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1 '''{{{#ffffff 김소진 [br] }}}''' }}} {{{#ffffff '''金昭晉|Kim So-jin '''}}}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55538789-42c8-42ac-91a2-a87b8a220369.김소진작가.jpg|width=100%]]}}} || ||<|2><-2> {{{#ffffff ''' 출생 ''' }}} ||[[1964년]] [[1월 17일]][* 음력 1963년 12월 3일. ] ||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학사리 || ||<|2><-2> {{{#ffffff ''' 사망 ''' }}} ||[[1997년]] [[4월 22일]] (향년 33세)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동(서울)|연희동]] 동서한방병원 || ||<-2> {{{#ffffff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ffffff ''' 직업 ''' }}} ||[[소설가]], [[언론인]]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ffff ''' 학력 ''' }}} ||[[미아초등학교]] {{{-2 (졸업)}}}[br][[보성중학교(서울)|보성중학교]] {{{-2 (졸업)}}}[br][[서라벌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인문대학]] {{{-2 ([[영어영문학]] / [[학사]])}}} || || {{{#ffffff ''' 본관 ''' }}} ||[[김(성씨)|충주 김씨]] || || {{{#ffffff ''' 배우자 ''' }}} ||[[함정임]] ^^(1993년 결혼)^^ || || {{{#ffffff ''' 부모님 ''' }}} ||^^아버지^^ 김응수, ^^어머니^^ 김영혜 || || {{{#ffffff ''' 자녀 ''' }}} ||^^아들^^ 김태형 || || {{{#ffffff ''' 데뷔작 ''' }}} ||쥐잡기 ^^(1991)^^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신문기자이자 소설가. == 생애 == [[1964년]] [[1월 17일]]에 [[실향민]] 출신의 아버지 김응수의 아들로 태어났다. 1967년에 [[서울특별시|서울]]로 이사와 미아초등학교(당시는 미아국민학교)를 졸업하고 보성중학교와 [[서라벌고등학교]]를 거쳐 1982년에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에 입학했다. [[운동권]]의 가투(街鬪)에 참여하려고 했으나, 별달리 실행하지 못하고 글쓰기를 시작했다. 주요 습작 대상은 [[이문구]], [[황석영]], [[박완서]]였다. 1985년에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고 1년 간 [[방위병]]으로 복무했다. [[서울대학교]] 졸업 후에는 1990년 [[한겨레]]신문에 입사, 교열부에서 근무했다. 1991년 [[경향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소설가로 등단한 그는 여러 단편소설과 장편소설 등을 발표하며 평단의 주목을 받았다. 1995년에 한겨레신문을 퇴사하고 전업 작가를 선언했다. 1993년에는 소설가 [[함정임]]과 결혼하여 슬하에 1남을 두었다. 아들 김태형은 [[부산외국어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13년]] 프랑스 이집카(ISIPCA) 향수전문학교를 졸업한 뒤, [[2019년]] 서울로 돌아와‘프라그랑스 튜터’이자 향수 브랜드 대표 조향사로 활동하고 있다.[[https://www.hani.co.kr/arti/culture/book/955938.html#csidx0f23e38063db6b692ec84c37ed30c96 |기사]] [[2020년]] <나는 네Nez입니다>라는 에세이를 발간하였다. 1997년 2월에는 계간지 한국문학의 편집위원으로 참여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3월 초 서교동에서 위염 때문에 내시경 검사를 받던 중, [[췌장암]] 진단을 받고 3월 11일 신촌세브란스병원에 입원했다. 이후 병세가 악화되어 4월 22일 연희동 동서한방병원에서 타계했다. 그의 나이 불과 33세 때였다. == 작품 성향 == 토속적인 어휘와 [[구어]]에 강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청년 시절 우리말 사전 한 권을 통째로 필사했다고 하며, 그 덕분인지 맛깔나는 [[대한민국]] 고유어의 사용이 돋보인다. 대표작으로는 [[교과서]]에도 실린 단편소설 [[자전거 도둑]]이 있다.[* 이 작품은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도 출제되었으며, 김소진의 다른 작품인 '목마른 뿌리'는 2021 EBS 연계교재에 실리기도 했다.] 그가 습작 대상으로 삼았던 [[박완서]]의 작품 중에도 동명의 제목이 있다. == 작품 목록 == === 단행본 === * 선집은 제외한 것임 ||
'''{{{#ffffff 연번}}}''' || '''{{{#ffffff 표제}}}''' || '''{{{#ffffff 출판 연도}}}''' || '''{{{#ffffff 출판사}}}''' || '''{{{#ffffff ISBN10}}}''' || '''{{{#ffffff 비고}}}''' || || 1 || 열린 사회와 그 적들 || 1993 || 솔출판사 || 8985062328 || 제1 소설집 || || 2 || 고아떤 뺑떡어멈 || 1995 || 솔출판사 || 8985062972 || 제2 소설집 || || 3 || 장석조네 사람들 || 1995 || 고려원 || 8912062409 || 제1 장편소설 || || 4 || 자전거 도둑 || 1996 || 솔출판사 || 8982180001 || 제3 소설집 || || 5 || 양파 || 1996 || 세계사 || 8933800824 || 제2 장편소설 || || 6 || 열한 살의 푸른 바다 || 1996 || 국민서관 || 8911011762 || 창작동화 || || 7 || 바람부는 쪽으로 가라 || 1996 || 예문 || 8986834111 || 콩트집 || || 8 || 눈사람 속의 검은 항아리 || 1997 || 강 || 8982180206 || 제4 소설집 || || 9 || 아버지의 미소 || 1997 || 솔출판사 || 8981332770 || 산문집 || || 10 || 달팽이 사랑 || 1998 || 솔출판사 || 8981332835 || 콩트집 || || 11 || 김소진 문학전집 1-6 || 2002 || 문학동네 || 8982815465(세트) || 유일한 문학전집[* 창작 장편동화 『열한 살의 푸른 바다』는 빠져 있음.] || || 12 || 열한 살의 푸른 바다 || 2003 || 문학동네 || 8982817638 || 재출간 || === 단편소설 === ||
'''{{{#ffffff 표제}}}''' || '''{{{#ffffff 연도}}}''' || '''{{{#ffffff 수록 지면}}}''' || '''{{{#ffffff 비고}}}''' || || 쥐잡기 || 1991.1 || 경향신문 || 등단작 || || 키작은 쑥부쟁이 || 1991.5 || 문학사상 || || || 수습일기 || 1991.8 || 현대문학 || || || 열린사회와 그 적들 || 1991. 가을 || 문예중앙 || || || 적리(赤痢) || 1992.5 || 문학사상 || || || 춘하 돌아오다 || 1992. 여름 || 민중문예 || || || 그리운 동방 || 1992. 여름 || 현대소설 || || || 사랑니 앓기 || 1992. 가을 || 문예중앙 || || || 용두각을 찾아서 || 1992. 겨울 || 문학과사회 || || || 처용단장(處容斷章) || 1993. 봄 || 문예중앙 || || || 임존성 가는 길 || 1993.3 || 소설집 『열린 사회와 그 적들』 || 미발표작(소설집 첫 수록) || || 가을옷을 위한 랩소디 || 1993.4 || 민족문화 || || || 고아떤 뺑떡어멈 || 1993.6 || 샘이 깊은 물 || || || 지하생활자들 || 1993. 상반기 || 지평의 문학 || || || 혁명기념일 || 1993. 가을 || 실천문학 || || || 파애(破愛) || 1993. 가을 || 세계의 문학 || || || 개흘레꾼 || 1994.3-4 || 한국문학 || || || 쌍가매 || 1994.6 || 문학정신 || || || 세월의 무늬 || 1994. 가을 || 동서문학 || || || 늪이 있는 마을 || 1994. 가을 || 문예중앙 || || || 첫눈 || 1994. 겨울 || 작가세계 || || || 아버지의 자리 || 1994. 겨울 || REVIEW || || || 달개비꽃 || 1995.4 || 현대문학 || || || 문산행 기차 || 1995.6 || 문학사상 || || || [[자전거 도둑]] || 1995. 여름 || 문예중앙 || || || 원색생물학습도감 || 1995. 가을 || 문학동네 || || || 경복여관에서 꿈꾸기 || 1996. 봄 || 오늘의 문예비평 || || || 마라토너 || 1996. 봄 || 창작과 비평 || || || 길 || 1996.3 || 문학사상 || || || 열한 살의 푸른 바다 || 1996.9 || || 장편 창작동화 || || 목마른 뿌리 || 1996.2-5 || 자유공론 || 중편소설 || || 갈매나무를 찾아서 || 1996.6 || 월간 에세이 || || || 서른 살의 강 || 1996.7 || 문학동네 || 「갈매나무를 찾아서」 개작 || || 쐬주 || 1996. 여름 || 소설과 사상 || || || 건널목에서 || 1996.9 || 금호문화 || || || 벌레는 단 과육 속에 깃들인다 || 1996.9 || 현대문학 || || || 지붕 위의 남자 || 1996.9-10 || 기업과 문학 || || || 부엌 || 1996. 가을 || 시와 사람 || || || 울프강의 세월 || 1996.11-12 || 작가 || || || 신풍근베커리 약사(略史) || 1996. 겨울 || 문학과 사회 || || || 눈사람 속의 검은 항아리 || 1997. 봄 || 21세기 문학 || 마지막 작품 || === 장편소설 === ||
'''{{{#ffffff 표제}}}''' || '''{{{#ffffff 연도}}}''' || '''{{{#ffffff 수록 지면}}}''' || '''{{{#ffffff 비고}}}''' || || 장석조네 사람들 || 1993.겨울 - ?1994. || 소설과 사상 || || || 양파 || 1996. 봄 || 작가세계 || || || 동물원 || 1996. 겨울-미완 || 실천문학 || 미완작 || [[분류:1964년 출생]][[분류:충주 김씨]][[분류:1997년 사망]][[분류:철원군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분류:췌장암으로 죽은 인물]][[분류:서라벌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