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김포시/정치)]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경기도)]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국회|{{{#fff 국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fff {{{+2 김포시 갑}}} }}}'''[br]{{{-1 {{{#fff 김포본동, 장기동, 사우동, 풍무동, 고촌읍[br]金浦市 甲[br]Gimpo A}}}}}}}}}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김포시 갑.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206,608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경기도]]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김포시|{{{#373a3c,#ddd 김포시}}}]] 일부''' 김포본동, 장기동, 사우동, 풍무동, 고촌읍}}} || ||<-2> '''신설년도''' ||<-2> [[제20대 국회의원 선거|2016년]] || ||<-2> '''이전 선거구''' ||<-2> [[김포시(선거구)|김포시]] || ||<-2> '''국회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김주영(1961)|김주영]] || [목차] [clearfix] == 개요 == 19대 국회까지 김포 단일 선거구였다가 20대 총선 전에 분구되어 김포 갑/을로 개편됐다. 대체로 김포 원도심과 [[한강신도시]] 동남부 일부 지역[* 라베니체 일대]을 관할하고 있는 지역구이다. 현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김주영(1961)|김주영]]이다. 분구 전엔 김포시장 출신인 [[유정복]]이 김포 선거구에서 17대부터 19대까지 내리 3선 국회의원을 하였다. 2014년 유정복이 인천시장 출마를 위해 의원직을 사퇴하자 재보선으로 [[홍철호]] 의원이 당선되었다. 참고로 이후 홍 의원은 20대에 분구된 [[김포시 을]]에 다시 출마해 재선에 성공한다. 하지만 홍철호는 21대 총선에서 낙선한다. ==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역대 선거 결과 == ||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선거구''' || || 제13대 || [[정해남]] || [include(틀: 민주정의당)]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2> 김포군·강화군 || || 제14대 || [[김두섭]] || [include(틀: 통일국민당)]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 제15대 ||<|2> [[박종우(1938)|박종우]] || [include(틀: 무소속)]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김포군 || || 제16대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5> 김포시 || || 제17대 ||<|3> [[유정복]] ||<|2> [include(틀:한나라당)]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 제18대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2> 제19대 ||<|2>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2년 5월 30일 ~ 2014년 5월 15일 || || [[홍철호]] || 2014년 7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 제20대 || [[김두관]]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2> 김포시 갑 || || 제21대 || [[김주영(1961)|김주영]] || 2020년 5월 30일 ~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지사 출신의 [[김두관]] 전 행자부 장관이 [[2014년 재보궐선거]]에 김포시 국회의원 후보로 나섰다가 낙선한 이후 신설된 김포시 갑에 출마해 김포 갑의 첫 지역구 의원이 되었다. ||<-4> [[김포시 갑|{{{#ffffff {{{+1 '''김포시 갑'''}}}}}}]][br]{{{#ffffff 김포1동, 사우동, 장기동, 풍무동, 고촌읍}}}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동식(1961)|{{{#373a3c,#dddddd 김동식}}}]](金東植) || 34,149 || 2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40.70% || 낙선 || ||<|2> {{{#ffffff {{{+5 '''2'''}}}}}} || '''[[김두관|{{{#373a3c,#dddddd 김두관}}}]](金斗官)''' || '''49,758'''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9.30%'''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140,224 ||<|3> '''투표율'''[br]60.69% || || '''투표 수''' || 85,105 || || '''무효표 수''' || 1,198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김포시 갑|{{{#ffffff {{{+1 '''김포시 갑'''}}}}}}]][br]{{{#ffffff 김포본동, 사우동, 장기동, 풍무동, 고촌읍}}}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주영(1961)|{{{#373a3c,#dddddd 김주영}}}]](金周暎)''' || '''58,613'''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2.88%''' || '''당선''' || ||<|2> {{{#ffffff {{{+5 '''2'''}}}}}} || [[박진호(정치인)|{{{#373a3c,#dddddd 박진호}}}]](朴眞昊) || 42,660 || 2위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38.49% || 낙선 || ||<|2> {{{#ffffff {{{+5 '''7'''}}}}}} || 조성진(趙成眞) || 584 || 4위 || || [include(틀:국가혁명배당금당)] || 0.52% || 낙선 || ||<|2> {{{#ffffff {{{+5 '''8'''}}}}}} || [[유영록|{{{#373a3c,#dddddd 유영록}}}]](劉永錄) || 8,972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8.0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5,807 ||<|3> '''투표율'''[br]67.44% || || '''투표 수''' || 111,816 || || '''무효표 수''' || 987 || ||<-8> {{{#ffffff '''국회의원 선거 (김포시 갑)'''}}}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 [include(틀:무소속)]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김주영(1961)|{{{#ffffff '''김주영'''}}}]] || [[박진호(정치인)|{{{#ffffff 박진호}}}]] || [[유영록|{{{#ffffff 유영록}}}]]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58,613 [br] (52.88%)'''}}} || '''42,660 [br] (38.49%)''' || '''8,972 [br] (8.09%)''' || '''+ 15,953 [br] (△14.39)''' || '''111,816 [br] (67.43%)''' || || '''김포본동''' || {{{#4169e1 47.79%}}} || 41.42% || 10.24% || △6.36 || {{{#696969 63.35}}} || || '''사우동''' || {{{#004ea2 51.71%}}} || 37.38% || 10.39% || △14.33 || 66.03 || || '''풍무동''' || {{{#004ea2 54.89%}}} || 38.12% || 6.55% || △16.77 || 66.91 || || '''장기동''' || {{{#004ea2 '''57.64%'''}}} || {{{#696969 35.60%}}} || 6.25% || '''△22.05''' || 64.06 || || '''고촌읍''' || {{{#004ea2 49.44%}}} || '''43.23%''' || 6.80% || {{{#696969 △6.21}}} || '''68.24''' || || '''후보''' || [[김주영(1961)|{{{#004ea2 '''김주영'''}}}]] || [[박진호(정치인)|{{{#ef426f 박진호}}}]] || [[유영록|{{{#808080 유영록}}}]]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45.19%}}} || 32.21% || 22.11% ||<-2> △12.98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57.27%}}} || 32.13% || 9.65% ||<-2> △25.14 || || '''재외투표''' || {{{#004ea2 66.28%}}} || 29.14% || 3.42% ||<-2> △37.14 || ||<-4> {{{#ffffff '''김포시 갑 주요 아파트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 || '''후보''' || [[김주영(1961)|{{{#ffffff '''김주영'''}}}]] || [[박진호(정치인)|{{{#ffffff 박진호}}}]] || || '''한강 센트럴 자이 1단지'''[* 한강신도시와 같이 연담화하여 개발된 감정2지구에 건설된 아파트이다. 3,481세대, 35개 동의 대단지 아파트로, 라베니체와 가현초등학교 버스정류장이 인접하여 있지만 [[장기역]]의 역세권이라고 보긴 어렵다. 여담으로, 선거 후 김포시청의 풍무역세권 [[경희의료원]] 유치 발표로 인해 김포대수로 맞은 편의 의료시설 부지가 타격을 입었다.] || {{{#004ea2,#5dabff '''60.31%'''}}} || 34.83% || ▼25.48 || || '''김포 풍무 센트럴 푸르지오''' || {{{#004ea2,#5dabff 59.36%}}} || 34.05% || ▼25.31 || || '''한화 유로 메트로 1단지'''[* 김포풍무5도시개발구역(풍무5지구) 개발계획의 일환으로 건설된 아파트이다.] || {{{#004ea2,#5dabff 59.13%}}} || 33.58% || ▼25.55 || || '''풍무 푸르지오''' || {{{#004ea2,#5dabff 57.01%}}} || 36.99% || ▼20.02 || || '''김포 사우 아이파크''' || {{{#004ea2,#5dabff 56.97%}}} || 34.85% || ▼22.12 || || '''수정마을 쌍용예가'''[* 한강신도시 개발 계획의 일환으로 건설된 아파트이다. 라베니체와 모담산, 한강중앙공원과 맞닿아 있어 자연환경은 좋은 편이나 [[장기역]]과 [[운양역]]의 역세권이라 보기 어렵다.] || {{{#004ea2,#5dabff 55.38%}}} || 37.46% || ▼17.92 || || '''푸른마을 실크벨리 2차''' || {{{#004ea2,#5dabff 55.01%}}} || 35.31% || ▼19.70 || || '''유현마을 신동아''' || {{{#004ea2,#5dabff 53.01%}}} || 39.48% || ▼13.53 || || '''당곡마을 월드메르디앙''' || {{{#004ea2,#5dabff 52.72%}}} || 39.04% || ▼13.68 || || '''중봉마을 신안실크밸리''' || {{{#004ea2,#5dabff 51.76%}}} || 37.77% || ▼13.99 || || '''당곡마을 현대''' || {{{#004ea2,#5dabff 50.45%}}} || 44.16% || ▼6.29 || || '''유현마을 현대프라임빌''' || {{{#004ea2,#5dabff 47.88%}}} || 46.13% || ▼1.75 || || '''양도마을 서해그랑블 (201~211동)''' || {{{#004ea2,#5dabff 46.50%}}} || 45.55% || ▼0.95 || || '''수기마을 힐스테이트 2단지''' || {{{#004ea2,#5dabff 46.35%}}} || 46.25% || ▼0.10[* 두 후보 간의 표차가 단 2표 밖에 차이가 안 났다.] || || '''희영''' || {{{#004ea2,#5dabff 45.14%}}} || 42.80% || ▼2.34 || || '''장릉 삼성쉐르빌'''[* 주소상 풍무동이지만 풍무역보다 사우역이 직선거리상 더 가깝고, 풍무2·5지구 등과 동떨어져 있다.] || 44.16% || {{{#ef426f,#f36d8f '''50.45%'''}}} || △6.29 || || '''김포 길훈''' || 43.16% || {{{#ef426f,#f36d8f 45.29%}}} || △2.13 || || '''신화''' || 43.89% || {{{#ef426f,#f36d8f 44.94%}}} || △1.05 || 현역인 [[더불어민주당]] [[김두관]] 의원이 2020년 1월 23일 [[양산시 을]]로 차출되었다. [[유영록]] 전 김포시장[* 결국 [[무소속]]으로 출마하였다.]과 [[허숙정]]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기경환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는데 2월 15일 중앙당에서 [[전략공천]] 지역으로 지정하면서 예비후보들이 반발하고 있다.[* 이후 허숙정 후보는 [[열린민주당]]에 입당하였고, 비례대표 5번으로 출마하였으나 막판 여권 표가 [[더불어시민당]]으로 몰리며 낙선하였다.] 2020년 2월 19일, [[더불어민주당]]이 김포시 갑 지역구에 [[김주영(1961)|김주영]] 전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을 전략공천했다. [[자유한국당]]에선 [[박진호(정치인)|박진호]] 당협위원장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이변이 없으면 이대로 본선에 진출할 것으로 보인다. 이후 미래통합당에서 퓨처메이커 후보로 지정되었다. 선거 초기 [[의왕시·과천시]]의 선거 구도와 비슷하게 여권 지지표가 유영록 시장에게 크게 잠식당할 것으로 예측되어 미래통합당 박진호 후보의 당선 가능성이 높아졌으나 유영록 후보 측의 삽질과 선거 막판 미래통합당의 연이은 악재로 인해 중도층이 등 돌리며 더불어민주당 김주영 후보의 당선 가능성이 높아져갔다. 개표 결과 김주영이 완승을 거뒀다. 무소속으로 출마한 유영록은 10%도 못 넘기고 선거비용 단 한 푼도 보전 못 받으며 망했다.[* 사실 시장 재임기간 중에 김포 경전철을 뒤엎고 9호선 연장을 추진하였지만 결과적으로 [[김포 골드라인]] 개통이 지연되기만 하는 등 온갖 실책으로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서도 악평이 자자했기에 당에서 시장직 3선 도전도 컷오프 시켜버린 전력이 있다. 가뜩이나 그런데 국회의원 후보 공천은 그야말로 언감생심.... 선거 기간 중에는 민주당을 잡고 늘어지거나, 시민들을 선거 범죄로 선관위에 고발하거나, 상대 후보 학력비하를 하거나 하는 등의 상식외의 행동을 했다. 특히 학력 관련한 네거티브는 상대적으로 찍어줄 가능성이 높던 민주당 지지층을 등돌리게 하였다. 노무현의 경우 사법고시를 통과하긴 했지만 어찌 되었건 당장 [[김대중]]과 [[노무현]]부터가 고졸 출신이었기 때문.] 그리고 유영록은 느닷없이 2021년 2월 국민의힘에 입당했는데, 아무래도 차기 시장선거 출마를 노린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김병수]]에게 밀려 낙천돼 완전 쪽박만 찬 셈이 되었다. 여담으로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 [[바른미래당]] 출신 [[민생당]] [[하금성]] 전 국민의당 김포시 을 후보가 지역구에 출마를 선언했으나 컷오프되었다. 2년 전 바른미래당에 있었을 당시 논란 발언 끝에 제명되었던 것이 영향을 준 듯. 이후 하금성 후보는 '''[[정의당]]'''에 입당하여 시장 선거 출마를 준비하고 있다. 한편, 이 지역구를 떠나 [[경상남도]] [[양산시 을]]에 출마한 [[김두관]]은 1.68% 차이로 당선되었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김포시 갑|{{{#ffffff {{{+1 '''김포시 갑'''}}}}}}]][br]{{{#ffffff 김포본동, 사우동, 장기동, 풍무동, 고촌읍}}}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 0 ||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00.00% || || ||<|2> {{{#FFFFFF {{{+5 '''2'''}}}}}} || || 0 || || || [include(틀:국민의힘)] || 00.00% || || ||<|2> {{{#000000 {{{+5 '''3'''}}}}}} || || 0 || || || [include(틀:정의당)] || 00.00% || || ||<|3> '''계''' || '''선거인 수''' || ||<|3> '''투표율'''[br]00.00% ||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경기도의 정치]][[분류:김포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