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문화체육관광부장관)] || {{{#ffffff '''김명곤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 '''{{{+1 [[근정훈장|{{{#EDE4D3 대한민국 근정훈장 수훈자}}}]]}}}''' || ||<-2> [[파일:청조근정훈장 정장.png|width=200]] || || '''연도''' || '''2007년''' || || '''이름''' || '''김명곤''' || || '''소속''' || '''문화관광부''' || ||<-2> '''청조근정훈장(1등급)''' || ---- ||<-5> {{{+1 '''{{{#white '''역대'''}}} [[청룡영화상|[[파일:bluedragonfilmawards_logo.png|width=120]]]]'''}}} || ||<-5> [[파일:bluedragonawards3.png|width=30]] || ||<-5> [[청룡영화상/남우주연상|{{{#white '''남우주연상'''}}}]] || || ''' 제13회 [br] ([[1992년]]) ''' || {{{+1 → }}} || ''' 제14회 [br] ([[1993년]]) ''' || {{{+1 → }}} || ''' 제15회 [br] ([[1994년]]) ''' || || [[문성근]][br]([[경마장 가는 길]]) || {{{+1 → }}} || '''{{{#fff 김명곤[br]([[서편제(영화)|{{{#fff 서편제}}}]])}}}''' || {{{+1 → }}} || [[문성근]][br]([[너에게 나를 보낸다]]) [br] [[박중훈]][br]([[게임의 법칙]]) || ||<-5>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764 0%, #003764 20%, #003764 80%, #003764)" '''[[문화체육관광부장관|{{{#ffffff 대한민국 제42대 문화관광부 장관}}}]][br]{{{#ffffff {{{+1 김명곤}}}[br]金明坤 | Kim Myung-g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87-8719_IMG_small2_.jpg|width=100%]]}}} || ||<|2> '''출생''' ||[[1952년]] [[12월 3일]] ([age(1952-12-03)]세)||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https://eirene88world.tistory.com/281|#]]] || || '''본관''' ||[[김해 김씨]] || ||<|2> '''재임기간''' ||제42대 [[문화체육관광부장관|문화관광부 장관]] || ||[[2006년]] [[3월 27일]] ~ [[2007년]] [[5월 7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족''' ||배우자 정선옥[* 배화여고 독어 교사로 일하던 시절에 가르치던 학생 중 하나였다고 한다.], 슬하 1남 1녀 || || '''학력''' ||[[전주초등학교]] {{{-2 (졸업)}}}[br][[전주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사범대학]] {{{-2 ([[독어교육과|독어교육학]] / [[학사]])}}}[br][[동국대학교/대학원|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 ([[신문방송학]]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0380718|극장의 대(對)고객 커뮤니케이션 활성화에 관한 연구 : 국립극장의 사례를 중심으로]].])}}} || || '''신체''' ||168cm, 63kg || || '''종교''' ||[[개신교]][* [[침례회]] 교인이다.] || || '''데뷔''' ||1983년 영화 '바보선언' ||}}}}}}}}} || [목차] [clearfix] == 개요 == >왜놈 노래, 양놈 노래가 판소리에 당하기나 하냐? > >이제부터는 니 응어리진 한에 파묻히지 말고 그 한을 넘어서는 소리를 혀라... 동편제는 무겁고 매짐새가 분명하다면은 서편제는 애절하고 정한이 많다고들 하지. 허지만 한을 넘어서게 된다믄 동편제도 서편제도 없고 득음의 경지만이 있을 뿐이다... > >- 영화 [[서편제(영화)|서편제]]에서 [[유봉(서편제)|유봉]]의 대사 중 [[대한민국]]의 [[배우]], 제42대 [[문화관광부]] 장관. == 생애 == 1952년 12월 3일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에서 태어났다. [[전주초등학교]]와 [[전주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독어교육과]]를 졸업하고 2005년 [[동국대학교/대학원|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에서 [[신문방송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재학 시절 연극배우로 활동하였으나 1976년 대학교 졸업 후에는 1977년부터 1979년까지 잡지사 [[뿌리깊은 나무(잡지)|뿌리깊은 나무]] 기자, 1978년부터 1979년까지 [[배화여자고등학교]] [[독일어]] 과목 교사 등으로 재직하는 등 여러 직업을 거쳤다. 그 뒤 다시 배우[* 그 이전에도 연극배우를 직장인으로 할 수 있는 범위, 즉 겸직의 수준 내에서는 최대한 했었다. 1970년대말이나 1980년에도 연극을 했다.]로 복귀하여 1983년 영화 <바보선언>으로 스타덤에 올랐다. 그 후 영화 [[서편제(영화)|서편제]], [[태백산맥(영화)|태백산맥]]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였다. 연극 연출, 각본에 일가견이 있어 영화 서편제의 각본을 직접 쓰기도 했으며, 같은 작품에서 좋은 연기를 보여주어 1993년 청룡영화제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1986년 극단 <아리랑>을 창단했고, [[국민의 정부]] 시절인 2000년부터 6년간 [[국립극장]]장을, [[참여정부]] 중기(2006년) [[문화관광부]] 장관을 지내기도 했으며, 디즈니 애니메이션 [[알라딘(애니메이션)|알라딘]]에서 [[지니(디즈니 캐릭터)|지니]] 성우를 맡기도 했다. 이 더빙에서 노래도 직접 불렀는데, 원작 더빙의 [[로빈 윌리엄스]]와 비교해도 전혀 뒤지지 않을만큼 매우 훌륭한 실력을 보여주었다. 영화 [[명량]]에서는 [[토도 타카토라]] 역을 맡아 인상깊은 악역 연기를 보여주었다. 2015년부터 2021년까지 [[세종문화회관]] 이사장을 역임했다. == 주요 출연작 == === 영화 === * 일송정 푸른솔은 (1983) - 광대독립군 * '''[[바보선언]]''' (1983) - ''' 동칠 ''' * 과부춤 (1983) - 만석 * [[어우동(영화)|어우동]] (1985) - 천가 * '''서울 황제 (1986) - [[예수]]'''[* 본래 타이틀명은 서울 예수 였으나, [[개신교]] 협회의 집단 반발로 인해 황제로 바뀌었다.] * 꽃지 (1986) - 동진 * [[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 (1987) - 남자 * 헬로 임꺽정 (1987) - 봉달 * [[개벽(영화)|개벽]] (1991) - [[전봉준]] * 닫힌 교문을 열며 (1992) - 해직 교사 * 명자 아끼꼬 쏘냐 (1992) - 세르게이 * '''[[서편제(영화)|서편제]]''' (1993) - '''[[유봉(서편제)|유봉]]''' * 우연한 여행 (1994) - 봉우 * '''[[태백산맥(영화)|태백산맥]]''' (1994) - '''염상진''' * 천재 선언 (1995) - 수상한 소리 * [[영원한 제국]] (1995) - [[정약용]] * 48+1 (1995) - 정수 * 내 안의 우는 바람 (1995) - 노인 * 미끼 (1998) - 마섭 * A+삶 (1999) - 아버지 * 정 (1999) - 덕순 * [[광해, 왕이 된 남자]] (2012) - 박충서 * 연애의 기술 (2013) - 아버지^^(특별출연)^^ * '''[[명량]] (2014) - [[도도 다카토라]]''' * [[무수단(영화)|무수단]] (2016) - 참모장^^(특별출연)^^ * [[강철비]] (2017) - 리홍장[* 청나라의 실제 인물이었던 [[이홍장]] 장군은 아니다. 다만 극중 역할로 봐서 이 인물의 이름을 이렇게 지은 것에 영향을 준 것은 맞는 것으로 보인다.] * [[대립군]] (2017) - 정 판서 * '''[[신과함께-인과 연]] (2018)[* [[최일화]]의 성추행 사건으로 통편집 후 대체배우로 투입.] - 강문직''' * 귀가[* 독립 단편 영화] (2018) * [[우상(영화)|우상]] (2019) - 최 의원 * [[물의 기억]] (2019) - 내레이션 * [[https://movie.daum.net/moviedb/main?movieId=135630| 구르는 수레바퀴 (2019)]] - 혜진 스님 * [[강철비2: 정상회담]] (2020) - 리홍장 * 늙은 부부이야기 - 스테이지 무비 (2020) - 박동만 * [[싸나희 순정]] (2021) - 이웃집 아이의 할아버지 * [[배니싱: 미제사건]] (2022) - 조직의 두목 * [[허황옥 3일, 잃어버린 2천 년의 기억]] (2022) - 내레이션 * [[한산: 용의 출현]] (2022) - [[도도 다카토라]]^^(특별출연)^^ * 고요한 아침[* 프랑스 영화] (미정) - 중국인 보스 === 드라마 === || '''{{{#white 방영 연도}}}''' || '''{{{#white 방송사}}}''' || '''{{{#white 제목}}}''' || '''{{{#white 배역}}}''' || '''{{{#white 비고}}}''' || || 1982년 || [[KBS 1TV|[[파일:KBS 1TV 로고(1980-1984).svg|width=40]]]] || [[그 여름의 이틀]] || || || || 1986년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형사 25시]] || || || || 1988년 ||<|3> [[KBS 1TV|[[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width=40]]]] || [[배비장전(드라마)|배비장전]] || 배비장 || || || 1989년 || [[지리산(KBS)|지리산]] || || || || 1993년 || [[떠도는 혼]] || 표기자 || 6.25 특집극 || || 1997년 ||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신옹고집전 || 옹고집 || 설날 특집극 || || 1998년 || [[KBS 1TV|[[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width=40]]]] || 나는 집으로 간다 || 사진작가 || || || 2008년 ||<|3>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대왕 세종]] || 옥환 || || || 2012년 || [[각시탈(드라마)|각시탈]] || [[양백(각시탈)|양백]] || || || 2014년 || [[왕의 얼굴]] || 송내관 || || ||<|2> 2015년 || [[문화방송|[[파일:MBC 로고.svg|width=40]]]] || [[밤을 걷는 선비(드라마)|밤을 걷는 선비]] || 노창선 || ||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드라마 스페셜]] - 붉은 달 || [[영조]] || || || 2017년 ||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명불허전(드라마)|명불허전]] || 마성태 || || ||<|2> 2018년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미스티(드라마)|미스티]] || 정대한 || ||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친애하는 판사님께]] || 오대양 || || || 2022년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40]]]] || [[글리치(드라마)|글리치]] || 좁 || || === 애니메이션 === * [[알라딘(애니메이션)|알라딘]] - '''[[지니(디즈니 캐릭터)|지니]]'''[* 영어판 [[로빈 윌리엄스]]의 절륜한 싱크로율과 호연을 감안하면 비성우임에도 지니 특유의 익살스러움을 잘 살렸다. 특히 더빙판 번역 역시 영화판 TV시리즈 가릴 것 없이 상당히 찰지게 된 편인데 이런 대사들도 굉장히 잘 살린 편. 목소리도 원판의 로빈 윌리암스와 상당히 비슷한 느낌.] 역 * [[알라딘 2: 돌아온 자파]] - '''[[지니(디즈니 캐릭터)|지니]]''' 역 * [[알라딘과 도적의 왕]] - '''[[지니(디즈니 캐릭터)|지니]]''' 역 * [[알라딘(TV 시리즈)|알라딘 TV 시리즈]]([[KBS 2TV|KBS]] [[디즈니 만화동산]]) - '''[[지니(디즈니 캐릭터)|지니]]''' 역 == 수상 내역 == * 1992년 제1회 어린이연극제 연출상 * 1992년 제1회 어린이연극제 최우수작품상 * '''1993년 제13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남우주연상''' * '''1993년 제14회 [[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 * 1995년 자랑스런 서울시민상 * 1995년 제1회 현대연극상 연출상 * 1997년 연극평론가협회 1996년 올해의 연극 베스트3 * 2006년 [[APEC]] 2005 KOREA 유공 포장 * 2007년 대한민국 청조근정훈장(1등급) 수령 * 2017년 은관문화훈장 수령 * 2019년 전주고등학교 100주년 기념 '자랑스러운 전고인' 상 == 둘러보기 == [include(틀:참여정부의 국무위원)] [[분류:한국 남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한국의 드라마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배우 출신 정치인]][[분류:1952년 출생]][[분류:1983년 데뷔]][[분류:김해 김씨 삼현파]][[분류:완산구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침례회 신자]][[분류:참여정부/인사]][[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문화관광부 장관]][[분류:전주고등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교사]][[분류:동국대학교 대학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