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로스터)] ---- ||
'''{{{#ffef00 놀란 아레나도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WBC 우승 반지''' || || '''[[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ffffff 2017}}}]]''' || ---- ||<-4>
[[파일:2015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파일:2016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파일:2017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파일:2018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파일:2019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파일:2021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파일:2022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파일:2023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 [br]'''메이저 리그 베이스볼[br]올스타'''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15년|{{{#ffffff 2015}}}]]'''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16년|{{{#ffffff 2016}}}]]'''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17년|{{{#ffffff 2017}}}]]'''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18년|{{{#ffffff 2018}}}]]'''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19년|{{{#ffffff 2019}}}]]'''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1년|{{{#ffffff 2021}}}]]'''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2년|{{{#ffffff 2022}}}]]'''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3년|{{{#ffffff 2023}}}]]'''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3년 ~ 2022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3루수 부문 골드 글러브}}}''' || || [[체이스 헤들리]][br]([[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 || '''놀란 아레나도[br]([[콜로라도 로키스]]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 || [[키브라이언 헤이스]][br]([[피츠버그 파이리츠]])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5년 ~ 2018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3루수 부문 실버 슬러거}}}''' || || [[앤서니 렌던]][br]([[워싱턴 내셔널스]]) || → || '''놀란 아레나도[br]([[콜로라도 로키스]])''' || → || [[앤서니 렌던]][br]([[워싱턴 내셔널스]])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22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3루수 부문 실버 슬러거}}}''' || || [[오스틴 라일리]][br]([[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 || '''놀란 아레나도[br]([[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 || [[오스틴 라일리]][br]([[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7년 ~ 2022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플래티넘 글러브}}}''' || || [[앤서니 리조]][br]([[시카고 컵스]]) || → || '''놀란 아레나도[br]([[콜로라도 로키스]]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 || [[페르난도 타티스 주니어]][br]([[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5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홈런왕}}}''' || || [[지안카를로 스탠튼]][br]([[마이애미 말린스]]) || → || '''놀란 아레나도[br]([[콜로라도 로키스]])'''[br][[브라이스 하퍼]][br]([[워싱턴 내셔널스]]) || → || 놀란 아레나도[br]([[콜로라도 로키스]])[br][[크리스 카터]][br]([[밀워키 브루어스]])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6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홈런왕}}}''' || || 놀란 아레나도[br]([[콜로라도 로키스]])[br][[브라이스 하퍼]][br]([[워싱턴 내셔널스]]) || → || '''놀란 아레나도[br]([[콜로라도 로키스]])'''[br][[크리스 카터]][br]([[밀워키 브루어스]]) || → || [[지안카를로 스탠튼]][br]([[마이애미 말린스]])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8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홈런왕}}}''' || || [[지안카를로 스탠튼]][br]([[마이애미 말린스]]) || → || '''놀란 아레나도[br]([[콜로라도 로키스]])''' || → || [[피트 알론소]][br]([[뉴욕 메츠]])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5년 ~ 2016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타점왕}}}''' || || [[아드리안 곤잘레스]][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놀란 아레나도[br]([[콜로라도 로키스]])''' || → || [[지안카를로 스탠튼]][br]([[마이애미 말린스]])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785, #ed174b)"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2015년 ~ 2017년 메이저 리그 3루수 부문 윌슨 올해의 수비수 상}}}'''}}} || || [[후안 유리베]][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놀란 아레나도[br]([[콜로라도 로키스]])''' || → || [[맷 채프먼]][br]([[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785, #ed174b)"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2015년 ~ 2017년 메이저 리그 3루수 부문 필딩 바이블 상}}}'''}}} || || [[조시 도널드슨]][br]([[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 || '''놀란 아레나도[br]([[콜로라도 로키스]])''' || → || [[맷 채프먼]][br]([[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785, #ed174b)"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2020년 메이저 리그 3루수 부문 필딩 바이블 상}}}'''}}} || || [[맷 채프먼]][br]([[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 || '''놀란 아레나도[br]([[콜로라도 로키스]])''' || → || [[키브라이언 헤이스]][br]([[피츠버그 파이리츠]])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785, #ed174b)"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2022년 메이저 리그 3루수 부문 필딩 바이블 상}}}'''}}} || || [[키브라이언 헤이스]][br]([[피츠버그 파이리츠]]) || → || '''놀란 아레나도[br]([[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 || [[키브라이언 헤이스]][br]([[피츠버그 파이리츠]]) || ---- [include(틀:2022 All-MLB 세컨드 팀)] ---- ||<-5> '''{{{#c4ced4 [[콜로라도 로키스|{{{#c4ced4 콜로라도 로키스}}}]] 등번호 28번}}}''' || || 애런 쿡[br](2003~2011) || {{{+1 →}}} || '''놀란 아레나도[br](2013~2020)''' || {{{+1 →}}} || 결번 || ||<-5> '''{{{#ffef00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ffef00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등번호 28번}}}''' || || [[아돌리스 가르시아]][br](2018) || {{{+1 →}}} || '''놀란 아레나도[br](2021~)'''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44C10B1-83E9-40BA-B47C-F78161A9A60B.jpg|width=100%]]}}} || ||<-2>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No.28''' || ||<-2> '''{{{#ffffff {{{+2 놀란 아레나도}}}[br]Nolan Arenado}}}''' || || '''본명''' ||놀란 제임스 아레나도[br]Nolan James Arenado || ||<|2> '''출생''' ||[[1991년]] [[4월 16일]] ([age(1991-04-16)]세)|| ||[[캘리포니아|캘리포니아 주]] 뉴포트 비치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학력''' ||엘 토로 고등학교 || || '''신체''' ||188cm / 97kg|| || '''포지션''' ||'''[[3루수]]'''|| || '''투타''' ||[[우투우타]]|| || '''프로입단''' ||2009년 드래프트 2라운드 (전체 59번, [[콜로라도 로키스|COL]])|| || '''소속팀''' ||'''[[콜로라도 로키스]] (2013~2020)'''[br]'''[[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2021~)''' || || '''계약''' ||2019 - 2027 / $275,000,000 || || '''연봉''' ||2024 / $35,000,000[* 20M deferred] || || '''기록''' ||'''[[사이클링 히트]] 2회 (2017.6.18., 2022.7.1.)'''|| || '''종교''' ||[[개신교]]|| || '''가족''' ||아버지 페르난도 아레나도, 어머니 밀리 아레나도,동생 요나 아레나도, 사촌 [[조슈아 푸엔테스]]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olan-Arenado-scaled.jpg|width=100%]]}}}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소속 [[3루수]]. == [[놀란 아레나도/선수 경력|선수 경력]] == ||<-4>
'''{{{#ffef00 놀란 아레나도의 선수 경력}}}''' || ||<-4> '''통합 선수 경력 : [[놀란 아레나도/선수 경력]]''' || ||<-4> [[파일:MLB 로고.svg|width=45]] || || [[놀란 아레나도/선수 경력#s-3.1|'''{{{#c4ced4 2013년}}}''']] || [[놀란 아레나도/선수 경력#s-3.2|'''{{{#c4ced4 2014년}}}''']] || [[놀란 아레나도/선수 경력#s-3.3|'''{{{#c4ced4 2015년}}}''']] || [[놀란 아레나도/선수 경력#s-3.4|'''{{{#c4ced4 2016년}}}''']] || || [[놀란 아레나도/선수 경력#s-3.5|'''{{{#c4ced4 2017년}}}''']] || [[놀란 아레나도/선수 경력#s-3.6|'''{{{#c4ced4 2018년}}}''']] || [[놀란 아레나도/선수 경력#s-3.7|'''{{{#c4ced4 2019년}}}''']] || [[놀란 아레나도/선수 경력#s-3.8|'''{{{#c4ced4 2020년}}}''']] || || [[놀란 아레나도/선수 경력#s-4.1|'''{{{#ffef00 2021년}}}''']] || [[놀란 아레나도/선수 경력#s-4.2|'''{{{#ffef00 2022년}}}''']] || [[놀란 아레나도/선수 경력#s-4.3|'''{{{#ffef00 2023년}}}''']] || [[놀란 아레나도/선수 경력#s-4.4|'''{{{#ffef00 2024년}}}''']] || ||<-4>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파일:미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_화이트 레드.svg|width=45]]]] || ||<-2> [[놀란 아레나도/선수 경력#s-5.1|'''{{{#FFFFFF 2017년 WBC}}}''']] ||<-2> [[놀란 아레나도/선수 경력#s-5.2|'''{{{#FFFFFF 2023년 WBC}}}''']] || == 플레이 스타일 == 통산 Pull%이 43%에 육박하는 전형적인 풀히터 슬러거. 밀어치는 홈런이 거의 보기 힘들 정도로 당겨치는 비율이 높은데, 흔히 들 생각하는 [[마이크 트라웃]], [[애런 저지]], [[브라이스 하퍼]], [[지안카를로 스탠튼]]처럼 배럴타구나 하드힛의 비율이 무지막지하게 높다기 보다는 어퍼스윙과 노스텝으로 지르는 로테이셔널 히팅으로 공을 최대한 띄워서 장타를 만들어내는 메커니즘을 장기로 하는 타자. 타고난 파워가 아주 뛰어나다곤 볼 수 없지만 [[호세 라미레즈]]나 [[맷 올슨]]처럼 원심력을 이용한 어퍼스윙을 통해 기술로 장타를 만드는 능력이 뛰어난 타자이다. 실제로 아레나도의 배트스피드는 리그 평균을 꽤 상회하는 72.5마일로 기록되었는데 긴 비거리와 뛰어난 컨택은 배트스피드의 영향으로도 볼 수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몸쪽으로 들어오는 패스트볼 계열 공에는 굉장한 강점을 보이며, 특히 좌완 투수에게 상당히 강력한 면모를 보인다. 반대로 바깥쪽 보더라인 커맨드가 뛰어난 투수 상대로는 꽤 고전하나, 컨디션이 절정에 달하는 날에는 바깥에서 약간 빠진 볼도 결대로 밀어 단타를 치거나 잡아당겨서 장타를 만들어내는 배드볼 히터의 모습도 보이는 편. 사실 우완 투수들에게는 OPS 0.8초중반 정도로 그냥 그럭저럭 잘 치는 수준이라면, 좌완 상대로는 거의 1.0을 넘기는 게 다반사일 정도로 [[배리 본즈]] 빙의 수준.[* 후술하겠지만 [[류현진]] 상대로 강한 것도 이 영향으로 보인다. 특히 류현진은 몸쪽 포심이나 커터를 통한 땅볼유도에 강점이 있는데 아레나도는 그 공을 퍼올려서 장타로 만들어버린다] 다만 2022년부터는 오히려 우투 상대로 더 높은 타율을 찍어내면서 어느정도 균형이 맞춰진 상황. 콜로라도 로키스 시절에는 밀어치기를 통해 홈런이나 장타도 종종 만들어내는 타자였으나, 투수친화적인 부시 스타디움으로 내려와서는 밀어쳐서 만든 홈런이 하나도 없고 죄다 당겨서 넘겼을정도로 극단적인 풀히터로 완전히 뒤엎어졌다. 높은 발사각, 비교적 낮은 배럴타구, 유인구에도 적극적인 스윙이 나갈 정도로 의외로 낮은 Plate Discipline[* 소위 말하는 공을 골라내는 기술로, 선구안과 관련된 타자의 스킬] 덕에 X stat(기대 스탯)은 낮은데 실제 스탯은 유독 높게 뽑히는 대표적인 선수. 사실 저 Plate Discipline을 제외하면 앞서 설명한 특징을 모두 공유하는 선수가 있다. 바로 [[호세 라미레즈]]. ||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383721922)]}}}|| 수비는 [[브룩스 로빈슨]], [[스캇 롤렌]], [[아드리안 벨트레]] 이후 최고의 수비력을 가진 3루수라고 평가받는다. 일단 말도 안되는 호수비를 많이 보이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평가는 말이 필요 없으며, 세이버상으로도 NL 3루수 DRS 1위를 다수 기록한 적이 있기 때문에 '''데뷔 시즌부터 2022 시즌까지 10년 연속으로 골드 글러브를 수상하였다.'''[* 참고로 역대 최고의 수비수 [[아지 스미스]]의 기록이 13연속 수상이다. 물론 아지 스미스는 '''유격수'''이므로 실질적으로 아지와는 비교 불가하다.][* 단 2023년에는 수비에서 문제를 보이며 골글 후보조차도 들지 못하는 굴욕을 경험했다.] 거기에다가 플레티넘 글러브, 필딩바이블 어워드까지 수상하였다. 사실 유망주 시절엔 공격형 유격수 유망주로 꼽히며 수비에서는 좋은 평가를 못 받았었지만, 아레나도는 수비를 [[콜로라도 로키스]]의 선배인 [[트로이 툴로위츠키]]에게 과외받으면서, 그리고 본인이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서 직접 야구 역사상 최고 수준에 꼽힐 정도까지 길러냈다. 이러한 일화나 경기 중에 보여지는 모습, 인터뷰를 볼 때 슈퍼스타에게 꼭 필요한 [[워크에식]]이나 에고에서도 아주 좋은 평가를 받으며 이러한 면모로 인해 콜로라도 시절부터 클럽하우스 리더 역할을 수행해오고 있다. 홈런타자 치고는 체구가 호리호리한 편이고 수비에서 보여주는 넓은 범위나 순발력을 보면 주력이 빠를 것이라고 많이들 생각하지만, 의외로 발은 느린 편이고 과거 [[빅터 마르티네즈]]처럼 나쁜 공을 건드리는 배드볼히터여서 병살도 꽤 많은 편. 다만 생각보다 주루 센스는 나쁘지 않은데, 실제로 UBR(도루를 제외한 베이스 러닝 기록)은 꾸준히 양수를 찍어주고 있다. 또한 꾸준함 역시 아레나도의 강점이다. 2015년 이후로는 2020년과 2021년, 2023년을 제외하면 매 시즌 WAR이 6~7 정도에 형성되며, 출장 경기 수도 단축 시즌 제외 시 시즌당 150경기 언저리이다. 절륜한 수비력과 허슬 플레이를 자랑함에도 불구하고 금강불괴인지라[* 참고로 아레나도와 비슷하게 뛰어난 수비력+허슬 플레이를 자랑한 3루수인 스캇 롤렌은 유리몸이었다.] 팀 입장에서는 시즌 운영에 있어서 확실한 [[상수]]인 선수로 이보다 좋을 수 없을 것이다. === 과대/과소 평가 논란 === 최고의 타자 구장인 [[쿠어스 필드]]가 홈구장인 콜로라도에서 뛴 타자답게 과대/과소 평가 논란이 있었다. 보통은 그의 홈/원정 타격 성적의 차이 때문에 과대 평가되었다는 견해가 다수이다. [[파일:2018까지아레나도통산스플릿.png]] * 베이스볼 프로스펙터스의 '''DRC+''' 그런데 베이스볼 프로스펙터스에서 2018년 12월 OPS+와 wRC+보다 더 개선된 공격 스탯을 만들었다며 DRC+를 공개했다. 이에 의해 OPS+와 wRC+의 아이돌인 트라웃의 거품이 제거되는 동시에(물론 그래도 2012 이후 타자 전체 1위), 아레나도가 [[https://tht.fangraphs.com/the-epistemology-of-hitting-or-what-constitutes-a-fact-about-nolan-arenado/|다음과 같이]] 일약 타자 전체 2위로 뛰어오르며 트라웃과 동급이 되었다.[* 이는 동사이트 고유의 수비 스탯이 다른 사이트들의 수비 스탯과는 달리 트라웃의 수비를 수준 이하로 평가하는 것도 큰 요인이다.] 이를 근거로 아레나도가 오히려 과소평가되었다는 주장도 나오게 된다. [[파일:DRC+초기버전.png]] ||[[파일:초기12~18WARP순위.png]]||[[파일:초기13~18WARP순위.png]]|| 하지만 2019년 2월 다른 사람들과의 토론을 근거로 개선된 DRC+를 다시 공개한 베이스볼 프로스펙터스에 따르면 트라웃은 조금 오르고, 아레나도는 조금 떨어져서 다른 사이트의 WAR처럼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게 되었다.[* 2019년 2월 7일에 확인한 결과 2013~18 WARP를 기준으로 트라웃은 47.4이고 아레나도는 34.1이다.] 물론 그래도 fWAR나 bWAR에 비해서는 산동네 타자들의 퍼포먼스를 높게 평가해준다.[[https://www.baseballprospectus.com/news/article/46944/drc-updates-and-improvements/|#]] [[파일:개선된DRC+가본산동네.png]] * 스탯캐스트의 '''Expected Statistics''' 한편 스탯캐스트 사이트 Baseballsavant에서 타구 발사각, 타구속도 등을 통해 순수한 타격능력를 계산한 스탯 XBA, XSLG, XWOBA[* 각각 타율(BA), 장타율(SLG), WOBA의 예상 스탯]을 보면 아레나도의 순수한 타격능력을 어느 정도 예상해 볼 수 있다. 아레나도의 2015년부터 2019년 5월 13일까지의 XBA, XSLG, XWOBA를 보면, 놀랍게도 같은 기간 원정 경기에서의 성적과 상당히 비슷하다. < Expected Statistics > || XBA || XSLG || XWOBA || || .273 || .493 || .353 || < 홈,원정 합산 스탯 > || BA || SLG || WOBA || || .298 || .574 || .386 || < 원정 경기 스탯 > || BA || SLG || WOBA || || .268 || .511 || .351 || 이 결과를 보면 아레나도의 원정 성적을 쿠어스필드 효과가 없을 때의 중립적인 성적으로 보아도 큰 차이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아레나도의 같은 기간 원정 성적은 337경기 79홈런 224타점 .268 .330 .511 으로, 2015~2018년 평균 출장 경기수로 환산시 '''158경기 .268 .330 .511 37홈런 105타점'''이 나온다. 원정 경기로만 계산하여 홈 어드벤티지 등에서 손해를 본 스탯임을 고려하면, [[쿠어스 필드]]를 나온 아레나도는 대략 [[매니 마차도]]가 비슷한 기간 기록한 것과 비슷한 성적[* 평균 36홈런 96타점 .284 .345 .511]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하산 후 첫 시즌이었던 2021 시즌에는 기대치에 모자란 타격 성적으로 시즌을 마무리했지만, 2022 시즌에는 '''8할 후반대의 OPS와 함께 wRC+는 150대를 넘기면서'''[* 사실 OPS 자체는 커리어 평균과 엇비슷하고 OPS 9할을 4번이나 넘겼던만큼 언뜻보면 평범해보이지만, 2022 시즌은 규정타석 OPS 9할 이상 선수가 5명에 불과할 정도로 극심한 투고타저 시즌이었다. 게다가 그 전에 뛴 팀은 메이저리그 최고의 타자친화 구장인 쿠어스 필드가 홈이였다.]하산 후에 오히려 타격 커리어 하이를 기록하며 [[DJ 르메이휴]]와 함께 과대평가 꼬리표를 '''완전히 떼었다'''. == 수상 내역 == ||
'''{{{#ffffff 수상}}}''' || ||[[파일:MLB 로고.svg|width=20]] '''올스타 8회 (2015~2019,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1년|2021]]~[[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3년|2023]])''' [br]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내셔널 리그]] 3루수 [[골드 글러브]] 10회 (2013~2022)'''[br]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내셔널 리그]] [[플래티넘 글러브]] 6회 (2017~2022)''' [br]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내셔널 리그]] 3루수 [[실버 슬러거]] 5회 (2015~2018, 2022)''' [br]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내셔널 리그]] 홈런 1위 3회 (2015, 2016, 2018)''' [br]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내셔널 리그]] 타점 1위 2회 (2015, 2016)'''[br] [[파일:MLB 로고.svg|width=20]] '''[[All-MLB 팀|All-MLB]] 세컨드 팀 (2022)''' || == [[메이저리그 명예의 전당|명예의 전당]] 입성 가능성 == 현역 최고의 공수겸장 3루수인 아레나도는 [[매니 마차도]]와 함께 명예의 전당에 가장 근접한 커리어를 가진 3루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3루수로 역대급 수비력을 보여준 동시에 여태까지 엄청난 꾸준함을 보여주는 중이기 때문에 부상이나 급격한 에이징 커브가 찾아오지 않는다면 명예의 전당 입성을 충분히 노려볼 만 한 커리어를 쌓는 중이다. 데뷔가 22세로 꽤나 빨랐는데다가[* 에이징 커브를 정상적으로 탄다는 가정 하엔 보통 데뷔 나이 21~22세를 명전급의 '''누적'''을 쌓을 수 있는 마지노선으로 본다. 물론 [[제이콥 디그롬]] 등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 명전급의 '''임팩트'''를 남기는 건 데뷔 당시 나이와는 별로 상관이 없으며, 누적의 경우 [[필 니크로]] 등의 사례처럼 늦게 데뷔해도 비정상적인 롱런으로 명전 누적을 쌓는 경우도 있고 [[펠릭스 에르난데스]] 등의 사례처럼 일찍 데뷔해도 부상이나 빠른 에이징 커브 등으로 누적이 폭망하는 경우도 있기에 선수 따라 케이스 바이 케이스다.] 큰 부상 없이 꾸준히 활약해온 덕에 2022년 기준 1520안타, 299홈런으로 1991년생 야구 선수 중 [[마이크 트라웃]]과 함께 누적 페이스에서 가장 앞서 있으며[* 하지만 트라웃은 부상이 많아지는 추세라 누적을 아레나도보다 더 많이 쌓는 것이 어려우리라 여겨진다. 물론 그럼에도 실력은 여전해 2022 시즌에도 부상으로 40경기 가량 날려먹고도 40홈런에 승리기여도 6을 넘겼지만. 참고로 트라웃은 지금 은퇴해도 명예의 전당은 첫 턴에 확정적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여겨진다.] 명예의 전당을 노릴 만한 누적 스탯을 보유 중이다. 이 정도면 롱런한다면 3000안타-500홈런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 10년간 148안타 20홈런을 기록하면 3000안타-500홈런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다만 현 시점에선 아레나도가 [[스캇 롤렌]]처럼 만 38세에 은퇴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만큼 어떻게 될 진 알 수 없다. 물론 롤렌이 일찍 은퇴하고도 WAR과 수비력을 인정받아 명예의 전당에 입성한 만큼 아레나도가 부상 없이 꾸준한 커리어를 보낸다는 가정 하엔 저 나이에 은퇴한다고 해서 명전에 입성할 가능성이 줄어들거나 하진 않을 것이다.[* 참고로 롤렌 역시 아레나도와 커리어 추이가 상당히 비슷하다고 평가받는다. 물론 롤렌이 경쟁했던 상대들보다 아레나도가 경쟁할 상대의 스탯은 전반적으로 낮을 것이므로 비슷한 성적을 기록했다고 가정했을 시 아레나도가 롤렌보다는 훨씬 더 빨리 들어갈 것이지만.] 아레나도의 가장 큰 강점은 바로 21세기 최고를 논할 만한 3루 수비력[* 타격은 [[쿠어스 필드]]에서 찍은 성적도 있기에 논란거리가 되지만, 수비는 쿠어스 필드에서 뛴다고 해서 딱히 도움이 되는 게 아니다. 물론 아레나도는 하산하고 나서도 우수한 타격을 유지 중이지만.]으로, 2022년 열 번째 골드글러브를 수상하며 [[브룩스 로빈슨]] 이후 처음으로 3루수 포지션으로 10시즌 연속 골드글러브를 수상하게 되었다. 그리고 [[브룩스 로빈슨]]과 [[마이크 슈미트]] 다음으로 역대 세 번째 두자릿수 골드글러브 수상을 기록한 3루수가 되었다. 또한 포지션 불문 [[스즈키 이치로]] 다음으로 역대 두 번째 데뷔 후 10년 연속으로 골드 글러브를 수상한 야수가 되었다. 비록 [[쿠어스 필드]]의 도움을 받았다고 하지만 타격도 준수한 편으로, 홈런왕 3회, 타점왕 2회, 실버슬러거 5회로 타격만 따져도 업적이 상당하다. 또한 쿠어스 필드를 떠난 이후에도 뛰어난 타격을 보여주는 데 성공하며 구장빨 꼬리표를 떼어낸 것도 명예의 전당 행에 있어 긍정적인 요소이다. 이런 화려한 타이틀에 하나 아쉬운 것이 MVP의 부재인데, 몇 차례 순위권에 포함되고 있음에도 MVP를 따내지는 못하고 있다. 물론 아레나도의 누적이 워낙 준수하고 기타 타이틀이 많은 만큼 명전행에 지장이 생기지는 않지만, MVP 시즌이 더 이른 입성을 이뤄줄 수 있는 수단임은 분명하다. == 이모저모 == * 그의 동생인 [[http://www.baseball-reference.com/minors/player.cgi?id=arenad000jon|요나 아레나도]] 또한 야구선수이다. 2013년 드래프트에서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에 지명되었다. * [[국립국어원]]에서 내놓은 표기법은 놀런 '''에러나도'''이다. 그러나 국내 팬들 사이에서는 철자를 스페인어식으로 읽은 아레나도로 굳어졌다. 미국 해설자들도 아레나도에 가깝게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 [[푸에르토리코]] 혈통이라는 점에서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출전시 [[푸에르토리코 야구 국가대표팀|푸에르토리코 대표팀]]으로 출전할 수 있었으나,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미국 대표팀]] 유니폼을 입기로 결정했다. [[http://sports.news.naver.com/wbaseball/news/read.nhn?oid=382&aid=0000519100|기사]] * [[류현진]]의 대표적인 천적인 선수. 류현진이 부상을 입기 전에는 맞붙은 적이 별로 없으나(2013년 4타수 무안타, 2014년 3타수 2안타) 류현진이 부상에서 돌아왔을 때 내셔널리그를 대표하는 강타자로 성장, 만날 때마다 홈런을 날렸다. 2017년 어깨수술 복귀시즌에는 아예 사신 수준으로 류현진에게 강했는데 9타석 만나서 8안타를 쳤다. 그 중 홈런이 무려 3개. 4월 19일 경기에서는 투런포와 솔로홈런을 날려버렸으며 [[콜로라도 로키스]]는 [[트레버 스토리]]의 솔로홈런을 포함해 4대3으로 다저스를 꺾었다. 류현진의 시즌 마지막 등판 때는 2타석 만나서 2안타 1홈런. 이로 인해 또 다른 천적인 [[폴 골드슈미트]]와 함께 국내에서 주목을 받았다. 2019시즌 전반기까지 상대 전적은 23타수 14안타 4홈런... 사실 대부분 이름 좀 날리는 투수들도 이상하리만큼 천적 한둘 쯤은 있기 마련인데(ex. [[게릿 콜]]-[[최지만]]) 류현진과 아레나도 상대전적은 그 중에서도 압도적이긴 하다. 여담으로 류현진은 크로스토크에 출연해서 아레나도를 카드로도 보기가 싫다며 본인도 의식하고 있음을 드러냈고 그냥 안 맞다면서 어려운 상대라고 인정했다 [[https://youtu.be/hk-o4WUq3Ss|#]] * 반면 류현진의 전 동료인 [[마에다 겐타]]에게는 엄청나게 약하다. 2019년 7월까지 30타수 4안타(장타 없음.), 3타점, 삼진 15개, 볼넷 3개, 통산 타율은 고작 0.133. * [[토론토 블루제이스]]에서 뛰던 [[오승환]]이 트레이드로 이적하면서 야구팬들이 여기에도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 류현진이 밝히기로는, 2019 올스타전 당시 오승환에게 보여주고 싶다며 함께 사진 찍자고 요청해서 찍어줬다고 한다. 2021년에는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에서 [[김광현]]과 한솥밥을 먹었었다. * 2021년 메이저 리그 유니폼 판매량 전체 10위를 기록했다. * 2022 시즌에는 팀 동료 폴 골드슈미트와 함께 백신 미접종자라서 토론토 인터리그 원정행 비행기를 타지 못해 불참하고, 불참한 경기수만큼 연봉에서 깎였다. 이에 백신을 안 맞는 것이 나 자신과 가족을 위해 현명한 선택이라 그리 했을 뿐인데 왜 내가 손해를 봐야하냐며 불만을 터트리는 등 전형적인 백신 반대 운동자들의 모습을 보여줬다. == 역대 프로필 사진 == ||<-4> '''{{{#c4ced4 콜로라도 로키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레나도2013.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레나도2014.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레나도2015.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레나도2016.jpg|width=100%]]}}} || || '''{{{#fff 2013 시즌}}}''' || '''{{{#fff 2014 시즌}}}''' || '''{{{#fff 2015 시즌}}}''' || '''{{{#fff 2016 시즌}}}'''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레나도2017.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레나도2018.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레나도2019.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레나도2020.jpg|width=100%]]}}} || || '''{{{#fff 2017 시즌}}}''' || '''{{{#fff 2018 시즌}}}''' || '''{{{#fff 2019 시즌}}}''' || '''{{{#fff 2020 시즌}}}''' || ||<-4> '''{{{#ffef00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레나도2021.jpg|width=100%]]}}} ||<-3> - || || '''{{{#fff 2021 시즌}}}''' || '''{{{#fff 2022 시즌}}}''' || '''{{{#fff 시즌}}}''' || '''{{{#fff 시즌}}}'''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1년 출생]][[분류:2013년 데뷔]][[분류:뉴포트비치 출신 인물]][[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콜로라도 로키스/은퇴, 이적]][[분류: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현역]][[분류:쿠바계 미국인]][[분류:히스패닉계 미국인]][[분류:MLB 홈런왕]][[분류:MLB 타점왕]][[분류:플래티넘 글러브 수상자]][[분류:미국의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미국의 개신교 신자]][[분류: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우승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