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웹툰 엔터테인먼트)] [include(틀:네이버)] ||<-2> {{{+1 '''네이버 웹툰'''}}}[br]NAVER WEBTO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네이버 웹툰 로고.svg|width=100%]]}}} || || '''정식명'''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 || '''영문명''' ||Naver Webtoon Corporation. || || '''대표''' ||[[김준구]] || || '''설립''' ||[[2017년]] [[5월 10일]] || || '''업종''' ||디지털 콘텐츠 사업 || || '''기업규모''' ||[[대기업]] || || '''모기업''' ||[[웹툰 엔터테인먼트]]([[네이버(기업)|네이버]]) || || '''소재지''' ||경기 성남시 분당구 분당내곡로 117, 9층 || || '''링크''' ||[[https://webtoonscorp.com/|공식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네이버(기업)|네이버]]의 자회사로 네이버의 콘텐츠 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 서비스 == [[https://webtoonscorp.com|서비스 정보]] * [[네이버 웹툰]] * [[WEBTOON|글로벌 웹툰]] * [[WEBTOON#s-3.2|라인 망가]] * [[네이버 웹소설]] * [[네이버 시리즈|시리즈]] * [[네이버 시리즈on|시리즈ON]] * [[왓패드]](Wattpad)[* 캐나다의 [[웹소설]] 플랫폼] * [[욘더(웹소설 플랫폼)|욘더]](YONDER)[* 미국의 [[웹소설]] 플랫폼] * [[문피아]][* 2021년 8월 [[문피아]] 지분 56.26%를 약 1700억원에 인수해 최대 주주 자리에 올랐다. [[https://www.chosun.com/economy/economy_general/2021/10/01/CS6HKASXOVGSDE2LYGIP3RT7CA/|기사]]] * [[https://ai.webtoons.com/painter|네이버웹툰 자동채색]][* 색상을 고르면 AI가 채색해주는 기능이다.] == 계열사 == * 웹툰엔터테인먼트 *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 '''[[스튜디오N]]''': 2018년 8월 설립된 영상콘텐츠 제작사. 모회사인 [[네이버웹툰]]의 [[지식재산권|IP]]를 영상화하기 위한 스튜디오다. * '''[[스튜디오 리코]]''': 2017년에 설립된 [[웹툰]] [[애니메이션]] 제작 스튜디오. * '''[[플레이리스트(기업)|플레이리스트]]''': 2017년 [[스노우(기업)|스노우]]와 [[네이버웹툰]]이 합작으로 설립한 웹드라마 제작사. * '''세미콜론스튜디오''': 2018년 4월 분할한 [[영화]]제작사. 최대주주는 [[스노우(기업)|스노우]]이다. * '''바닷두''': AI 스타트업 기업 * '''[[문피아]]''' : 2021년 8월 문피아 지분 56.26%를 약 1700억원에 인수해 최대 주주 자리에 올랐다.[[https://www.chosun.com/economy/economy_general/2021/10/01/CS6HKASXOVGSDE2LYGIP3RT7CA/|#]] * '''[[로커스 스튜디오|로커스]]''': 대한민국의 애니메이션 제작사이자 VFX 전문기업. 자회사로 영화 제작 · 배급사 [[싸이더스]]와 가상인간 [[오로지(버추얼 인플루언서)|로지]]를 만든 로커스 엑스 등을 두고 있으며, 2021년 12월 네이버 웹툰이 지분 52.19%를 235억원에 인수함으로서 최대주주가 되었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285766629281800&mediaCodeNo=257&OutLnkChk=Y|#]] * '''라인 디지털 프론티어''': 일본 법인. 라인 망가를 운영한다. * 네이버웹툰컴퍼니 주식회사: 국내 네이버 웹툰 사업을 영위하던 법인으로, 지배구조 개편 이후 현재는 중국 계열사를 관리하고 있다. * '''[[욘더(웹소설 플랫폼)|욘더]]''': 웹소설 플랫폼. [[왓패드]]와는 다르게 팬픽은 연재하지 않고, 프리미엄 서비스에 집중한다. * '''[[왓패드]]''': 월간 이용자가 9000만 명이나 되는 웹소설 플랫폼, 무려 그 [[텐센트]]가 노리고 있었던 플랫폼이었다고한다. [[2021년]] [[1월 20일]]에 네이버 본사가 한화 6000억 원으로 인수하였고[[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11&aid=0003859886|#]] [[5월 11일]]에 [[https://zdnet.co.kr/view/?no=20210511081147|인수]] 완료하였으며 네이버가 단행한 단일 인수 건 중 최대 규모의 금액이라고한다. 이 인수로 인해 [[네이버 웹툰]]과의 연계로 일으킬 시너지와 두 플랫폼이 결합함으로서 IP 및 콘텐츠 시장에서 존재감 강력한 경쟁력을 갖춤과 동시에 넓어진 사업 보폭과 시장 점유율 등 회사의 무형가치가 더해져 회사의 몸값이 더 뛸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 '''Wattpad Webtoon Studios''': 네이버와 [[왓패드]]가 글로벌 영상 사업에 시너지를 내기 위해 설립한 스튜디오. * '''Webtoon Unscrolled''': 그래픽노블 임프린트. 네이버웹툰 작품의 북미권 단행본 출판을 담당한다. == 지배 구조 == 네이버 웹툰 유한회사, 2020년 8월 1일 기준 || 주주명 || 지분율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웹툰 엔터테인먼트]]|| 100%|| == 웹툰 엔터테인먼트 == [[네이버 웹툰]]의 모기업 미국 법인. 현재는 웹툰의 글로벌 확장을 위해 웹툰 관련 콘텐츠 업무를 총괄한다. 2020년 5월, 네이버 웹툰의 본사를 미국 LA로 이전하고, 이에 따라 미국 법인인 웹툰엔터테인먼트를 본사로 하는 전략을 발표했다. [[https://www.bloter.net/archives/398837|#]] 이에 따라 지배구조도 개편되는데 네이버웹툰 주식회사는 웹툰 엔터테인먼트코리아와 합병된다. [[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006190837231440104386&lcode=00|#]] 국내 웹툰 사업은 '네이버웹툰 유한회사'가 담당하하게 되고, 중국사업 부문은 '네이버웹툰컴퍼니 주식회사'가 담당하게 된다. 이번 구조 개편으로 인해 웹툰 엔터테인먼트 지분은 [[네이버(기업)|네이버]]가 66.6%, [[라인(기업)|라인]]이 33.4%를 차지하고, 네이버 웹툰, 라인 디지털 프런티어[* [[라인(기업)|라인]]이 지분을 70% 이상 가지고 있어서 여러모로 네이버 웹툰이 관리하기 뭐했다.], 와통 엔터테인먼트는 웹툰 엔터테인먼트의 자회사가 되면서 글로벌 웹툰 사업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되었다. 단, 와통 엔터테인먼트의 경우 중국회사가 미국계 회사가 될 경우 중국정부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네이버웹툰 컴퍼니'라는 한국법인의 단계를 하나 걸쳐서 소유하게 된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006220946501400103784&lcode=00|#]] 또 일본 웹툰을 자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면서 일본쪽 사업에 조금 더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2020년 기준으로 라인 망가의 턱밑까지 쫓아온 [[카카오(기업)|카카오]]의 [[픽코마]]를 견제하기 위해 다양한 작업을 할 것으로 보인다. == [[/관련 사업|관련 사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네이버 웹툰(기업)/관련 사업)] == 기타 == * [[삼성전자]]가 네이버에 동남아에서 출시하는 자사의 [[삼성 갤럭시|갤럭시 스마트폰]]에 웹툰 앱 탑재를 제안했다고 한다.[[https://cm.asiae.co.kr/ranking-view/20200708/2020070809420305210|링크]] * 2019년, 다양한 부분에서 AI를 접목하고 있다. 인공지능 추천 기능이나 댓글을 걸러주는 클린봇 같은 것들. 불법 웹툰 사이트도 AI를 통해서 탐지한다고 한다. 작가들이 더욱 쉽고 빠르게 웹툰을 그릴 수 있도록 자동 펜선과 채색 기능을 해주는 시스템을 개발 중이라고 한다. [[https://www.etnews.com/20191030000055|#]] 비슷한 기술이야 이미 많이 개발이 되었지만 웹툰 작가들의 작업에 특화된 시스템이기 때문에 기대가 되는 상황. 작가가 러프를 그리면 AI가 자동으로 펜선을 따주고 원하는 부분을 알아서 채색해주는 방식이다. 기술 개발은 어느정도 된 상황이고 작가들이 사용하는 툴에 연계시키는 중이라고 한다.네이버 웹툰 작가들 뿐만이 아니라 일반 아마추어 작가들도 사용할 수 있게 할 계획이라고 한다. 작가의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여줄 수 있기 때문에 기술 개발 이후 웹툰의 퀄리티를 크게 높여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후 2021년 최신기사가 나왔는데 여전히 개발중이라고 한다. 기술명은 오토드로잉.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277&aid=0004889081|#]] 이후 10월 27일에 자동채색 베타 서비스가 시행되었는데, 이전의 자동채색과는 확연히 다른 퀄리티로 호평이 자자하다. 이전과 달리 실제로 볼만한 정도로 완성이 쉽다는 점이 장점. 다만 실제 작가진보다는 원하는 흑백짤을 맘대로 채색할 수 있게 된 일부 오덕계층에서 더 열광적인 주목을 받고있다. 이 때 일반적인 캐릭터 채색을 하려면 모드를 기본 모델보다는 그리자이유 모델로 바꿔야 더 낫다는 평이 많으니 참고. 정작 웹툰 작업을 진행하는 작가층에서는 톤이 들어간 채색 보조보다도 밑색 보조가 시급하다는 점, 높은 정확도로 영역을 인식하는 기능이 인물의 얼굴에 한정되는 점, 최대 2000*2000 사이즈만을 지원하는 점, 출력물의 사이즈가 정사각비로 고정되는 등을 이유로 사용되지 않고 있어. 말 그대로 빅데이터를 모으기 위한 베타 버전으로 추정되니 차후를 기대하자. * 2020년 9월 15일, 지배구조 개편에 따라 서비스 주체가 네이버웹툰 주식회사에서 네이버웹툰 유한회사로 변경된다. [[https://nstore.naver.com/notice/read/1100001066/10000000000030669752|기사]] * 2021년 5월 11일, 네이버가 [[캐나다]]의 웹소설 플랫폼 [[왓패드]](Wattpad)를 [[https://zdnet.co.kr/view/?no=20210511081147|인수]]했다. [[분류:네이버 웹툰(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