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인 전 경제관료, rd1=김대유(공무원))]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김대유의 2023년 시즌, rd1=김대유/선수 경력/2023년)] [include(틀:KIA 타이거즈/간략(투수))] ---- ||
'''{{{#fff 김대유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일구상 로고.jpg|width=60]] '''2021 [[일구상]] 의지노력상''' || ---- ||<-5>
'''{{{#fff [[넥센 히어로즈|{{{#fff 넥센 히어로즈}}}]] 등번호 37번}}}''' || || [[노환수]][br](2009) || {{{+1 →}}} || '''김대유[br](2010)''' || {{{+1 →}}} || [[이승주(1984)|이승주]][br](2011~2012) || ||<-5> '''{{{#fff [[넥센 히어로즈|{{{#fff 넥센 히어로즈}}}]] 등번호 50번}}}''' || || [[김세현(야구선수)|김영민]][br](2008~2012) || {{{+1 →}}} || '''김대유[br](2013)''' || {{{+1 →}}} || [[하영민]][br](2014) || ||<-5> '''{{{#fff [[SK 와이번스|{{{#fff SK 와이번스}}}]] 등번호 97번}}}''' || || [[손지환]][br](2013) || {{{+1 →}}} || '''김대유[br](2014)''' || {{{+1 →}}} || [[박승욱]][br](2016) || ||<-5> '''{{{#fff [[SK 와이번스|{{{#fff SK 와이번스}}}]] 등번호 33번}}}''' || || [[조성우]][br](2013~2014) || {{{+1 →}}} || '''김대유[br](2015)''' || {{{+1 →}}} || [[임석진]][br](2016~2017) || ||<-5> '''{{{#fff [[SK 와이번스|{{{#fff SK 와이번스}}}]] 등번호 39번}}}''' || || [[윤중환]][br](2015) || {{{+1 →}}} || '''김대유[br](2016)''' || {{{+1 →}}} || [[류효용]][br](2017) || ||<-5> '''{{{#fff [[SK 와이번스|{{{#fff SK 와이번스}}}]] 등번호 97번}}}''' || || [[박승욱]][br](2016) || {{{+1 →}}} || '''김대유[br](2017~2018)''' || {{{+1 →}}} || [[이케빈]][br](2019) || ||<-5> '''{{{#fff [[kt wiz|{{{#fff kt wiz}}}]] 등번호 69번}}}''' || || [[고명성]][br](2018) || {{{+1 →}}} || '''김대유[br](2019)''' || {{{+1 →}}} || [[최성민(2002)|최성민]][br](2022~) || ||<-5> '''{{{#fff [[LG 트윈스|{{{#fff LG 트윈스}}}]] 등번호 69번}}}''' || || [[김성협]][br](2017) || {{{+1 →}}} || '''김대유[br](2020~2022)''' || {{{+1 →}}} || 결번 || ||<-5> '''{{{#fff [[KIA 타이거즈|{{{#fff KIA 타이거즈}}}]] 등번호 69번}}}''' || || [[김승범]][br](2022) || {{{+1 →}}} || '''김대유[br](2023~)'''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대유 2023 정면 프로필.jpg|width=100%]]}}} || ||<-2> '''KIA 타이거즈 No.69''' || ||<-2> '''{{{+2 김대유}}}[br]金大洧 | Kim Dae-Yu''' || ||<|2> '''출생''' ||[[1991년]] [[5월 8일]] ([age(1991-05-08)]세) || ||[[부산광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부산중앙초 - [[부산중학교|부산중]] - [[부산고등학교 야구부|부산고]] || || '''신체''' ||187cm, 92kg, B형 || || '''포지션''' ||'''[[중간계투]]''' || || '''투타''' ||[[좌사좌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10년/신인드래프트#s-3|2010년 3라운드]] (전체 18번, [[서울 히어로즈|히어로즈]]) || || '''소속팀''' ||[[넥센 히어로즈]] (2010~2013) [br][[SK 와이번스]] (2014~2018) [br][[kt wiz]] (2019) [br]'''[[LG 트윈스]] (2020~2022)''' [br][[KIA 타이거즈]] (2023~) || || '''병역''' ||[[사회복무요원]] (2011~2013) || || '''연봉''' ||1억 6,000만원 (28%↑, 2023년) || ||<|2> '''등장곡''' ||{{{#!folding [ 이전 등장곡 보기 ] Travis Mills - 《Young & Stupid》(Feat. [[T.I.]])[* 2023년 5월 9일까지 사용.] }}} || ||[[Sia]] - 《Unstoppable》 || || '''종교''' ||[[불교]] || || '''MBTI''' ||[[ENFJ]] || || '''가족''' ||아버지 [[김종석(1964)|김종석]] || [목차] [clearfix] == 개요 == [[KIA 타이거즈]] 소속 좌완 사이드암 투수. == [[김대유/선수 경력|선수 경력]] == ||<-3> '''통합 선수 경력: [[김대유/선수 경력]]''' || ||<-3>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10]] || ||<-3> [[김대유/선수 경력#s-1|'''{{{#ffffff 넥센 시절}}}''']] || || [[김대유/선수 경력#s-2.1|'''{{{#ffffff 2014년}}}''']] || [[김대유/선수 경력#s-2.2|'''{{{#ffffff 2016년}}}''']] || [[김대유/선수 경력#s-2.3|'''{{{#ffffff 2017년}}}''']] || || [[김대유/선수 경력#s-2.4|'''{{{#ffffff 2018년}}}''']] || [[김대유/선수 경력#s-3.1|'''{{{#ffffff 2019년}}}''']] || [[김대유/선수 경력#s-4.1|'''{{{#ffffff 2020년}}}''']] || || [[김대유/선수 경력/2021년|'''{{{#white 2021년}}}''']] || [[김대유/선수 경력/2022년|'''{{{#ffffff 2022년}}}''']] || [[김대유/선수 경력/2023년|'''{{{#ffffff 2023년}}}''']] || == 피칭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대유 패스트볼(KIA).gif|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대유 커브(KIA).gif|width=100%]]}}} || || '''패스트볼''' || '''커브''' || 원래 좌완 정통파 투수였지만 2017년부터 [[사이드암]]으로 투구폼을 변경했다. 이로써 삼성의 [[임현준]]과 함께 국내에 몇 없는 좌완 사이드암이 되었으며, 2021년, 임현준이 현역 은퇴를 선언한 후에는 [[LG 트윈스]]의 [[김태형(1998)|김태형]]과 사실상 [[KBO 리그]]의 몇 없는 좌완 사이드암이 되었다.[* 다만 임현준은 김대유보다도 팔 각도가 낮았던 '''[[좌언좌타]]'''에 더 가까웠다.] [[https://sports.v.daum.net/v/20170625095403454|살기 위해 내린 왼손잡이들]] [[SK 와이번스]] 시절에는 속구 구속이 135km/h를 넘지 못하며 대부분 120 후반~130 초반을 기록했다. 그런데도 제구가 칼같거나 구위가 좋은 것도 아니어서 [[SK 와이번스 갤러리]]에서는 '[[고효준]]의 제구, [[유희관]]의 구속, [[송은범]]의 구위'를 지닌 투수로 묘사됐다. 하지만 [[kt wiz]] 이적 후에는 희귀한 좌완 사이드암이라는 이점을 잘 살려 꽤 준수한 피칭을 했다. 속구 구속도 130km/h 후반까지 올린 건 덤. [[LG 트윈스]]로 이적한 뒤에는 [[최일언]] 코치의 권유에 팔 각도를 조금 올리면서 투구폼을 [[구대성]]과 매우 흡사하게 바꾸었다. [[https://www.donga.com/news/Sports/article/all/20200303/99989675/5|[인터뷰] 일언매직과 대성불패가 준 자신감…LG 김대유, 복덩이를 꿈꾼다]] 최고 구속 142까지 나왔으나, 로우 스리쿼터의 팔 각도로 타자에게 혼동을 주는 것이 장점이었던 그에게 전혀 어울리지 않는 방법이었고, 이 시즌은 무색무취의 활약으로 시즌을 마감하게 되었다. 2020년, 경쟁력을 발휘하지 못 하고 방출 위기까지 간 끝에 원래대로 팔 각도를 수정하기로 하였고, [[경헌호]] 코치와 [[김광삼]] 코치의 지도 하에 장점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폼을 수정하여 평균 구속을 유지하면서 팔 각도를 낮추는 장점 극대화에 성공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09&aid=0004396151&redirect=false|‘ERA도 IRS도 제로’ 홀드 1위 투수, ‘선출’ 아버지의 한마디, “거기 던지면 홈런볼이다”]] 또한, 두 코치와 함께 발을 크로스로 바꾼 것이 제구와 구위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대성공의 비결이었다. 구속은 kt 시절과 비슷하게 꾸준히 135 ~ 141km/h을 찍어주고 있으며, 위기상황에서 전력투구를 할 때는 140 근처에서 형성된다. 즉, 오버핸드 스로임에도 130km/h 초반의 패스트볼 구속을 기록하던 SK 시절과는 전혀 다른 선수가 된 것. 제구는 나쁘지 않지만, 좋다고 하기에도 모호하다. 좌타 상대 사구가 종종 나오는 것을 그 예로 들 수 있는데[* [[박세혁]]을 맞춘 것도 한 예라고 볼 수 있겠다.], 그러나 한 번 빠지기 시작하면 대책 없이 볼질만 하는 스타일은 아니다. 그렇게 스트라이크를 집어넣을 수 있고, 좌완 사이드라는 특이 폼에서 140까지 나오는 구속과 괜찮은 구위가 시너지를 이룬 것이 2021년 전반기 대활약의 바탕으로 보인다. 투구폼을 되돌리는 과정에서 Zone%가 40%대 초반에서 50%이상 급상승하는 등 컨트롤에 있어서 비약적인 상승을 이루었고, 평균 구속의 상승과 시너지를 발휘하여 극적인 브레이크 아웃으로 이어졌다. 투구하기 전에 팔을 시계추처럼 밑으로 내려 흔들거리는 버릇이 있다. 이는 우완 사이드암 투수 정우영도 해당. == 여담 == * 아버지가 前 [[롯데 자이언츠]] 투수 [[김종석(1964)|김종석]]이다. 그리고 아버지의 대학 동기가 자신의 소속팀 전 감독인 [[류중일]] 감독이다.[* 김대유의 아버지가 류중일 감독에게 잠실야구장 개장 첫 홈런을 허용하였다.] * 동명이인 [[재일교포]] 출신의 우완투수 김대유[* [[일본]]식 이름은 가네무라 다이유(金村大裕). 이 문서의 김대유와는 쓰는 한자가 다르다.]는 [[2005년]]에서 2010년까지 [[한신 타이거즈]]에 있다가 방출당한 후[* 6년 동안 1군 경기는 꼴랑 1경기가 끝.] 2011년에 [[SK 와이번스]]가 영입했지만, 퓨처스에서 겨우 5경기 등판하고 사라진 후 방출당했다. 참고로 그 당시엔 김대유를 검색하면 두 김대유 모두 잘 나오지 않았'''었'''다. 현재 검색해보면 이 문서의 김대유가 1순위로 뜨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선수의 특징으론 [[KBO 리그]]에서 재일교포 선수 제도를 통해 입단한 2022년 현재까지의 마지막 선수. 2020년에 재일교포 [[안권수]]가 [[두산 베어스]]에 지명되었으나, 이 선수는 드래프트로 입단한 것이기에 '해외교포선수 제도'로 입단한 선수는 여전히 가네무라가 마지막이다. * [[이정담]], [[조우형]], [[김도현(야구선수)|김도현]]과 같은 집에서 살았다고 한다. 그런데 이정담은 [[두산 베어스]]에서, 김도현은 두산을 거쳐 [[kt wiz]]에서, 조우형은 [[SK 와이번스]]에서 방출되면서 2021 시즌 종료 시점에서는 김대유 혼자 야구선수로 살아남았다. * LG에 2차 드래프트로 왔을 때 [[류지현(야구)|류지현]] 당시 수석코치가 "좋은 투수가 왔다."라고 해줘서 무척 기뻤다고 한다. 당시 김대유는 오랜 무명시절을 보내다 [[kt wiz]]에서 반짝했었을 뿐인데 자신을 보고 좋은 투수라고 이야기해줘서 너무 기뻤다고. 그래서인지 류지현 감독에 대한 충성심도 강하고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68&aid=0000764275|LG에서 정착하고 싶다, 잘하고 싶다]]라며 만족하고 있다. 자신을 알아주는 감독에 성적도 잘 나오니 더할 나위 없어 하는 모양새. * 팬들 사이에서는 이름을 [[야민정음]]으로 치환한 '''김머윾''', 혹은 이름을 직역한 '''김큰젖''' 혹은 '''김거유''' 등의 별명들로 불린다. 쉐보레킴인 김대우에서 김대유로 치환한 쉐보'''례''' 킴도 있다. 여기까지는 잘 할 때의 별명이고, 못 하면 '''휘발유''' 또는 '''김기름''', '''유류저장소'''라고 한다. 실제로 [[김윤식(야구선수)|김윤식]]의 패배에 분식회계로 본인이 일조했을 때, '김기름'이라는 멸칭이 나왔다. * 필승조로 격상한 비슷한 시기에 정치계에선 [[대장동 개발 사업 논란]]이 터졌는데, 이름 때문에 [[화천대유]]라는 별명도 생겼다. * 세리머니가 정말 호쾌하다. 이닝을 마무리짓는 삼진을 잡은 후 포효하는 모습이 인상적.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uCategory=kbaseball&category=kbo&id=796262&redirect=true|정규시즌 롯데전]]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uCategory=kbaseball&category=kbo&id=874457&redirect=true|준PO 2차전]] * [[팬 서비스]]가 정말 좋다. 경기 후 남아 있는 팬들 한 분 한 분 소통하면서 싸인과 사진을 찍어준다. 팬들이 김대유를 연호하면 손 흔들면서 인사로 보답해주는 건 덤. *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연고 팀 중 [[두산 베어스]]를 제외한 모든 팀을 다 경험하였다. 또한 데뷔 시즌부터 2022 시즌까지 전부 수도권 구단 소속이었다.[* 수도권 연고 팀을 모두 경험한 선수는 2022 시즌 한솥밥을 먹었던 [[허도환]]이다.] * [[KIA 타이거즈]]로 옮긴 후 [[이대진|이 분]]이 재림했냐는 소리를 자주 들을 정도로 닮았다. --팔 방향도 다르고 높이도 다르긴 하다.-- * 주전급 선수들이 잘 쓰지 않는 69번을 kt 때부터 써왔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부산고등학교 야구부]]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야구 선수 자녀]][[분류:1991년 출생]][[분류:2014년 데뷔]][[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부산고등학교 출신]][[분류:좌완 투수]][[분류:사이드암 투수]][[분류:좌사좌타]][[분류:우리-서울-넥센-키움 히어로즈/은퇴, 이적]][[분류:SK 와이번스-SSG 랜더스/은퇴, 이적]][[분류:kt wiz/은퇴, 이적]][[분류:MBC 청룡-LG 트윈스/은퇴, 이적]][[분류:KIA 타이거즈/현역]][[분류:사회복무요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