국구 국회의원에 당선(5선)되었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민주연합 후보로 전라북도 진안군-무주군-장수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새천년민주당]] [[정세균]]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에는 [[미래엔]]의 명예회장으로 교과서 사업을 이끌다가 2013년 2월 24일에 노환으로 별세하였으며, 동년 10월 10일에 은관[[문화훈장]]이 수여되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6526942|故 김광수 미래엔 명예회장 등에 은관문화훈장(2013.10.10 연합뉴스)]]] 정치 인생을 요약하면 유신(4공)-5공 시기 중대선거구제 하에서 입지를 확보한 전북 지역의 대표적 보수성향 다선 의원이었다. 3회는 중대선거구로 지역구 당선했으나, 민주화 이후 2회는 전국구로 당선 된 것도 그런 현상을 반영한다. 민주화 이후 소선거구제로 복귀 한 뒤로는 지역구로 출마 시 민주당계 정당에게 밀릴 수 밖에 없었기 때문. 사실 소선거구제 에서 당선될 기회가 딱 한번 있었는데 바로 14대 총선 때 인데 이때 같은 무풍면 출신의 [[황인성(1926)|황인성]] 후보가 당선된 적이 있다. 근데 이때 공천 경쟁에서 황인성은 지역구 김광수는 전국구로 타협을 봐서 출마하지 못했다.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white 연도}}} || {{{#white 선거종류}}} || {{{#white 선거구}}} || {{{#white 소속정당}}} || {{{#white 득표수 (득표율)}}} || {{{#white 당선여부}}} || {{{#white 비고}}} || || 1973 || [[제9대 국회의원 선거]] ||<|2> 전북 3[*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 || [include(틀:무소속)] || '''24,891 (27.02%)''' || '''당선 (2위)''' || '''초선'''[*a [[신민당(1967년)|신민당]] [[최성석]] 후보와 동반 당선] || || 1978 ||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민주공화당)] || '''33,026 (35.66%)''' || '''당선 (1위)''' || '''재선'''[*a] || || 1985 ||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 전북 4[*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 || [include(틀:한국국민당(1981년))] || '''17,363 (19.98%)''' || '''당선 (2위)''' || '''3선'''[* [[민주정의당]] [[전병우(정치인)|전병우]] 후보와 동반 당선] ||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전국구]] || [include(틀:민주자유당)] || '''7,923,718 (38.49%)''' || '''당선 (12번)''' || '''4선'''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전국구]] ||<|2>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3,178,474 (16.17%)''' || '''당선 (5번)''' || '''5선'''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전북 [[진안군·무주군·장수군·임실군|진안·무주·장수]] || 15,224 (29.02%) || 낙선 (2위) ||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9대 국회의원/전라북도)] [include(틀:제10대 국회의원/전라북도)] [include(틀:제12대 국회의원/전라북도)] [include(틀:제14대 국회의원/전국구)] [include(틀:민주자유당 제14대 국회 전국구)] [include(틀:제15대 국회의원/전국구)]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제15대 국회 전국구)] [[분류:제9대 국회의원]][[분류:제10대 국회의원]][[분류:제12대 국회의원]][[분류:제14대 국회의원]][[분류:제15대 국회의원]][[분류:민주공화당(1963년) 국회의원]][[분류:한국국민당(1981년) 국회의원]][[분류:민주자유당 국회의원]][[분류:신한국당 국회의원]][[분류:자유민주연합 국회의원]][[분류:기업인 출신 정치인]][[분류:무주군 출신 인물]][[분류:1925년 출생]][[분류:2013년 사망]][[분류:대한민국의 장로회 신자]][[분류:김해 김씨]][[분류:덕수고등학교 출신]][[분류:단국대학교 출신]][[분류:대한승마협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