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네뷸러상)] [목차] == 개요 == {{{+2 '''Best Game Writing'''}}} 한 해 동안 공개된 내러티브나 캐릭터, 배경 설정을 전달하는 상호작용이나 플레이가 가능한 [[사이언스 픽션|SF]] 및 [[판타지]] 장르의 스토리 중심 작품들을 대상으로 하는 [[네뷸러상]]의 한 부문. 네뷸러상을 수여하는 미국SF판타지작가협회(SFWA)는 2016년부터 게임 각본가들도 회원으로 받아들였는데, 그로부터 3년 뒤인 2019년부터 시작된 부문이다. [[미국]] 내에서 [[영어]]로 공개된 작품들이 대상이다. == 수상 목록 == * '''굵은 글씨'''로 되어있는 것은 수상작, 나머지는 후보작들이다. * [[휴고상]]과 네뷸러상을 같이 수상한 경우 ★표시 === 2010년대 === * 제54회 (2018년) '''찰리 브루커 《[[블랙 미러|블랙 미러: 밴더스내치]]》''' * 케이트 하트필드 《The Road to Canterbury》 * 매튜 소포스 외 《[[갓 오브 워]]》 * 나탈리아 테오도리두 《Rent-A-Vice》 * M. 다루사 웸 《The Martian Job》 * 제55회 (2019년) '''레너드 보야르스키 외 《[[아우터 월드]]》''' * 켈시 버첨 《[[Outer Wilds|아우터 와일즈]]》 * 케이트 하트필드 《The Magician's Workshop》 * 로버트 쿠르비츠 외 《[[Disco Elysium|디스코 엘리시움]]》 * 엘사 주네슨 헨리 《[[페이트(TRPG)#s-5|페이트 접근성 툴킷]]》 === 2020년대 === * 제56회 (2020년) '''그렉 카사빈 《[[Hades(게임)|하데스]]》 ★''' * 샘 카보 애쉬웰, 캣 매닝, 케일럽 윌슨, [[이윤하]] 《Scents & Semiosis》 * 피비 바튼 《The Luminous Underground》 * 스티븐 벨, 조엘 클락, 샘 로젠탈 《Blaseball》 * 제이크 일리엇 《[[Kentucky Route Zero|켄터키 루트 제로]]》 * 니콜라스 거린, 막심 모나스트, 알렉스 토미 모린 《[[Spiritfarer|스피릿페어러]]》 * 제57회 (2021년) '''에이프릴 킷 월시 외 《[[아포칼립스 월드#s-3|목마른 레즈비언 검객들]]》''' * 코너 알렉산더 외 《Coyote & Crow》 * 네이트 오스틴, 앤 오스틴, 더글러스 오스틴 《[[Wildermyth|윌더미스]]》 * 제이 드래곤 《Wanderhome》 * 발로군 오제타데 《Granma's Hand》 * 제58회 (2022년) '''[[조지 R.R. 마틴]], [[미야자키 히데타카]] 《[[엘든 링]]》''' * [[조슈아 에릭 소여]] 외 《[[펜티먼트]]》 * 아지트 A. 조지 외 《[[Dungeons & Dragons 5th#s-1.1|빛나는 성채를 통한 여행]]》 * 스티븐 러너, 비비안 메르메 귀에네, 콜라스 쿨라 《[[Stray|스트레이]]》 * 벤 맥카우 외 《[[호라이즌 포비든 웨스트]]》 * 나탈리아 테오도리두 《[[월드 오브 다크니스#s-5|뱀파이어: 더 마스커레이드 - 신즈 오브 더 시어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네뷸러상, version=90, paragraph=2.7)] [[분류:네뷸러상]][[분류:게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