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1 네덜란드령 브라질[br]Dutch Brazil (New Holland)[br]Nederlands-Brazilië (Nieuw-Holland)}}}''' || ||<-2> || || ||<-2> '''국기''' || '''휘장''' || ||<-3> [[1630년|'''{{{#fff 1630년}}}''']] [[2월 16일|'''{{{#fff 2월 16일}}}''']]'''~'''[[1654년|'''{{{#fff 1654년}}}''']] [[1월 28일|'''{{{#fff 1월 28일}}}''']] || ||<-2> '''{{{#fff 설립 이전}}}''' || '''{{{#fff 멸망 이후}}}''' || ||<-2> '''[[브라질 식민지|{{{#000 브라질 식민지}}}]]''' || '''[[브라질 식민지|{{{#000 브라질 식민지}}}]]''' || || '''현재 영토''' ||<-2>[[브라질]] || || '''역사''' ||<-2>{{{#!folding [ 펼치기 · 접기 ] [[1630년]] [[2월 16일]] 설립[br][[1654년]] [[1월 28일]] 폐지 }}} || || '''수도''' ||<-2>[[마우리츠스타트]](현재 [[헤시피]]) || || '''언어''' ||<-2>[[네덜란드어]][br][[포르투갈어]][br]토착 언어 || || '''국교''' ||<-2>[[네덜란드 개혁교회]],,(공식),,[br][[가톨릭]][br][[애니미즘]][br][[유대교]] || [목차] [clearfix] == 개요 == [[브라질]]에 세워졌었던 [[네덜란드]]의 식민지로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의 주도로 설립되었다. == 역사 == [[1594년]], [[펠리페 2세]]는 [[네덜란드 독립전쟁]]으로 새로 세워진 [[네덜란드 공화국]]에 1년에 한번 [[브라질]]로 향할 수 있게 혀용했고 이후 [[합스부르크 가문]]과의 협상을 통해 12년 휴전 협정을 했고 이 기간 동안 브라질에 정착해있던 [[포르투갈인]]들과의 무역을 승인했다. 휴전기간 동안 네덜란드는 공격적으로 무역로를 늘렸고 브라질과 [[유럽]] 사이 무역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게 된다. [[1622년]]에는 약 30년전과 비교했을 때 10배 가량 늘은 29개의 설탕 정제소를 운영했다. 휴전 협정이 만료되자마자 네덜란드는 휴전기간동안 인가를 보류하기로 약속한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를 설립했고 [[네덜란드-포르투갈 전쟁]]은 계속 이어졌다. [[1630년]],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는 [[2월 16일]] [[올린다]]를, [[3월 3일]]에는 [[헤시피]]를 장악하게 된다. [[1637년]], [[세아라]]를 점령했고 [[서아프리카]]에도 항해를 해 [[네덜란드령 골드코스트]]의 수도가 될 [[포르투갈령 골드코스트]]의 엘미나성(현 [[가나]]에 위치)을 함락시키게 된다. [[1641년]]에는 [[마라냥]]을 장악한다. 한편, [[1640년]]에 [[포르투갈 왕국]]은 [[포르투갈 독립 전쟁]]을 시작했고 네덜란드와 [[포르투갈]]은 휴전 협정을 맺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우리츠 판 나사우]]는 [[헨드릭 브라우어르]]를 [[칠레]] [[발디비아]]에 보내 전초기지를 설립하려다 실패했다. 적대적 관계를 원치않던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는 군비 삭감 등을 이유로 판 나사우를 유럽으로 부르게 된다. 한편, [[스페인]]은 포르투갈과의 전쟁을 벌이면서 원래 포르투갈령이었던 브라질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 개입하지 않게 된다. [[1645년]], 포르투갈 농장주들은 네덜란드령 서인도 회사에 대한 불만을 품고 폭동을 일으켰고 1년 후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는 4개의 지역만 소유할 정도로 축소되었다. [[1648년]], 네덜란드와 [[스페인 제국]]은 [[뮌스터 평화 협정]]을 통해 [[30년 전쟁]]과 80년 전쟁을 끝내고 독립 인정을 받게 된다. 이 평화 협정에 반대를 헸던 제일란트는 반대를 묵인하는 대가로 빼앗긴 브라질 영토를 되찾을 수 있을 만큼 다른 주로부터 자금을 받기로 약속받는다. [[1648년]], 포르투갈은 헤시피 주변에서 벌어진 [[제1차 과라라페스 전투]]에서 승리를 했고 [[앙골라]]를 [[앙골라 재정복|재점령]]하면서 네덜란드령 브라질은 큰 타격을 입게 된다. [[앙골라인]] 출신 노예들은 네덜란드령 브라질의 생산력에 큰 몫을 차지했기 때문에 식민지 유지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1649년]] [[2월 19일]], 포르투갈은 [[제2차 과라라페스 전투]]에서 승리를 하면서 점차 포르투갈 쪽으로 전쟁은 기울게 되고 마지막으로 [[1652년]]부터 시작된 [[헤시피 재점령 전투]]에서도 승리를 거두자 [[1654년]] [[1월 28일]] 네덜란드령 브라질은 포르투갈로 넘겨지게 된다. 이후, 쫓겨난 네덜란드인들은 본국으로 돌아가거나 [[북아메리카]]에 설립된 [[뉴네덜란드]]로 향하게 된다. [[포르투갈 제국]]은 브라질을 얻은 대신 400만 포르투갈 헤알을 16년에 걸쳐 네덜란드에게 배상해 주기로 하는 [[헤이그 조약(1661)|헤이그 조약]]에 서명한다. [[분류:16세기 설립]][[분류:17세기 멸망]][[분류:네덜란드의 역사]][[분류:브라질의 역사]][[분류:포르투갈의 역사]][[분류:스페인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