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نوروز / Nowruz}}}[* [[이란]] [[페르시아어]]에선 노루즈(Nowrūz), [[아프가니스탄]] [[다리어]]에선 나우로즈(Nawrōz), [[타지키스탄]] [[타지크어]]에선 나브루즈(Наврӯз)라고 읽는다.] == 개요 == 노루즈는 페르시아권에서의 신년이다. 매년 [[춘분]]에 치루어진다. 페르시아 신년 또는 이란 신년이라고도 한다. == 상세 == 뜻을 풀이하면 "새로운 날"[* 새로운이라는 단어는 인도-유럽어종이 서로 비슷하다. new(영어), nuevo(스페인어), Nouveau/nouvelle(프랑스어),новый(러시아어)만 봐도 알 수 있다.]라는 뜻이며, 설날이나 신년과 같은 의미이다. 페르시아력은 봄을 새해의 첫날로 치기 때문에 춘분인 이날이 페르시아인이 치르는 설날이 되었다. 페르시아의 이슬람화 이전부터 있었던 유래깊은 전통으로, 이슬람화를 거쳐도 살아남은 몇 안되는 페르시아계 명절로, 이란의 음력설 비슷한 위상을 지닌 공휴일이기도 하다. 2010년에는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고, 이란은 이를 기념하는 우표를 만들었다. 페르시아/이란 또는 쿠르드의 정체성을 걸치고 있는 민족집단은 종교에 상관없이 국내외에서 치른다.[* [[파르시]], [[페르시아계 유대인]], [[바하이]] 교도, 무슬림 쿠르드, [[야지디]] 교도, 세속 쿠르드 등] 1980년대까지는 노루즈가 휴일인 국가는 [[페르시아력]]의 새해로 쇠는 [[이란]]과 [[아프가니스탄]] 뿐이었으나, 소련 붕괴 이후에는 이슬람 계열 구소련 공화국들([[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도 휴일로 지정했다. 나라는 아니지만 [[신장 위구르 자치구]], [[다게스탄]] 등 페르시아/ [[튀르크]]계 민족 문화권에서도 이 시기에 다양하고 큰 행사들이 열린다. 물론 [[그레고리력]]을 사용하는 구소련 지역과 위구르에서는 새해로서의 의미가 약해지고 봄축제로 여겨진다. == 신화 == [[쿠르드족]], [[페르시아 신화]], [[조로아스터교]]의 신화에서 그 기원이 나온다. 공통적인 줄거리로는 악신 [[아흐리만]]으로부터 힘을 얻은 폭군 [[아지다하카]][* 줄여서 '다하카'라고도 한다.]가 페르시아를 1천여년 동안 지배를하며 겨울이 찾아왔고, 그의 지배를 받는 백성들은 그의 양 어깨에 하나씩 돋은 독사에게 바칠 젊은이의 [[두뇌]]를 매일 진상해야했다.[* 쿠르드족 신화에선 백성들은 적어도 한 명의 젊은이라도 살리기 위해 하나는 진짜 사람의 두뇌, 나머지 하나는 [[양(동물)|양]]의 두뇌를 바쳤다고하며, 이렇게 살아남은 젊은이들이 쿠르드족이라고 한다.][* 페르시아권에선 백성들 중 [[파리둔]]의 부모가 파리둔을 재물로 바치는걸 원하지 않아 숨겼다.] 샤 라프 나마에 적혀있는 쿠르드족 신화에선 다하카에게 아들을 여럿 잃은 대장장이 카와는 백성들과 함께 반란을 일으키고 다하카의 머리를 망치로 쳐서 물리치고, 페르시아권에선 [[파리둔]]이 선왕 [[잠시드]]의 딸들의 도움으로 잠입해서 그와 싸워 이겼다고 한다. 혹은 둘 다 서로 힘을 합쳐서 물리쳤다고 하는데, 이 일은 모두 공통적으로 [[3월 20일]]이다. 이후 승리자가 폭군이 죽었다는 걸 사람들에게 널리 알리기 위해 산 위에 모닥불을 피웠고, 이에 봄은 하루 늦은 [[3월 21일]] 그 다음 날에 왔다. 이 때문에 남부와 동부 쿠르드 뿐만 아니라 페르시아권 문화권에서는 오늘날까지 모닥불을 만들고 이 불을 뛰어 넘으며서 돌아온 봄을 축하하고, 그들이 큰 힘에 단결하여 맞서 싸운 것을 나타내고 있다.[[https://geology.tistory.com/510|#]] [youtube(dcSe1ggaJ5g)] == 둘러보기 == [include(틀:이란 관련 문서)] [include(틀:아프가니스탄 관련 문서)] [[분류:명절]][[분류:이란의 문화]][[분류:아프가니스탄의 문화]][[분류:타지키스탄의 문화]][[분류:우즈베키스탄의 문화]][[분류:투르크메니스탄의 문화]][[분류:키르기스스탄의 문화]][[분류:카자흐스탄의 문화]][[분류:튀르키예의 문화]][[분류:아제르바이잔의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