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김병권}}}[br]金秉權 | Kim Byung-kw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수필가 김병권.jpg|width=100%]]}}} || ||<|2> '''출생''' ||[[1931년]] [[8월 3일]]|| ||[[대한민국]] [[강원도]] [[평창군]]|| ||<|2> '''사망''' ||[[2023년]] [[2월 11일]] (향년 92세)|| ||[[서울특별시]] 자택||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호''' ||죽헌(竹軒)|| || '''직업''' ||[[수필가]]|| || '''학력''' ||[[단국대학교]] {{{-2 (법학 / 학사)}}}[br][[연세대학교]] {{{-2 (경영학 / 석사)}}}|| || '''약력''' ||한국 문인협회 수필분과회장[br]숙명여자대학교 문예창작과 겸임교수[br]KBS 방송문화센터 수필창작 강사[br]KBS 라디오 칼럼 집필위원[br]국방일보 객원논설위원[br]한국수필가협회 부이사장[br]한국문인협회 부이사장[br]국제 펜클럽 한국본부 고문[br]용산문화원 수필창작교실 강사||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수필가]]. == 생애 == 그는 1930년 10월[* 호적상 1931년 8월 3일]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에서 태어났다. 이후 평창 미탄국민학교(現 미탄초등학교) 교사로 근무하다가 6·25 전쟁이 일어나자 자원입대 했다. 그렇게 동부전선 소대장, 육군참모총장 홍보관, 주월 한국군사령부 대변인 등을 거쳤다. 1971년 '월간문학'에 수필 '남국의 향수'를 실으며 등단했으며 1973년 대령으로 예편한 후 문학활동에 집중했다. 같은 해부터 한국문인협회와 한국수필가협회 회원으로 활동했다. 1980년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이사와 고문 등을 맡았고, 1989년부터 용산문화원 수필창작교실 강사를 맡아 수많은 제자를 길러냈다. 숙명여대 문창과 겸임교수, KBS 문화센터 수필창작 강사 역임하기도 하였다. 2000년대에는 고향 평창에서 진행된 문학교실에 강사로 참여하고 출판기념회에도 참석하는 등 지역 문인들과의 교류 역시도 꾸준히 맺어왔다. == 사망 == 2023년 2월 11일 서울의 자택에서 별세했다. 향년 92세. == 저서 == * 물구나무 인생 * 속아주는 멋 * 오월의 나비 * 걸림돌과 디딤돌 * 생각하는 눈 * 앉아서 꿈꾸는 산 * 세월의 이끼에 가려진 보석 [[분류:한국 남성 작가]][[분류:평창군 출신 인물]][[분류:1931년 출생]][[분류:2023년 사망]][[분류:숙명여자대학교 재직]][[분류:단국대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6.25 전쟁/군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