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801A24, #993334 20%, #993334 80%, #801A24)" {{{#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제1야전군사령관)] ---- [include(틀:제1군단장)]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801A24, #993334 20%, #993334 80%, #801A24)"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FFF 대한민국 제18대 합동참모의장}}}]][br]{{{#FFF {{{+1 김윤호}}}[br]金潤鎬 | Kim Yoon-h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tv03.search.naver.net/20141106153248911.jpg|width=100%]]}}} || ||<|2> '''출생''' ||[[1930년]] [[8월 10일]] || ||[[서울특별시|경기도 경성부]] || || '''사망''' ||[[2013년]] [[1월 12일]] (향년 82세) || || '''학력''' ||[[경신고등학교(서울)|경신고등학교]] {{{-2 (졸업)}}}[br][[육군보병학교]] {{{-2 (졸업)}}}[br][[육군기갑학교]] {{{-2 (졸업)}}}[br][[육군포병학교]] {{{-2 (졸업)}}}[br]미국 육군야전포병학교 {{{-2 (졸업)}}}[br][[마산대학교]] {{{-2 (정치경제학 / 학사)}}}[br][[영남대학교|청구대학]] {{{-2 (정치학 / 석사)}}}[br][[뉴욕 공과대학교]] {{{-2 (언론학 / 석사)}}} || || '''경력''' ||[[대한석탄공사]] [[이사장]][br][[한국가스공사]] [[이사장]]|| ||<-2> '''군사 경력''' || || '''임관''' ||[[육군사관학교]] {{{-2 (10기)}}} || ||<|2> '''복무''' ||대한민국 육군 || ||[[1950년]] ~ [[1983년]] || || '''병과''' ||[[보병]] || || '''참전''' ||[[한국전쟁]][br][[베트남 전쟁]] || || '''최종 계급''' ||[[대장(계급)|대장]] {{{-2 (대한민국 육군)}}} || || '''최종 보직''' ||합동참모의장 || || '''주요 보직'''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주 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공사]][br][[제9보병사단|제9보병사단 (주월)]] [[부사단장|작전부사단장]][br][[제33보병사단|제33보병사단장]][br][[육군교육사령부|육군교육사령부 부사령관]][br][[육군보병학교|육군보병학교장]][br][[제1군단|제1군단장]][br][[제1야전군사령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군인]]. [[제5공화국]] [[신군부]] 일원이었으며,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을 역임한 바 있다. [[종교]]는 [[불교]]다. [[12.12]] 직후 찍은 단체사진 맨 밑 우측 세번째(바로 옆 우측이 [[정호용]])에 나옴. == 생애 == [[1930년]], [[경성부]](現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경신고등학교(서울)|서울경신고등학교]] 졸업 후 [[1950년]] [[육군사관학교]] 10기생으로 [[임관]]했다. 이 때 육사 생도들은 [[6.25 전쟁]] 발발로 인해 몇 개월 정도의 단기 교육을 받고 바로 임관하여 전쟁에 투입되었으며[* 11기부터가 4년제 정규 과정을 거친 육사 세대인데, 이들은 스스로를 '정규 육사 1기'로 부를 정도로 자부심이 대단했다. 그 자부심은 [[전두환]], [[노태우]], [[정호용]] 등 육사 11기 경상도 출신 멤버들이 세운 [[하나회]]로 이어진다. 아이러니한건 자부심을 가지는 이들은 정작 6.25 전쟁 때 참전하지 않고 후방에서 교육을 받은 수혜를 누린 세대라는 것. 이들이 무시하는 단기 육사 선배들은 11기가 후방에서 안전하게 교육받을 때 전쟁통에서 목숨걸고 뛰어다녔었다.] 김윤호도 생도대대 소총병으로 활약했다. [[조선인민군]]과의 근접전에서 오른쪽 허벅지에 기관총 관통상을 입기도 했다. 이후 [[베트남 전쟁]]에도 주월 [[제9보병사단]] [[부사단장]]으로 참전했고 사단장, [[육군교육사령부]] 부사령관을 거쳐 [[육군보병학교]]장(당시 계급은 소장)을 맡게 된다. 그러던 중 [[1979년]], [[12.12 군사반란]]이 일어나게 되는데, 당초 김윤호는 반란군 멤버는 아니였지만 반란군 수뇌부였던 [[황영시]] 중장의 뒷수습을 위한 도움 요청을 받아 다음날 새벽 5시에 서울로 상경하여 정권을 장악한 [[신군부]] 세력에 합류하게 된다. 그 후 반란군 수뇌부였던 [[전두환]], [[노태우]], [[유학성]], [[차규헌]], [[황영시]]와 더불어 6인 위원회의 일원으로서 군부 개편 작업을 진행했다. 6인 위원회는 숙군을 명분으로 하여 쿠데타 저항자 및 반대 세력의 장성들, [[정승화]] 계열 등 잠재적 위험 장성들, 8~10기의 장성들[* 하나회가 12.12 군사반란을 일으킨 원인 중 하나는 심각한 인사 적체에도 있었다. 1~10기가 1년도 안되는 단기 교육으로 배출된 후 6.25 전쟁을 거쳐 확장된 군의 자리들을 채우면서 초고속으로 진급하는데 비해, 11기 이하 정규 육사 세대들은 본인들의 자부심에도 불구하고 윗선배들이 자리를 채우고 있는지라 진급이 적체되어 불만이 극심했다.] 등 대략 40명을 합동 전역식을 통해 예편시켰다. 김윤호가 불려온 또 한가지 이유는 대미접촉을 위해서 였는데[* [[존 위컴]] [[주한미군사령관]]이 자신의 통제를 무시하고 최전방 병력을 빼돌려 쿠데타에 가담시킨 것에 매우 격노하여 쿠데타 진압을 주장한 것에서 보이듯 신군부는 미국의 노여움을 두려워할 수 밖에 없었다.], 주미 대사관에서 무관으로 근무했던지라 영어에 능하고 미군 고위층과 친분이 두터웠기 때문이다. 김윤호는 주한 미국 대사관으로 가서 글라이스틴 대사에게 12.12 군사반란을 변호하고 신군부의 정치 개입은 없을거라고 ~~~거짓~~~약속했다. 이러한 공로로 김윤호는 중장으로 진급하여 [[황영시]]의 뒤를 이어 1군단장을 맡게 되며 신군부가 장악한 5공화국 정권에서 출세 코스를 달린다. 반란의 핵심 멤버는 아니였기 때문에 핵심 요직들을 맡지는 못했지만 대장 진급 후 [[제1야전군사령관]]을 거쳐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까지 역임했다.[* 당시 합참의장은 지휘권 없이 대통령/국방장관에 대한 자문 역할을 수행하는 명예직에 가까워서 핵심 요직과는 거리가 있었다. 이후 1990년 국군조직법 개정을 통해 합참의장은 지금과 같은 3군 통합 지휘권([[군령권]])을 행사하게 되었다. 그 전까지는 [[군령권]]과 [[군정권]] 모두 [[육군참모총장]]이 가지고 있었다.] 합동참모의장으로 있던 1983년 [[5월 5일]] [[중공 여객기 불시착 사건]]이 일어났는데,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전두환]]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의 지시로 [[노신영]] [[국가안전기획부]]장이 군을 지휘하게 하자 이에 반발하였다. 이 사건의 여파인지 합동참모본부 청사에 전기 누출로 화재가 나자 예편했다. 예편 후에는 [[대한석탄공사]]와 한국가스공사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2013년]] [[1월 12일]]에 향년 82세로 사망했고, [[대전광역시]]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사실 김윤호 대장이 하나회나 신군부 세력에 적극 동조, 협조해 영달을 누리기는 했지만 12.12 군사반란이나 5.18 민주화운동 당시 진압군이 아니었기 때문에 신군부와 한통속이었음에도 국립현충원에 안장된 것이다. == 대중매체에서 == * 1995년 [[SBS]] 드라마 <[[코리아게이트(드라마)|코리아게이트]]>에서는 배우 [[손현주]]가 연기했다. <코리아게이트>의 방영 시기가 1995년인 점과 실제로 김윤호가 [[전두환]], [[노태우]]의 [[육군사관학교]] 선배인 점을 고려하면 30대 초반인 손현주에게 김윤호 배역을 맡긴 것은 매우 어색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 1996년 [[MBC]] 드라마 <[[제4공화국(드라마)|제4공화국]]>에서는 배우 [[신귀식]]이 연기했다. * 2005년 [[MBC]] 드라마 <[[제5공화국(드라마)|제5공화국]]>에서는 성우 [[김명수(성우)|김명수]]가 연기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12.12 군사반란 가담자)]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김윤호,version=47)] [[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제1야전군사령관]][[분류: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1930년 출생]][[분류:2013년 사망]][[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분류:경신고등학교(서울) 출신]][[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분류:마산대학교 출신]][[분류:영남대학교 출신]][[분류:전두환 정부/인사]][[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