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BC의 성우)] [include(틀:매거진 보이스 역대 표지 모델)] ||<-2>
{{{#FFFFFF '''{{{+1 김영선}}}'''[br]Kim Young-su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30214김영선.jpg|width=100%]]}}} || ||<|2> '''출생''' ||[[1969년]][* 네이버를 비롯한 포털 사이트에 1968년생이라고 나오는데, 자신이 1969년 12월생이라고 직접 밝혔다. [br] [[파일:캡처_2019_03_10_13_20_50_254.png|width=50%]]][* 공식팬카페 [[https://cafe.naver.com/sunrise0/book5092643/2396|프로필]]에도 포털에 기재된 출생년도 정보가 잘못된 것이라 명시되어 있다. [[파일:screencapture_20200408.png|width=50%]]] [[12월 17일]] ([age(1969-12-17)]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신체''' ||170cm|[[B형]] || || '''가족''' ||아내 [[박소라(성우)|박소라]], 장녀 김정인^^(1999년생)^^[* [[벼랑 위의 포뇨]]에서 포뇨를 연기했다.[br][[파일:external/kid.chosun.com/2008121001020_0.jpg]][br]현재는 성악을 전공하고 있다.], 차녀[* 무용을 전공한다고 밝혔다.] || || '''소속''' ||前 [[대교방송 성우극회]] 1기[br][[MBC 성우극회]] 13기 ([[프리랜서]])[br][[한국예술원]] 성우연기예술계열 교수 || || '''활동 시기''' ||DBC: [[1994년]][* 연기 시작은 1995년 3월 1일.] ~ [[1996년]][br]MBC: [[1996년]] ~ [[1998년]][br]프리랜서: [[1999년]] ~ 현재 || || '''링크'''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howlkim, 크기=20)] [[http://cafe.naver.com/sunrise0|[[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width=20]]]] ||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김영선 성우 서명.svg|width=13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성우]]. 1994년 [[대교방송 성우극회|DBC]] 1기로 입사했다가 1996년 [[MBC 성우극회]] 13기로 재입사했으며 1999년부터 프리랜서로 활동 중이다. 동기는 [[최석필]], [[장성호(성우)|장성호]], [[김호성]], [[이철용(성우)|이철용]], [[엄태국]], [[윤성혜]], [[정남(성우)|정남]], [[박소라(성우)|박소라]], [[엄현정]]이며, 김호성과 정남은 대교방송 시절부터 동기였다. == 연기 == 맑고 상큼한 목소리를 가지고 있어 상큼 계열 목소리의 본좌로 꼽히기도하며, 덕분에 각종 샴푸 CF 내레이션을 도맡아 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워낙 다방면에서 종횡무진 활동하고 있어 팬층도 두터운 편. [[고쿠도군 만유기]]의 주인공 [[고쿠도|제스터]]를 기점으로 인기 성우 자리에 올랐다. 현재 CF, 내레이션, 외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 다양한 방면에서 폭넓은 활동을 하고 있는 성우다. [[미소년]]이나 [[미청년]]에 잘 어울리는 목소리라 외화나 애니메이션의 주인공 및 비중이 큰 주연급 역할을 자주 맡으며 차갑고 이지적인 목소리로 주인공의 라이벌 역할을 맡기도 한다. [[카미야 히로시]]와 비슷한 여린 미성이 특징이다.[* 하지만 본인은 쿨한 역할은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 듯하다. 뉴타입에서 한 [[나루토]] 관련 인터뷰에서는 자신이 맡은 [[우치하 사스케|사스케]]에는 별 감흥이 없고 [[우즈마키 나루토|나루토]] 같은 역할을 맡고 싶다고 했다. 또 다른 뉴타입 인터뷰에서도 [[울프스 레인]]의 [[키바]] 같은 쿨한 미청년 역할은 부담스럽고 [[최유기]]의 [[손오공(최유기)|손오공]] 같은 역할이 좋다고 했다.] 다정하고 부드러운 캐릭터의 목소리, 상큼하고 발랄한 캐릭터의 목소리, 이지적이고 차가운 캐릭터의 목소리, 신경질적인 다혈질 캐릭터 목소리 등 연기폭도 넓은 편이다. 보통 김영선같은 연기 스타일은 단조로운 미형 연기 스타일에 한정된거 같지만 절대 그렇지 않으며 김영선도 강수진 못지않게 연기폭이 넓은 성우로 아주 유명하다. 거기다 [[무적코털 보보보]]에서는 [[라이스#s-5]]의 미친 변태 연기[* 원판 성우는 [[유우키 히로]]다.]를 훌륭히 소화해냈다. 다정한 미청년 캐릭터 더빙 커리어는 가히 최고 수준인데, '''[[지브리 스튜디오]]의 3대 인기 남자 캐릭터'''인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의 [[하쿠(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하쿠]], [[하울의 움직이는 성]]의 [[하울(하울의 움직이는 성)|하울]], [[모노노케 히메]]의 [[아시타카]]의 '''성우가 모두 김영선'''이다.--지브리 남캐 전문--[* 하울의 움직이는 성의 경우 원판 더빙은 성우가 아닌 배우 [[기무라 타쿠야]]인데 기무라의 경우 어설픈 연기로 호불호가 갈린 반면, 김영선은 말 그대로 캐릭터성을 잘 살려서 호평을 받았다. 다만 사람에 따라서 기무라의 힘이 빠진 듯한 목소리가 하울의 이미지에 맞다는 사람도 꽤나 많다.] 특유의 부드러운 목소리를 통해 지브리에서 나오는 잘생긴 남자 주인공 역을 언제나 꿰차고 있는 수준이고, 연기에 대한 평가도 상당히 좋아 세 캐릭터 모두 전설로 회자되고 있다. [[데스노트]]에서는 주인공 [[야가미 라이토]]를 맡아 광기의 미청년을 연기했다.[* [[니아(데스노트)|니아]] 역을 맡은 [[배정미]] 성우의 증언에 따르면 애니판 최종화의 "내가 키라다"를 비롯한 [[롱테이크|미친 듯이 웃는 연기의 대사량이 A4 용지 2장 분량으로 매우 많았는데 NG 없이 그 자리에서 한번에 연기를 끝마쳤다고 한다.]]] 그 외에도 [[후르츠 바스켓]]의 [[소마 쿄우|송대협]], [[최유기]]의 [[손오공(최유기)|손오공]], [[사이버 포뮬러]]의 [[카자미 하야토]][* 이 배역은 [[강수진(KBS 성우)|강수진]]이 담당한 SBS판이 워낙 레전드급으로 유명할 뿐더러 김영선이 출연한 애니박스 더빙판 자체가 흑역사 취급을 받기 때문에 묻힌 감이 있다.] 같은 열혈파나 [[나루토]]의 [[우치하 사스케]], [[가정교사 히트맨 REBORN!]]의 [[히바리 쿄야]], [[메이플스토리]]의 [[윌(메이플스토리)|윌]]과 같은 냉혈파, [[포켓몬스터 베스트위시|포켓몬스터]][* 특히 포켓몬스터에서는 [[포켓몬스터 베스트위시]] 이후로 중복이 엄청 늘었는데, 굵은 목소리가 두드러지는 역할을 많이 맡은 편.]의 [[게치스]][* 애니판한정 외전인 제너레이션즈에는 후배 [[정훈석]]이 맡았다.]같은 중년 등 김영선의 다양한 연기를 들을 수 있는 작품은 무척 많은 편이다. 2010년대 중반 가면서 [[쿠로오 테츠로]]처럼 능글맞은 역할이나 [[학원 베이비시터즈|카미타니 하야토]]처럼 무뚝뚝한 캐릭터로 많이 캐스팅되고 있다. 음색 역시 상당히 낮은 캐릭터도 많이 맡는 편. [[해리 포터 실사영화 시리즈]]에서 [[해리 포터와 불의 잔(영화)|해리 포터와 불의 잔]] 이후 [[해리 포터와 불사조 기사단(영화)|해리 포터와 불사조 기사단]]부터 [[다니엘 래드클리프]]가 연기한 주인공 [[해리 포터]] 캐릭터를 맡았다. 성우가 소년 연기가 어색한 수준은 아니지만 어린 소년보다는 미청년 느낌이 강하고 따라서 귀여운 소년 목소리가 어울릴 것 같은 목소리가 아니라 어색할 것 같지만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영화)|마법사의 돌]]이나 [[해리 포터와 비밀의 방(영화)|비밀의 방]] 시점이라면 모를까[* 물론 작중 배우들이 비밀의 방 이후 세 번째 시리즈인 [[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영화)|아즈카반의 죄수]] 파트부터 상당히 많이 커있어서 성우가 두 번에 걸쳐 바뀌었는데 마법사의 돌과 비밀의 방에서는 배우 [[오승윤]]이, 아즈카반의 죄수와 불의 잔에서는 배우 [[류덕환]]이 맡아 소년 해리 포터를 연기했고 그 후 김영선으로 교체 되었다. 작중에서 시리즈가 바뀔 때마다 매년 캐릭터들이 성장하기도 하고 배우들 역시 마찬가지로 소년, 소녀가 어른이 되어가기 때문에 필연적인 부분이다. SBS판에선 모두 전문성우인 [[손정아]]가 연기했다.] 그 때쯤 되면 어린 꼬마 소년으로 시작했던 해리 포터가 상당히 많이 성장해있어서 청년티가 물씬 나기 때문에 상당히 잘 어울리는 것은 물론 거의 초월 더빙 수준이다. 젊은 시절에는 힘 있는 연기도 잘 소화해냈는데, 이제는 젊은 나이는 아니시기 때문에 힘이 들어가야하는 부분에 힘이 잘 안들어가는 아쉬운 부분이 생겼다. 대표적인 예로 2011년 애니메이션 [[유희왕 ZEXAL]]에서 '카이트'를 맡을 땐 연기를 부족함 없이 훌륭하게 해냈지만, 2021년 게임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 10년만에 같은 캐릭터를 맡으니 잔잔하게 연기하는 부분은 여전히 잘 연기해냈지만, 몬스터를 소환하는 부분이나, 공격하는 부분에서는 힘이 들어가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았다.[* 다만, 이 부분에 대해서는 연기 감독의 지시 문제라는 추측이 있고, 실제로도 비단 카이트 뿐만이 아니라 [[안티노미]]나 [[츠쿠모 유마|유마]]의 경우에도 디렉션 문제로 추측되는 저퀄리티 더빙이 나온 바 있다. 두 배역 모두 애니메이션 방송 당시는 호불호는 갈릴지언정 연기력 자체에는 큰 문제가 없었다.] == [[김영선(성우)/여담|여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영선(성우)/여담)] == [[김영선(성우)/출연작|출연작]]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영선(성우)/출연작)] == 관련 문서 == * [[성우/한국]]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대교방송의 성우)]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우치하 사스케, version=3147)] [[분류:한국 남성 성우]][[분류:1969년 출생]][[분류:1994년 데뷔]][[분류:1996년 데뷔]][[분류:인터넷 밈/성우/대한민국]][[분류:재데뷔한 인물]][[분류:신비한 TV 서프라이즈/출연진]][[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