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낮잠 공주 : 모르는 나의 이야기}}}''' (2017)[br]''ひるね姫 ~知らないワタシの物語~''[br]''ANCIEN AND THE MAGIC TABLET''[* 전부 대문자로 쓴다.][br]''Napping Princess: The Story of the Unknown Me''[* [[북미]]지역 개봉명칭. 북미 개봉명칭만 Napping Princess: The Story of the Unknown Me로 정하고 나머지 국가의 영문 표기는 ANCIEN AND THE MAGIC TABLET으로 동일하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낮잠공주.jpg|width=100%]]}}} || || '''장르''' || [[애니메이션]], [[판타지]], [[드라마]] || || '''감독''' || [[카미야마 켄지]] || || '''각본''' || [[카미야마 켄지]] || || '''캐릭터 원안''' || [[모리카와 사토코]] || || '''캐릭터 디자인 수정''' || 사사키 아츠코 || || '''총작화감독''' || 사사키 아츠코[br][[키세 카즈치카]] || || '''상영 시간''' || 110분 || || '''제작사''' || [[SIGNAL.MD]] || || '''수입사'''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주)[[얼리버드픽쳐스]][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GKIDS]] || || '''배급사'''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워너 브라더스 재팬[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와이드 릴리즈]](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GKIDS]] || || '''개봉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7년]] [[3월 18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7년]] [[8월 24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17년]] [[9월 8일]] || || '''월드 박스오피스''' || '''$1,108,649'''[[http://www.boxofficemojo.com/movies/intl/?page=&wk=2017W11&id=_fANCIENANDTHEMAGI01|링크1]][[http://www.boxofficemojo.com/movies/?id=nappingprincess.htm|링크2]][* [[미국]]과 [[영국]]에서 Napping Princess라는 이름으로 개봉하는 바람에, 항목이 두개로 쪼개져버렸다.] || || '''[[대한민국|{{{#fff,#2d2f34 대한민국}}}]] 총 관객 수''' || 8,145명 (최종)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ff,#2d2f34 국내 등급}}}]]''' || '''[[전체 이용가|[[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초기.svg|width=40]] {{{#000,#ddd 전체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애니메이션 영화]]. [[대한민국]]에는 '낮잠 공주: 모르는 나의 이야기'라는 명칭으로 들어왔다. == 예고편 == ||
[youtube(IbGN567W1HI)]|| || {{{#ffffff '''▲ 감상 매너 CM ''' }}} || ||
[youtube(lwosha9tmDs)]|| || {{{#ffffff '''▲ 예고편 ''' }}} || ||
[youtube(mq3Efz5ZVo0)]|| || {{{#ffffff '''▲ 한국 예고편 ''' }}} || ||
[youtube(oT6vxe4aoy0)]|| || {{{#ffffff '''▲ 북미 예고편 ''' }}} || == 등장인물 == * 모리카와 코코네 / 에인션 성우는 [[타카하타 미츠키]]/[[김영은]]/[[브리나 펠렌시아]]. 여주인공. 고3이며 허구한날 낮잠만 자는 여고생. * 사와타리 모리오 성우는 미츠시마 신노스케/[[심규혁]]/[[더그 어홀츠]]. 본작의 남주인공. 코코네의 소꿉친구인 대학생. * 와타나베 이치로 / 베완 성우는 후루타 아라타/[[양석정]]/Lex Woutas. 본작의 메인 빌런. 코코네의 아버지가 가지고 있는 태블릿PC를 노리며 코코네의 아버지와 코코네가 시지마 자동차 회장을 대면하는 것을 막으려 한다. 시지마 자동차를 차지할 야망을 가지고 있다. * 조이 성우는 [[쿠기미야 리에]]/[[정혜원(성우)|정혜원]]/[[콜린 오쇼너시]]. 코코네의 아버지가 코코네에게 들려주던 이야기에 나오는 인형. 코코네가 자는 꿈에서 조력자가 되어준다. == 줄거리 == [[오카야마]] 현 구라시키 시 [[세토 대교]]의 한 마을에서 무뚝뚝한 아버지와 둘이서 생활을 하고 있는 평범한 여고생 모리카와 코코네. 특기로 항상 낮잠만 자는 그녀였지만 최근 이상하게도 같은 꿈만 꾼다. 그러던 와중 [[2020 도쿄 올림픽]] 3일 전에 갑자기 아버지가 경찰에 체포되어 도쿄에 연행된다. 아버지가 나쁜 짓을 했다고는 생각되지 않는 코코네는 아버지가 체포된 수수께끼를 자력으로 해결하기 위해 소꿉친구 모리오를 데리고 도쿄로 향한다. 그녀는 자신이 항상 꾸는 꿈에 이 수수께끼를 해결하는 열쇠가 있다는 것을 알고, 특기인 '낮잠'을 무기로 꿈과 현실을 넘나들면서 이상한 여행을 떠난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napping-princess, critic=69, user=4.3)]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napping_princess, tomato=63, popcorn=53)] [include(틀:평가/IMDb, code=tt5731132, user=6.3)]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napping-princess, user=3.0)]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255025, presse=3.0, spectateurs=3.3)]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986939, user=6.654)]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56422, user=2.86)]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38547, user=6.4)]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26773938, user=6.0)] [include(틀:평가/왓챠, code=mO2MNzG, user=2.9)]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1135, light=없음)]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59683, expert=5.33, audience=7.37, user=6.74)]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10172, expert=6.3, user=6.3)] [include(틀:평가/CGV, code=79830, egg=81)]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37923, user=3.7)] > '''익숙한 눈호강''' > 송경원(★★★) > '''올드해서 오히려 신선한 재패니메이션''' > 이용철(★★★) > '''시대의 흐름에 편승하여 신 마법 도구인 테블릿 장착하고 등장한 마법공주. 빈티지 색감과 아기자기한 그림체로 꿈나라로 떠나는 모험이 지닌 복고적 감성을 그대로 계승한다''' > 박은영(★★★☆) > [[http://www.movist.com/movist3d/read.asp?type=2&type2=1&id=26049|꿈나라로 떠나는 아기자기한 감성 판타지 (오락성 7 작품성 6 )]] > 박은영 일본 관람객 평점에서는 유명한 감독이라 기대했는데 뚜껑을 열어보니 기대에 한참 못 미친다는 평이 대세. 하지만 한국 평론가들은 호평이다. 카미야마 켄지의 작품들 중에선 어딘가 부족한 작품인 건 확실하나 일본 리뷰 사이트의 경우 작품 내용부터가 [[아베 신조]]와 [[2020 도쿄 올림픽]]을 까는 내용이다보니 우익에게 평점 테러를 받은 정황이 많이 보인다. 작화에 상당히 공을 들인 애니메이션으로 [[키세 카즈치카]], [[이노우에 토시유키]], [[니시오 테츠야]], [[안도 마사시]], [[이소 미츠오]], [[아라이 코이치]], [[모리카와 사토코]], 사사키 아츠코, [[타케우치 아츠시]], [[Bahi JD]], [[아라이 요지로]] 등이 참여해서 작화는 매우 뛰어나다. 평론가 [[후지츠 료타]]는 일본 사회의 여러 모순을 폭로한 작품이라며 호평했다. [[https://animeanime.jp/article/2017/03/03/32794.html|#]] [[현실을 예견한 작품|정말로 아베 신조가 총리에서 물러나고 2020 도쿄 올림픽이 망해버리면서]] [[재평가|재조명을 받고 있기도 하다.]] == 흥행 == ||<-7> 출처 : [[http://www.boxofficemojo.com/movies/intl/?page=&wk=2017W11&id=_fANCIENANDTHEMAGI01|박스오피스]] [[http://www.boxofficemojo.com/movies/?id=nappingprincess.htm|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단위 :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2017년]] [[3월 18일]] || '''$1,108,649''' || [[2017년]] [[9월 3일]] || ||<-4> 개별 국가 || || '''[[일본]]''' || [[2017년]] [[3월 18일]] || '''$966,282 ''' || [[2017년]] [[3월 19일]] || || [[프랑스]] || [[2017년]] [[7월 12일]] || $54,271 || [[2017년]] [[7월 16일]] || || [[영국]] || [[2017년]] [[8월 18일]] || $43,773 || [[2017년]] [[8월 20일]] || || [[대한민국]] || [[2017년]] [[8월 24일]] || $41,387 || [[2017년]] [[8월 27일]] || || [[태국]] || [[2017년]] [[6월 8일]] || $2,936 || [[2017년]] [[6월 11일]] || === [[일본]] === 첫주 9위로 출발하면서 부진한 출발이다. === [[대한민국]] === ||<-7>
'''{{{#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 ||<-7> {{{#!folding [ 보이기 / 숨기기 ] || '''{{{#ffffff 주차}}}''' || '''{{{#ffffff 날짜}}}''' || '''{{{#ffffff 관람 인원}}}''' || '''{{{#ffffff 주간 합계 인원}}}''' || '''{{{#ffffff 순위}}}''' || '''{{{#ffffff 일일 매출액}}}''' || '''{{{#ffffff 주간 합계 매출액}}}''' || || {{{#ffffff 개봉 전}}} || || 358명 || 358명 || -위 || 2,831,000원 || 2,831,000원 || ||<|7> {{{#ffffff 1주차}}} ||2017-08-24. 1일차(목) || 1,271명 ||<|7> -명 || 20위 || 8,804,900원 ||<|7> -원 || ||2017-08-25. 2일차(금) || 746명 || 23위 || 5,635,300원 || ||2017-08-26. 3일차(토) || 2,060명 || 19위 || 15,101,500원 || ||2017-08-27. 4일차(일) || 1,898명 || 19위 || 14,229,400원 || ||2017-08-28. 5일차(월) || 464명 || 27위 || 3,184,000원 || ||2017-08-29. 6일차(화) || 495명 || 24위 || 3,361,500원 || ||2017-08-30. 7일차(수) || 152명 || 44위 || 987,800원 || ||<|7> {{{#ffffff 2주차}}} ||2017-08-31. 8일차(목) || 256명 ||<|7> -명 || 36위 || 1,289,000원 ||<|7> -원 || ||2017-09-01. 9일차(금) || 130명 || 38위 || 715,000원 || ||2017-09-02. 10일차(토) || 69명 || 66위 || 345,000원 || ||2017-09-03. 11일차(일) || 56명 || 59위 || 280,000원 || ||2017-09-04. 12일차(월) || 115명 || 44위 || 574,000원 || ||2017-09-05. 13일차(화) || 4명 || 92위 || 20,000원 || ||2017-09-06. 14일차(수) || 11명 || 79위 || 55,000원 || ||<|7> {{{#ffffff 3주차}}} ||2017-09-07. 15일차(목)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17-09-08. 16일차(금) || -명 || -위 || -원 || ||2017-09-09. 17일차(토) || -명 || -위 || -원 || ||2017-09-10. 18일차(일) || -명 || -위 || -원 || ||2017-09-11. 19일차(월) || -명 || -위 || -원 || ||2017-09-12. 20일차(화) || -명 || -위 || -원 || ||2017-09-13. 21일차(수) || -명 || -위 || -원 || ||<|7> {{{#ffffff 4주차}}} ||2017-09-14. 22일차(목)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17-09-15. 23일차(금) || -명 || -위 || -원 || ||2017-09-16. 24일차(토) || -명 || -위 || -원 || ||2017-09-17. 25일차(일) || -명 || -위 || -원 || ||2017-09-18. 26일차(월) || -명 || -위 || -원 || ||2017-09-19. 27일차(화) || -명 || -위 || -원 || ||2017-09-20. 28일차(수) || -명 || -위 || -원 ||}}} || || '''{{{#ffffff 합계 }}}''' ||<-6> '''누적관객수 8,085명, 누적매출액 57,413,400원'''[* ~ 2017/09/6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일 경우 볼드체 칠해주시기 바랍니다. [[2017년]] [[8월 24일]] 개봉했다. Wide개봉이 아니라 극소수의 극장에서 상영하는 [[제한적 상영]]이다. 흥행은 이미 극장 확보 실패 시점부터 망했다. [[CGV]]와 [[메가박스]]는 [[손가락]], [[발가락]] 다 합친 20개 두번으로 셀 수 있을 지경이다. [[스튜디오 지브리]]나 [[신카이 마코토]]의 작품 외의 일본 극장용 애니메이션으로서는 이례적으로 더빙이 이루어졌다.[* 인지도와 흥행성적 모두 본작에게 앞서는 [[목소리의 형태]]와 [[마음이 외치고 싶어해]]도 더빙이 되지 않았다는 걸 생각하면 의외의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성우진은 주인공 코코네 역에 [[김영은(성우)|김영은]], 남주인공 역에는 과거 [[언어의 정원|다른 극장용 애니메이션]]의 [[아키즈키 타카오|주인공]] 역을 맡은 바 있는 [[심규혁]]이 캐스팅되었으며, 일본판 출연진이 실사배우 위주인지라 한국판에 대한 평이 더 나은 편이다. 메가박스는 그동안 일본 극장용 애니메이션을 잘 갖다줬다는 평을 뒤엎어 버릴 정도로 제일 개봉관을 적게 줬다. [[서울특별시]]만 해도 [[메가박스 코엑스|코엑스]], 동대문 딱 2개(코엑스 2회, 동대문 3회)를 포함해서 전국에 딱 18곳에서 개봉한다. [[CGV]]는 42개 점포에서 개봉. 그나마 [[롯데시네마]]가 개봉관이 좀 많았는데, 74개 지점에서 개봉했다. 그것도 절반 이상인 42개 개봉관이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에 몰려있다. 사실 이건 어쩔수 없는게 이 작품은 일본 본토에서의 흥행부터가 시원치 않았기 때문에... 결국 개봉 2주차인 8월 31일에 들어서면서 스크린수가 급감해버렸고 사실상 관객수 1만명도 못 넘기고 종영수순에 들어갔다. 같은 날에 VOD 서비스 개시. 더빙판으로만 서비스하다가 일본에서 블루레이를 발매할 때 자막판도 서비스가 시작되었고 가격도 4천원대로 인하되었다. 그렇게 부진한 흥행성적과 함께 2주차 만에 허무하게 종영되었다. === [[북미]] === [[2017년]] [[9월 8일]] 개봉되었다. 영어 더빙판으로 상영되었다. == OST == === Daydream Believer === [youtube(JM_aYiHvako)] 미국의 록 밴드 [[몽키즈|The Monkees]]의 동명의 노래 Daydream Believer. 1989년 더 타이머즈가 일본어로 번안한 곡을 어레인지 했다. 노래는 모리카와 코코네의 성우 [[타카하타 미츠키]]. 감독이 [[동쪽의 에덴]]에서 [[오아시스(밴드)|오아시스]]의 곡을 그대로 쓴 것과는 다르게, 가사도 분위기도 악기도 완전히 바뀌어서 멜로디 말고는 완전 다른 노래가 됐다. 가사도 코코네의 아버지와 작중에서는 이미 죽은 어머니 사이에 관한 노래로 원곡과는 다르다. 낮잠(정확히는 꿈)을 소재로 하는 영화와 딱 맞아서 공감하며 들을 수 있다. ==== 가사 ==== || もう今は 彼女はどこにもいない 이제 더이상 그녀는 어디에도 없어 朝はやく 目覚ましがなっても 아침일찍 눈을 떠도 そういつも 彼女とくらしてきたよ 그래 언제나 그녀와 살고 있어 ケンカしたり 仲直りしたり 싸움도 하고 화해도 하면서 ずっと夢を見て 安心してた 쭉 꿈을 꾸면서 안심했었지 僕は Daydream Believer そんで 나는 Daydream Believer 그리고 彼女はクイーン 그녀는 Queen でもそれは 遠い遠い思い出 하지만 그건 너무나도 옛 추억 日がくれて テーブルにすわっても 노을진 테이블에 앉으면 Ah 今は彼女 写真の中で 아 그녀는 지금 사진속에서 やさしい目で 僕に微笑む 따듯한 눈으로 나에게 미소짓고 있어 ずっと夢を見て 幸せだったな 쭉 꿈을 꾸면서 행복했었지 僕は Day Dream Believer そんで 나는 Daydream Believer 그리고 彼女はクイーン 그녀는 Queen ずっと夢を見て 安心してた 쭉 꿈을 꾸면서 안심했었지 僕は Day Dream Believer そんで 나는 Daydream Believer 그리고 彼女はクイーン 그녀는 Queen Ah Ah Ah Ah Ah Ah Ah Ah ずっと夢を見て いまもみてる 쭉 꿈을 꾸어왔고 지금도 꾸고 있어 僕は Day Dream Believer そんで 나는 Daydream Believer 그리고 彼女はクイーン 그녀는 Queen ずっと夢を見て 安心してた 쭉 꿈을 꾸면서 안심했었지 僕は Day Dream Believer そんで 나는 Daydream Believer 그리고 彼女はクイーン 그녀는 Queen ずっと夢見させて くれてありがとう 쭉 꿈을 꿀 수 있게 해줘서 고마워 僕は Day Dream Believer そんで 나는 Daydream Believer 그리고 彼女はクイーン 그녀는 Queen || == 미디어믹스 == === 소설 === === 소설(카도카와 츠바사 문고) === === 가이드북 === === 카미야마 켄지 Walker 워커 무크 === == 수상 == * [[제45회 애니상]] 장편 독립 애니메이션 상 후보이다. [[목소리의 형태(애니메이션)|목소리의 형태]]를 제치고 올라온 것이라 매우 의외라는 평가가 많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겅호 온라인 엔터테인먼트 투자 애니메이션)] == 기타 == * 극장판 말고도 '또 하나의 이야기'로서 단편 애니메이션이 제작중이라는 밝혔다. 극장 애니메이션 본편의 주인공 '코코네'의 꿈에 등장하는 소녀가 펼치는 모험을 다룬 작품이다. 2017년 3월 상순부터 동영상 서비스 Hulu를 통해 방영된다.([[http://natalie.mu/eiga/news/219931|#]]) * [[도쿄도 교통국]]에서 [[닛포리·토네리 라이너]]를 타면서 순회 퀴즈 랠리를 한다.([[http://www.kotsu.metro.tokyo.jp/newsevent/news/nippori_toneri/2017/ntl_p_201702136035_h.html|#]]) == 외부 링크 == * [[http://wwws.warnerbros.co.jp/hirunehime/|공식 홈페이지]] * [[https://twitter.com/hirune_hime|공식 트위터]] [[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일본의 애니메이션 영화]][[분류:일본의 판타지 영화]][[분류:일본의 드라마 영화]][[분류:2017년 영화]][[분류:Production 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