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동명이인, rd1=김희선(동명이인))]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특별시|{{{#cfa547 서울}}}]] [[동대문 갑|{{{#cfa547 동대문구 갑}}}]])'''}}} || || 제14-15대[br][[노승우]] || → || '''제16-17대[br]김희선''' || → || 제18대[br][[장광근]][* 의원직 상실] ||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px]]]] {{{#580009,#fe8f9a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cfa547 국회}}}]] [[정무위원회|{{{#cfa547 정무위원장}}}]]'''}}} || || 제16대 후반기[br][[이강두]] || → || '''제17대 전반기[br]김희선''' || → || 제17대 후반기[br][[박병석]] || ---- }}} || ||<-2> {{{#ffffff '''대한민국 제16·17대 국회의원[br]{{{+1 김희선}}}[br]金希宣 | Kim Hee-se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31492-2-28006.jpg|width=100%]]}}} || ||<|2> '''출생''' ||[[1943년]] [[10월 28일]] ([age(1943-10-28)]세) || ||[[평안남도]] [[평원군(평안남도)|평원군]] || || '''본관''' ||[[의성 김씨]] || || '''학력''' ||[[대전여자상업고등학교]] {{{-2 (졸업)}}}[br]제이버대학교 국제코디연구원 {{{-2 (수료)}}}[br]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의회지도자과정 {{{-2 (수료)}}} || || '''종교''' ||[[개신교]]([[장로회|장로교]])[*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의 동원교회 [[집사]]이다.] || || '''가족''' ||남편 방국진, 슬하 1남 1녀 || || '''소속 정당''' ||[include(틀:무소속)] || || '''의원 선수''' ||'''2''' || || '''의원 대수''' ||'''[[제16대 국회의원|16]], [[제17대 국회의원|17]]''' || || '''약력''' ||서울YWCA 소비자모니터회 회장[br]한국여성의전화 초대원장 및 대표[br]한국여성단체연합 부회장[br]KBS 시청료거부운동 여성단체연합회 회장[br]민주주의 민족통일 전국연합 자주통일위원장[br]통일시대민주주의국민회의 공동대표[br]민주당 당무위원및 대외협력위원회 위원장[br]새정치국민회의 대통령선거대책본부 문화기획팀장[br]새정치국민회의 지도위원, 당무위원, 여성위원회 위원장[br]국민생활체육협의회 이사[br]국회 한.아일랜드친선협회 부회장[br]사회복지법인 다일복지재단 후원회장[br]대경대학교 겸임교수[br]새천년민주당 연수원장[br]민족정기를 세우는 의원모임 회장[br]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윤리특별위원회 위원[br]열린우리당 양성평등위원회 위원장, 여성위원회 위원장, 민주헌정수호특별본부 본부장[br]제17대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장[br]제17대 국회 문화관광위원회 위원[br]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대통령후보 여성특보단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 여성운동가, 사회운동가. == 생애 == 1943년, [[평안남도]] [[평원군(평안남도)|평원군]]에서 민족반역자 김일련의 딸로 태어났다. 이후 [[월남]]하여 대전여자상업고등학교에 재학하다 중퇴하였다. 이후 한국 여성의 전화 원장, KBS 시청료 거부 운동 여성단체연합회 회장, 민주주의 민족통일 전국연합 자주통일위원장, 통일시대민주주의국민회의 공동대표 등을 역임하며 사회운동을 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후보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한국당]] [[노승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자유민주연합]] 노승우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이후 새천년민주당 연수원장, 과거사진상규명특별위원회 간사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제16대 국회 임기 중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 회장을 맡아 [[친일반민족행위자]] 708인 명단 발표를 주도한 바 있다. 2003년 11월 [[조병옥]]의 친일 논란을 언급하였다가 한양 조씨 문중의 반발을 샀다.[* 참고로 조병옥의 차남인 [[조순형]] 당시 새천년민주당 대표와 김희선을 포함한 열린우리당 창당세력은 큰 갈등관계에 있었는데, 더 큰 갈등에 불을 지핀 셈이 되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한나라당]] [[장광근]]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2004년 중반부터 김희선 아버지의 친일 행적 의혹이 불거지기 시작했는데, 김희선의 부친이 바로 [[친일민족반역자|만주국 공안국 특무경찰로 독립운동가들을 탄압했던]] 김일련이라는 것이라는 것이 알려진 것이다. 김희선은 이에 대해 김희선은 부친이 조부인 김성범의 뒤를 이어 만주 봉천에서 농사를 지으며 작은 아버지 [[김학규]]의 독립운동을 지원했고, 본인도 한독당 특별당원으로 활동하였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김일련은 친일전적으로 일제가 패망한 후 소련에 붙잡혀 베르호얀스크 감옥[* 당시 이 감옥은 친일부역자들을 전문적으로 수감하는 장소였다.]에 수감됐고, 독립운동을 했다는 증거는 전혀 없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10&aid=0000002668|#]] '''게다가 당시 독립군이었던 [[한나라당]] [[이재오]] 의원의 아버지를 김일련이 잡아넣었다는 사실도 추가로 까발려졌다'''. [[http://m.ohmynews.com/NWS_Web/Mobile/at_pg.aspx?CNTN_CD=A0000269281|#]][[https://www.google.co.kr/amp/s/www.donga.com/news/amp/all/20050721/8211763/1|#]] 2005년 한나라당 국회의원들로부터 선거 당시 자신을 [[독립유공자|독립운동가]] 후손이라는 허위사실을 말했다면서 고소당했지만, 2007년 서울고등법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이번에는 한나라당 장광근 후보에게 패하였다. 민족반역자의 딸임에도 불구하고 항일여성독립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을 맡고 있다. 이는 독립운동가 [[김학규]]의 조카라는 점이 작용한 것이다.[* 김희선 본인 역시 김학규의 한국독립당 당원이었다고 주장하지만, 증거는 존재하지 않는다.] 2021년 9월 9일 [[더불어민주당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에서 [[이종걸]] 전 원내대표 등 전직 의원과 지자체장 42인과 함께 [[이재명]]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http://www.joseilbo.com/news/htmls/2021/09/20210909432782.html|#]]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4> 서울 [[동대문구 갑|동대문 갑]]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30,392 (33.92%) || 낙선 (2위) ||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32,971 (43.46%)''' ||<|2> '''당선 (1위)''' || '''초선''' [* 2003. 9. 20 탈당[br]2003. 11. 11 [[열린우리당]] 합류]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열린우리당)]''' || '''43,228 (44.08%)''' || '''재선'''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24,014 (32.86%) || 낙선 (2위) ||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16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17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분류:제16대 국회의원]][[분류:제17대 국회의원]][[분류:새천년민주당 국회의원]][[분류:열린우리당 국회의원]][[분류:대통합민주신당 국회의원]][[분류:통합민주당(2008년) 국회의원]][[분류:평원군 출신 인물]][[분류:1943년 출생]][[분류:의성 김씨]][[분류:실향민]][[분류:대한민국의 여성 정치인]][[분류:사회운동가 출신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장로회 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