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SUNBORN Network Technology의 게임)] [include(틀:뉴럴 클라우드)] ||<-10>
'''{{{#ffffff,#dddddd [[소녀전선 시리즈]] 세계관 시간대 순서}}}''' || ||<|2> || [[소녀전선]][br]{{{-2 (2062~)}}}[br][[뉴럴 클라우드]][br]{{{-2 (2063)}}} || {{{+1 →}}} || [[소녀전선 2: 망명]][br]{{{-2 (2074)}}} ||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파일:PNC_ICON_KR.jpg|width=128]]||{{{#ffffff,#dddddd '''{{{+2 소녀전선: 뉴럴 클라우드}}}'''[br]少女前线: 云图计划[br]{{{-1 ドールズフロントライン:[br]ニューラルクラウド}}}[br]Girls' Frontline:[br]Pr{{{#e19e29 o}}}ject Neural Cl{{{#e19e29 o}}}ud}}}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NC_intro_kr.jpg|width=100%]]}}} || || '''개발''' ||[[SUNBORN Network Technology]] (MICATEAM) || || '''유통'''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SUNBORN Network Technology]], [[빌리빌리]][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HAOPLAY|HaoPlay Limited]][* [[이스 VI 온라인]] 한국 서버 퍼블리셔로, 심동의 해외유통 관련 직원들이 세운 회사라고 한다.[[https://new.qq.com/omn/20220410/20220410A054RR00.html|해당 내용이 실린 기사 원문]][[http://www.shanghaihaowan.com/|회사소개]]][br][[파일:대만 국기.svg|width=20]] Peiyu Digital Entertainment Co., Ltd[* 룽청의 자회사로 추정. 대표이사가 동일하다.], [[HAOPLAY|HaoPlay Limited]][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SUNBORN Japan Co., Ltd.[br][[파일:세계 지도.svg|width=20]] Darkwinter Software Co., Ltd. || || '''플랫폼''' ||[[안드로이드(운영체제)|[[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 컬러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iOS|[[파일:iOS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iOS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iPadOS|[[파일:iPadOS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iPadOS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ESD''' ||[[Google Play|[[파일:Google Play 로고.svg|width=70&theme=light]][[파일:Google Play 로고 화이트.svg|width=70&theme=dark]]]] | [[App Store|[[파일:App Store 아이콘.svg|width=20]]]] || || '''장르''' ||[[로그라이크]] [[덱빌딩]] [[오토배틀러]] [[RPG]] || || '''출시''' ||[[중국|[[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2021년 9월 23일[br][[파일:세계 지도.svg|width=20]] 2022년 11월 21일[br][[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11월 23일[br][[대만|[[파일:대만 국기.svg|width=20]]]] 2022년 11월 23일[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2년 11월 24일 || || '''엔진''' ||[[유니티(게임 엔진)|[[파일:유니티 로고.svg|height=20&theme=light]][[파일:유니티 로고 화이트.svg|height=20&theme=dark]]]] || || '''언어''' ||'''자막'''[br]{{{-1 [[중국어]],,([[간체]]/[[번체]]),,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음성'''[br]{{{-1 [[일본어]]}}} || || '''심의 등급''' ||[[12세 이용가|[[파일:게관위_12세이용가.svg|width=18]] '''{{{#000000,#dddddd 12세 이용가}}}''']][* 자체등급분류, 등급분류번호 GOOG-SG-220919-0434][br][[파일:애플 앱스토어 이용 등급 만 12세 이상.jpg|width=30]] '''{{{#000000,#dddddd 만 12세 이상}}}''' {{{-3 ([[App Store]])}}} || || '''해외 등급''' ||[[파일:CADPA-16+.svg|width=16]] '''{{{#000000,#dddddd CADPA 16+ {{{-3 (16세 이상)}}}}}}'''[* 중국음향영상디지털출판협회(中国音像与数字出版协会)] || || '''관련 사이트'''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 [[https://42lab.sunborngame.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https://weibo.com/u/7308178516|[[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width=24]]]] [[https://www.biligame.com/detail/?id=106180|[[파일:빌리빌리 아이콘.svg|width=24]]]] [[https://www.taptap.cn/app/190929|[[파일:TapTap 아이콘.svg|width=24]]]]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 [[https://www.neuralcloud.c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https://cafe.naver.com/neuralcloudkr|[[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euralCloudKR, 크기=24)] [[https://www.facebook.com/NeuralCloudKR|[[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https://www.youtube.com/@NeuralCloudKR|[[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https://discord.com/invite/neuralcloudkr|[[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width=24]]]] ---- [[파일:대만 국기.svg|width=24]] - [[https://www.neuralcloud.com.tw|[[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https://www.facebook.com/NeuralCloudTW|[[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https://www.youtube.com/channel/UCsZvBOZ7erfLrrhXawfmAl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 [[https://42lab-jp.sunborngame.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euralCloudJP, 크기=24)] [[https://www.youtube.com/channel/UCNzJA18hRh3fSP9BI70G4d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파일:세계 지도.svg|width=24]] - [[https://42lab-us.sunborngame.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euralCloudEN, 크기=24)] [[https://www.facebook.com/NeuralCloud|[[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https://www.instagram.com/neuralcloud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https://www.youtube.com/channel/UCWJe7Cl7hdqJJA511Jnhae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https://discord.com/invite/neuralcloud|[[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의 [[SUNBORN Network Technology]]가 개발한 [[소녀전선 시리즈]] IP의 [[로그라이크]] [[덱빌딩]] [[오토배틀러]] [[모바일 게임]]. [[소녀전선]]과 세계관을 공유하는 [[스탠드 얼론 시퀄|스탠드 얼론]] [[스핀오프]]작이다. 본편과 동일한 시간대에 '마그라세아 서버' 라는 가상세계에서 일어난 사건을 다루고 있으며, 플레이어 캐릭터인 [[교수(뉴럴 클라우드)|교수]]는 소녀전선의 [[전술지휘관]]과 동일인물이다. 다만 가상세계와 현실세계라는 차이 때문에 소녀전선과 스토리의 차이가 크기에, 소녀전선의 설정을 몰라도 큰 문제는 없다. == PV & 시놉시스 == ||
{{{#!wiki style="margin:-5px -10px -6px" [youtube(So9I33rVi0g)]}}} || || {{{#010101,#ffa200 '''공식 트레일러 - 【花夢ピエロ】''' }}} {{{-1 「두 세계 사이의 틈새에서, 망명자들이 기치를 높이 내걸다.」}}} || ||
{{{#!wiki style="margin:-5px -10px -6px" [youtube(nBDRVzehOA4)]}}} || || {{{#010101,#ffa200 '''스토어 사전예약 트레일러'''}}} || ||
{{{#!wiki style="margin:-5px -10px -6px" [youtube(A6iyn181ZxE)]}}} || || {{{#010101,#ffa200 '''오프닝 트레일러 - 【EMOCODE】'''}}} {{{-1 「회백질 진화」}}} || > On the pathway of exile we reunite. > ---- > 뉴럴 클라우드와 [[뉴럴 클라우드/설정#망명자|망명자]]의 슬로건 > 인형들에게 존망의 위기가 닥쳐왔을 때, 당신은 "클라우드맵 프로젝트" 담당자가 되어 미지의 공간에서 인형들을 모아 망명자의 행렬을 이루어 이 곤경에서 빠져나갈 길을 찾습니다. > > 허상의 틈새에서 찾는 진실. 클라우드 서버 세상에서 교수 여러분과 만나 가상 세계의 진실의 문을 두드리길 기다립니다. > ----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sunborn.neuralcloud.kr|플레이스토어 게임 소개문]] == 배경 및 스토리 개요 == 때는 2060년. 끔찍한 제3차 세계대전으로부터 10년이 지나고, 사람들은 잿더미가 된 도시들을 하나둘씩 재건하고 있었다. 그러나 전쟁으로 인한 인구 격감으로 세계 각국은 노동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AI로봇인 '인형' 이 점점 주목받기 시작했다. 인형에는 인간을 흉내낸 기억·감정·성격 등이 탑재되었는데, 이러한 인형의 정신이라고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인드맵' 이라고 부른다. AI 연구기관 '[[42LAB]]' 에서는 인형의 이 마인드맵을 외부 클라우드 서버에 백업하는 기술을 연구하기 시작했고, 이 프로젝트의 이름은 '뉴럴 클라우드' 라 명명되었다. 프로젝트의 내용은, 42LAB이 소유한 슈퍼 클라우드 서버 '마그라세아' 에 인형의 마인드맵을 업로드한 후, 클라우드 내부에서 모종의 실험을 실시하는 것이었다. 42LAB은 실험을 위해 세계 각국에서 실험대상이 될 인형들을 모집했고, 다양한 업계에 종사하는 인형들이 회사를 대표하여, 혹은 개인 자격으로 모여들었다. 그렇게 세계 인형 업계의 주목을 받으며 뉴럴 클라우드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지만, 프로젝트는 '영점회귀 사건' 이라 불리는 큰 사고를 맞닥뜨리고 말았다. 알 수 없는 이유로 마그라세아에 업로드된 인형 마인드맵들로부터 연락이 두절되고, 그들이 있던 '뉴럴 클라우드 섹터' 가 완전히 폐쇄되어 버렸으며, 심지어 실험 책임자였던 인간 '교수' 마저 행방불명되었다. 42LAB이 이 사고를 철저히 축소·은폐하여 사건은 미궁에 빠지고, 얼마 후 42LAB은 뉴럴 클라우드 프로젝트의 결과물인 '클라우드 마인드맵' 의 개발 성공을 공표하고 상용화를 개시했다. 그렇게 사건은 잊혀져 갔지만, 인형 기술의 권위자이자 자신을 모델로 만든 인형 ''''페르시카리아'''' 를 뉴럴 클라우드 실험에 참여시켰던 ''''페르시카 박사'''' 는 여전히 사건의 진상에 의문을 품고 독자적으로 조사에 착수하였다. 2063년, 그녀는 평소 친분이 있던 [[그리폰&크루거|민간군사기업]] 직원인 '지휘관(플레이어)' 에게 부탁하여, 클라우드 내부에 업로드되어 있던 교수의 데이터에 지휘관의 의식을 동기화시킨다. 한편 마그라세아 서버 내의 뉴럴 클라우드 섹터에서 실험에 참가 중이던 인형들은, 영점회귀 사건 당시 알 수 없는 원인으로 모두 뉴럴 클라우드 섹터에서 쫓겨나 다른 섹터들로 뿔뿔이 흩어진 채 위험에 놓여 있었다. 지휘관은 인형들만의 독자적인 영역 '오아시스' 를 거점 삼아 인형을 적대시하는 '정화자' 의 공격을 버티고 있는 페르시카리아, 솔, 크로크, 시모를 만나 이들을 이끌게 된다. 이제 지휘관은 교수의 ID와 권한을 빌어, 진짜 교수의 행방을 찾아내고 동시에 흩어진 인형 동료들을 구출하여 현실 세계로 돌려보내는 두 가지 임무를 완수해야 한다. [include(틀:상세 내용, 설명=이 이후의 스토리에 대한, 문서명=뉴럴 클라우드/스토리)] == 게임 정보 == ||<-2>
{{{#f5f5f5 '''인형 클래스'''}}}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width:45px;margin:5px 0;padding:16%;background-color:#010101;border-radius:12px;" [[파일:PNC_Guard_White.png|width=100%]]}}} ||<^|1>'''수위''' {{{-1 (守卫/Guard)}}}[br]전방에서 공격을 대신 맞아 파티 전체의 피해를 경감시키고 적의 접근을 막거나 도발해 아군을 보호하는 탱커 클래스.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width:45px;margin:5px 0;padding:16%;background-color:#010101;border-radius:12px;" [[파일:PNC_Sniper_White.png|width=100%]]}}} ||<^|1>'''사수''' {{{-1 (射手/Sniper)}}}[br]원거리에서 적을 공격하는 딜러 클래스. 주로 물리피해에 특화된 사수와 연산피해에 특화된 사수로 이분화되어 있다.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width:45px;margin:5px 0;padding:16%;background-color:#010101;border-radius:12px;" [[파일:PNC_Warrior_White.png|width=100%]]}}} ||<^|1>'''전사''' {{{-1 (战士/Warrior)}}}[br]근접해서 적을 공격하는 딜러 클래스. 공격력과 연산력이 높지만 체력과 방어력은 중간 정도의 수치다. 사수와 마찬가지로 물리피해 특화와 연산피해 특화로 나눠진다.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width:45px;margin:5px 0;padding:16%;background-color:#010101;border-radius:12px;" [[파일:PNC_Specialist_White.png|width=100%]]}}} ||<^|1>'''해결사''' {{{-1 (特种/Specialist)}}}[br]아군에게 버프를 주거나, 적에게 디버프를 걸거나, 특수한 매커니즘으로 공격을 하는 클래스.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width:45px;margin:5px 0;padding:16%;background-color:#010101;border-radius:12px;" [[파일:PNC_Medic_White.png|width=100%]]}}} ||<^|1>'''치료사''' {{{-1 (医师/Medic)}}}[br]아군을 치유하는 힐러 클래스. 치유에 필수적인 연산력은 높지만 공격력과 방어력을 비롯한 그 외의 능력치는 모두 낮은 편이다. || * [[뉴럴 클라우드/인형 육성]] * [[뉴럴 클라우드/알고리즘]] * [[뉴럴 클라우드/기반 시설]] * [[뉴럴 클라우드/전투 시스템]] * [[뉴럴 클라우드/함수]] * [[뉴럴 클라우드/프로토콜]] * [[뉴럴 클라우드/취약점 검사]] * [[뉴럴 클라우드/고장협의]] * [[뉴럴 클라우드/에니그마 블랙홀]] * [[뉴럴 클라우드/인형 검색]] * [[뉴럴 클라우드/마그라세아 패션]] * [[뉴럴 클라우드/가구]] == [[뉴럴 클라우드/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뉴럴 클라우드/등장인물)] === [[틀:뉴럴 클라우드/인형|인형]] === [include(틀:뉴럴 클라우드/인형)] == [[뉴럴 클라우드/설정|설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뉴럴 클라우드/설정)] == [[뉴럴 클라우드/이벤트|이벤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뉴럴 클라우드/이벤트)] [include(틀:뉴럴 클라우드/이벤트)] === [[뉴럴 클라우드/이벤트#대형|대형 이벤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뉴럴 클라우드/이벤트, 앵커=대형 이벤트)] === [[뉴럴 클라우드/이벤트#일반|일반 이벤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뉴럴 클라우드/이벤트, 앵커=일반 이벤트)] === [[뉴럴 클라우드/이벤트#전속|전속 스토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뉴럴 클라우드/이벤트, 앵커=전속 스토리)] == OST == === Vol. 1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NC_OST_Cover_1.jpg|width=100%]]}}}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아티스트: Rabbit J, 赛博传媒-2064, 夏铜子, 黎骏, 张璟子'''}}} || || '''발매일: 2021년 10월 7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트랙 리스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트랙''' || '''곡명''' || '''러닝타임''' || '''링크''' || || 1 || '''Neuralcloud''' || 1:45 || [[https://youtu.be/0aUSgegr6a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 '''Emocode (feat. 夏铜子)''' || 3:51 || [[https://youtu.be/ABsNSQyY49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3 || '''Incoming''' || 3:04 || [[https://youtu.be/G8vimouoAa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4 || '''Reboot Complete''' || 2:12 || [[https://youtu.be/kT8OxOi0uf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5 || '''Rossum''' || 2:40 || [[https://youtu.be/KRUTyUg1iA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6 || '''H1 / 4S''' || 2:19 || [[https://youtu.be/6-P5UnF6t_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7 || '''Shield of Aegis''' || 2:44 || [[https://youtu.be/KIN-ezOFoI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8 || '''Nightsky''' || 1:41 || [[https://youtu.be/aru5ZrSWoX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9 || '''Cyclopes''' || 3:18 || [[https://youtu.be/vGUmZFcJBA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0 || '''S-Wg''' || 2:55 || [[https://youtu.be/419_OomY9m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1 || '''Sector''' || 1:44 || [[https://youtu.be/lXLufUvPZV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2 || '''Helios''' || 3:06 || [[https://youtu.be/CVjPcnSoMx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3 || '''$R1Ko000000$''' || 1:55 || [[https://youtu.be/XDCdG4nDR-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4 || '''Enigma''' || 3:10 || [[https://youtu.be/Uy_nTygRsu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5 || '''Judgment''' || 2:26 || [[https://youtu.be/4ij_QEUI1f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6 || '''Pierides''' || 3:00 || [[https://youtu.be/g4EohOTobL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7 || '''C.C''' || 3:23 || [[https://youtu.be/ikZibLHG1M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8 || '''Encapsulation''' || 3:02 || [[https://youtu.be/sfZzw560nc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9 || '''Exile''' || 1:47 || [[https://youtu.be/IsxPZQ30LB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0 || '''Safe Zone''' || 2:46 || [[https://youtu.be/PwnJ9W7bnO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1 || '''花夢ピエロ (feat. 夏铜子)''' || 1:36 || [[https://youtu.be/H2zIBTS8yX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2 || '''Farewell''' || 1:15 || [[https://youtu.be/CYSY0se-3G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4>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OLAK5uy_mhUEzVTZOqj1brrKWuQPa4qI6KnPAv_F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open.spotify.com/album/6eNEDgpQutKYpwzgZ8T0Ls?si=VIwRpkENQXCXPZTdqEWRFQ&|[[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width=20]]]] '''{{{-3 전체 재생목록}}}''' || }}}}}}}}} || === Vol. 2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NC_OST_Cover_2.jpg|width=100%]]}}}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아티스트: Rabbit J, Polyblue, moto, LCC, 夏铜子'''}}} || || '''발매일: 2022년 9월 15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트랙 리스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트랙''' || '''곡명''' || '''러닝타임''' || '''링크''' || || 1 || '''Oasis Defense''' || 2:16 || [[https://youtu.be/8_AGnahe2L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 || '''unreveal''' || 2:42 || [[https://youtu.be/qdhvI9kp1P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3 || '''Under Attack''' || 3:22 || [[https://youtu.be/txJKOq6TJL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4 || '''Resonance''' || 2:24 || [[https://youtu.be/fW0V-u44D0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5 || '''Sanctifier''' || 3:19 || [[https://youtu.be/BHSbkb6gyX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6 || '''unKnown''' || 2:52 || [[https://youtu.be/MZycczYr3m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7 || '''Spear of Judgment''' || 3:06 || [[https://youtu.be/wz0Fktr5uJ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8 || '''Restless''' || 3:34 || [[https://youtu.be/iihtyEFjGy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9 || '''Sweet Temptation''' || 3:21 || [[https://youtu.be/J8W7qVDv57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0 || '''Angelic Embrace''' || 3:23 || [[https://youtu.be/vq-Evvy55T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1 || '''Copley''' || 3:16 || [[https://youtu.be/OBnlfjU0rV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2 || '''Entropy''' || 3:20 || [[https://youtu.be/57zfcwuPb3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3 || '''The other side of Copley''' || 2:48 || [[https://youtu.be/PpgDOIW0CI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4 || '''Blasphemy''' || 3:13 || [[https://youtu.be/c5ORecYQPd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5 || '''Neuroscience''' || 1:32 || [[https://youtu.be/qOe2HZWKpV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6 || '''Guardians''' || 4:27 || [[https://youtu.be/P0N8ialsyr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7 || '''HETEROGENEITY BLOCKER''' || 2:44 || [[https://youtu.be/6I4FbkFxe1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8 || '''SinNPunish''' || 2:51 || [[https://youtu.be/S0YUfNAQlN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9 || '''DeusExMachina''' || 2:56 || [[https://youtu.be/g4qmz9SxNU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0 || '''Choco's Bakery''' || 3:20 || [[https://youtu.be/BOQNP75cSe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1 || '''Burbank''' || 2:58 || [[https://youtu.be/zA1in6bliq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2 || '''絆のオンパレード''' || 2:33 || [[https://youtu.be/Amp10sYRFv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3 || '''絆のオンパレード (Instrumental)''' || 2:33 || [[https://youtu.be/A1k09ueMyy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4 || '''Justice''' || 2:41 || [[https://youtu.be/cTasfmM3il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5 || '''Festival Memory''' || 2:58 || [[https://youtu.be/W1JkCmetVW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6 || '''Eos''' || 2:57 || [[https://youtu.be/__lI92PdtK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7 || '''Hesperus''' || 3:32 || [[https://youtu.be/4BV5MC0Yku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8 || '''Fall''' || 2:58 || [[https://youtu.be/K_yW2DepxW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9 || '''Eucharist Aroma''' || 2:56 || [[https://youtu.be/fopE1uvAyM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30 || '''Rossum Recrisis''' || 3:25 || [[https://youtu.be/KmlwMXcxwf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4>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OLAK5uy_laKGO7ap7P7zJze3B5XXbF3cTdjyaVaU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open.spotify.com/album/6eNEDgpQutKYpwzgZ8T0Ls?si=JF83Orv-Q0i9-BONPEmetA&|[[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width=20]]]] '''{{{-3 전체 재생목록}}}''' || }}}}}}}}} || == [[뉴럴 클라우드/평가|평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뉴럴 클라우드/평가)] == [[뉴럴 클라우드/일러스트레이터|참여 일러스트레이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뉴럴 클라우드/일러스트레이터)] == [[뉴럴 클라우드/출시 전 정보|출시 전 정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뉴럴 클라우드/출시 전 정보)] == [[뉴럴 클라우드/사건 사고|논란 및 사건 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뉴럴 클라우드/사건 사고)] == 출시 전 이스터에그 == 소셜 미디어에 여러가지 떡밥과 이스터에그를 뿌렸다. 공지와 해석된 이스터에그는 아래와 같다. * PV에 등장하는 16진수 코드. > 751F "命" 7684 5F62 5F0F FF0C 54CD 5F7B 6D41 4EA1 4E4B 4EBA 7684 7948 7977 3002 4E0D 6B62 4E8E 4EBA 7C7B 81FA 6043 7684 8BA4 8BA4 77E5 3002 65E0 5E8F 7EDD 975E 6DF7 4E71 FF0C 865A 6784 672A 5FC5 4E0D 662F 771F 5B9E 3002 820D 547D 53EA 8FAB 53BB 5F80 7EDD 5730 FF0C 9690 533F 7684 5F52 9014 4E0A FF0C 54CD 5F7B 6D41 4EA1 4E4B 4EBA 7684 7948 7977 3002 > >生命的形式,不止于人类自恃的认知。 >无序绝非混乱,虚构未必不是真实。 >舍命只身去往绝地,隐匿的归途上,响彻流亡之人的祈祷。 > >생명의 형식은 인류가 믿는 인지만이 전부가 아니다. >무질서는 결코 혼란이 아니며, 허구는 반드시 진실이 아니라고는 할 수 없다. >목숨을 걸고 홀로 나서는 험지에, 몸을 숨긴 귀로에, [[뉴럴 클라우드/설정#망명자|망명하는 자]]들의 기도가 울려퍼진다. * PV의 QR코드[[https://bbs.nga.cn/read.php?tid=21760767|#]] : 30초즘 우측 하단에 QR코드가 나오는데 해석하면 "NC_ASST_Reoprt_2060"라는 단어가 된다고 한다. ASST는 소녀전선의 주요 설정 중 하나인 [[전술인형#식각이론과 각인 시스템|각인 기술]]을 의미한다. [* 글로벌 서버에서는 이 QR 코드가 달라졌는데, 읽어보면 [[https://42lab-us.sunborngame.com/events/eastereggs/|이스터에그 페이지]]로 이동하며 해석하는 이벤트를 진행하였다. 참고로 이벤트의 정답은 "WIPEOFF INCIDENT"로 즉 영점회귀 사건이다. [[https://twitter.com/NeuralCloudEN/status/1553123196760739843|이벤트 공지]] [[https://youtu.be/-iZgx4UJntY?t=30|PV 유튜브]]] * [[https://cafe.naver.com/neuralcloudkr/115|G&K 기밀문서]][* [[https://weibo.com/7308178516/J3774yw0c|원문(웨이보)]]] : [[IOP제조회사]]의 ▇▇▇▇▇부에서 [[그리폰&크루거]]의 ▇▇▇▇▇▇▇▇한테 보낸 기밀 문서. 위에서 나온 "NC_ASST_Report_2060"라는 프로필 번호의 본문이다. * [[https://weibo.com/7308178516/J4b6ycunS|"클라우드 마인드맵" 프로젝트 참여 인형 모집 공지]] : 피실험 인형을 모집하는 문서로 프로필 번호는 "NCs1_DSR_2058_CN"이다. [[https://gall.dcinside.com/m/micateam/1539223|번역]] * [[https://cafe.naver.com/neuralcloudkr/127|CLR-Event]][* [[https://weibo.com/7308178516/J6jBb4p5B|원문(웨이보)]]] : 프로필 번호 "NC_CLREVENT"로 클라우드 마인드맵에 관하여 IOP가 보낸 우편을 누군가 가로채서 본 다음 음성 메시지를 숨겨놓았다는 내용이다. 음성 메시지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https://gall.dcinside.com/m/neuralcloud/94|#]] > I apology for intercepting your mail. I have no choice. They hide everything. Someone sacrificed life. Dolls' memories were erased. And they're not allowed to say anything. They is a conspiracy of NC test. The keyword is C-L-R-Event. Please find the truth and save all of us. *BEEP* > > 편지를 가로챈 것 사과드립니다. 다른 방법이 없었습니다. 그들은 모든 것을 감추고 있습니다. 누군가가 목숨을 희생했습니다. 인형들의 기억은 지워졌고 언급하는 것조차 금지되어 있습니다. NC 실험은 음모입니다. 키워드는 'CLREvent' 입니다. 부디 진실을 찾고 저희를 구해주세요. *비프음* 사운드에도 이스터에그가 숨겨져 있는데, 위 사운드를 [[스펙트로그램]]으로 확인하면 '[[뉴럴 클라우드/설정#정화자|project: sanctifier]]'라는 메시지가 보인다. [[https://gall.dcinside.com/m/micateam/1548808|#]] * [[https://cafe.naver.com/neuralcloudkr/127|정화자 프로젝트]][* [[https://weibo.com/7308178516/J7nAE89W1|원문(웨이보)]]]: 프로필 번호 "PRJ_Sanctifier_PID". AI 백신 개발 프로젝트 '정화자' 프로젝트에 관한 내용이다. 「월간 세계정보보안」이라는 학술지에서 IIQS(국제 양자 연구 협회)의 산하 기관인 42LAB가 정화자 프로젝트를 주제로 쓴 컬럼을 발췌한 것이 주요 내용이다. 중국어 원문에서는 사진의 바탕화면에 PRJ_Sanctifier_PID라는 파일 외에도 '''stf_mara draft v2'''와 '''stf_gavri'el draft'''라는 파일이 있었지만, 글로벌 서버에서는 두 파일이 없어지고 PRJ_Sanctifier_PID라는 파일 세 개와 사진 한 장으로 변경되었다. [* 인게임 리소스 상으로 마라라는 이름은 정화자 [[뉴럴 클라우드/등장인물#레이븐|레이븐]]이, 가브리엘이라는 이름은 정화자 [[뉴럴 클라우드/등장인물#안젤루스|안젤루스]]가 사용중이다. 어째서 변경되었는지는 불명.] * [[https://cafe.naver.com/neuralcloudkr/163|42LAB의 운영 부서에서 보낸 메시지]] [* [[https://weibo.com/7308178516/J9v3VC4ad|원문(웨이보)]]]: 프로필 번호는 "PRJ_Sanctifier_ET"이다. 42LAB의 운영 엔지니어인 Uranium_390가 주임과 대화한 기록이다. * [[https://cafe.naver.com/neuralcloudkr/206|페르시카의 이메일]] [* [[https://weibo.com/7308178516/JcHy1uLnE|원문(웨이보)]]]: 프로필 번호는 "NC_EP_Persicaria"이다. [[페르시카(소녀전선 시리즈)|페르시카]]가 42LAB의 누군가에게 보낸 이메일이다. 받는 사람에 노이즈가 있지만 어느 정도 읽을 수 있는데 42LAB_NC_Plutonium_88238로 보인다. 다만 아래 이름의 노이즈는 Dr.????로 읽을 수 없다. * [[https://cafe.naver.com/neuralcloudkr/853|카운트다운 이미지(10일)]]: 우측 중앙에 QR 코드를 번역하면 'FromDrJSubjectRe_'라는 메시지가 나온다. 앞에 뉴럴 클라우드 웹사이트 주소를 붙여서 접속하면 이미지가 나온다. [[https://42lab.sunborngame.com/FromDrJSubjectRe_|이미지 링크]] 사이버미디어와 얼티라이프간의 이메일이 주요 내용이며, 얼티라이프가 개발한 인간의 의식을 업로드하는 초기 기술의 불안정성과 R&D에 관해 대화하고 있다. [[https://www.bilibili.com/read/cv13167657|해석]] * [[https://cafe.naver.com/neuralcloudkr/895|카운트다운 이미지(7일)]]: 숫자 7 사이에 있는 코드를 해석하면 이미지가 나온다. [[https://42lab.cdn.sunborngame.com/website/decrypt/BACKGROUNDCHECK.jpg|이미지 링크]] 이미지의 내용은 반쯤 불타 없어진 스바로그의 조사 파일이며 소녀전선의 플레이어 캐릭터인 [[전술지휘관]]에 대한 이력서이다. [[https://www.bilibili.com/read/cv13275727|해석]] * [[https://cafe.naver.com/neuralcloudkr/953|카운트다운 이미지(3일)]]: 바코드처럼 생긴 막대기를 [[유전 부호]]로 해석하면 이미지가 나온다. [[https://42lab.cdn.sunborngame.com/website/decrypt/vitalsigns.jpg|이미지 링크]] 얼티라이프의 진단서로 [[뉴럴 클라우드/등장인물#이리다|이리다]]라는 이름의 여성이 혼수상태에 있으며 비정상적인 뇌파가 지속적으로 감지된다는 내용이다. [[https://www.bilibili.com/read/cv13265849|해석]] * [[https://cafe.naver.com/neuralcloudkr/983|카운트다운 이미지(2일)]]: 이미지의 EXIF 데이터로 해석하면 이미지가 나온다. [[https://42lab.cdn.sunborngame.com/website/decrypt/screenshot_2797294210.jpg|이미지 링크]] UAS의 사장으로 추정되는 인물인 'ジョー'가 [[전술인형#3세대|3세대 인형]]을 제작할 계획이 없고, 2세대만 생산할 것이라고 소셜 미디어--트위터--에서 밝히는 것이 주 내용이다. 댓글에서는 SNS에 올라온 스크린샷을 제대로 해명하지 않았다고 비판한다. [[https://www.bilibili.com/read/cv13277329|해석]] * [[https://cafe.naver.com/neuralcloudkr/1066|카운트다운 이미지(1일)]]: 42LAB 로고의 주변에 둘러싸인 모스 부호를 해석하면 이미지가 나온다. [[https://42lab.cdn.sunborngame.com/website/decrypt/DOCRECONSTRUCTING.jpg|이미지 링크]] 갈가리 찢겨진 문서가 나오며, 다시 이어맞추면 [[뉴럴 클라우드/등장인물#이리다|이리다 교수]]가 블랙박스 진화론(Black Box Evolution)이란 이론을 주제로 작성한 메모이다. [[https://www.bilibili.com/read/cv13386680|해석]] * 공식 OP영상 14초 가량부터 'H01'이라는 유저가 터미널에 명령어로 마인드맵 코어를 패키징하여 모든 섹터로 전송한다. 여기서 H01은 [[안토니나]]의 모델명으로 [[뉴럴 클라우드/설정#영점회귀 사건|영점회귀 사건]] 당시 클라우드맵 섹터 안에 있던 인형들이 섹터 밖으로 전송되어 무사할 수 있었다는 내용이 로숨 섹터 다크존 파트4에서 언급된다. * 위 이미지를 모두 조합하면 하나의 큰 이미지가 나오는데, [[피보나치 수열]]과 [[암호#카이사르 암호|카이사르 암호]]를 이용하여 해석하면 또 하나의 이미지가 나온다. [[https://42lab.cdn.sunborngame.com/website/decrypt/NeursoulCocoon.jpg|이미지 링크]] 주 내용은 인게임에서는 마그라세아 외부에서 온 정체불명의 프로그램으로 나오는 '마인드맵 고치'에 대한 것이다. 마인드맵 고치로 오랫동안 휴먼 상태로 있을 수 있고 다른 프로그램이 식별할 수 없음을 보장한다는 내용과 마인드맵 고치를 사용할 경우 마인드맵이 대조군과 비교해서 3.7% 더 활성화되었다는 내용이다. [[https://www.bilibili.com/read/cv13386680|해석]] == 기타 == * PV 배경에 등장하는 도트 추상은 [[콘웨이의 생명 게임]]에서 따온 것이다. * [[IOP제조회사]]가 [[그리폰&크루거]]에 보낸, '클라우드 마인드맵'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 인형 프로토타입 및 적합한 화기류 명단 서신이 공지[[https://weibo.com/7308178516/J3774yw0c|#]]되었는데, 일부 전술인형들의 민수인형 시절의 본명과 모델명이 공개되었다. 가장 압권인 것은 흔히 '초코'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FNC(소녀전선)|FNC]]의 본명이 정말로 '''[[초코(뉴럴 클라우드)|초코]]'''라는 것. 당초에는 소녀전선과 같은 세계관이라는 것을 알리는 용도로 카메오로만 공개된 설정으로 여겨졌으나, 이후 IDW를 시작으로 M500, LWMMG, M1897 등 소녀전선에 등장하는 다른 캐릭터들도 그리폰에 입사하기 전의 모습으로 인게임 캐릭터로 등장하게 되었다. 서비스 초반에는 소전 팬덤 내에서 위 케이스에 해당하는 인형들에 한해 기존 이름/별명에 [[원시 저그|원시 접두어를 붙이는]] 식으로 부르기도 했는데, 글로벌 오픈 이후 뉴럴 클라우드 유입이 다수 생겼고, 소녀전선과는 다른 독자적인 캐릭터 서사를 구축하면서 캐릭터 이름으로 불리는 빈도가 크게 늘었다. * [[뉴럴 클라우드#출시 전 이스터에그|출시 전 D-7 카운트다운 일러스트]]에서는 [[전술지휘관]]에 대한 이스터에그가 발견되었다. 치아 몇개가 빠지고 붕괴액에 피폭되었다는 것 외에는 대부분의 정보가 검열되어 있는데, 시기를 고려하면 특이점~난류연속 당시 붕괴액에 피폭된 후 패러데우스에게 납치당해 고문당한 것 때문인 듯. * SD 모델들의 원화 디자인은 [[이모코]]가 담당했다. [[https://gall.dcinside.com/m/micateam/1614354|#]] * [[소녀전선]]에서 언급되기만 했던 남성형 인형이 처음 등장한 작품이다. 이후 소녀전선에도 유진 루고사의 아들 루카스를 본뜬 인형이 등장하긴 했으나, 남성형 플레이어블 인형은 여전히 이쪽이 유일하다. * [[소녀전선 2: 망명]] 공식 4컷 만화를 맡게 된 동인 작가 [[아닌겨]]가 본작의 4컷 만화도 그리게 되었다는게 밝혀져 화제가 되었다. 그 외에도 공식카페에서는 [[소녀전선]]에서 4컷 만화를 그렸던 [[MADCORE]]가 '뉴럴 클라우드 오피셜 4컷'이라는 이름으로 연재하고 있다. [[https://cafe.naver.com/neuralcloudkr?iframe_url=/ArticleList.nhn%3Fsearch.clubid=30475400%26search.menuid=41%26search.boardtype=L|4컷 만화]] * 더미 데이터로 캐릭터 별 [[https://gall.dcinside.com/m/neuralcloud/138399|서약 대사]]와 교수 생일 축하 대사가 존재한다. 차후 이러한 대사를 사용하는 시스템이 생길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5월 1일 소녀전선 7주년 방송에서 서약 시스템 추가를 예고하였다. * 복귀자 전용 스토리가 있다. 약 1달간 미접속을 해야 복귀자 전용 이벤트와 함께 볼 수 있는 듯 하다. 해당 스토리는 유저들의 제보로 여러 종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neuralcloud&no=253005|페르시카]] [[https://gall.dcinside.com/m/neuralcloud/267317|솔]], [[https://arca.live/b/neuralcloud/70367171|안토니나]] 등이 확인되었다. * [[Owl City]]와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하여 [Up To The Cloud]라는 제목의 노래를 공개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JjD_U1l3gHk|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smt8VzFZhQA|비하인드 스토리 영상]] * CBT시절에는 다른 아이콘을 사용했다.[* CBT시절 아이콘[br][[파일:PNC_ICON.png|width=128]]] * 구글 플레이 평점이 이례적일 정도로 낮은 편[* [date] 기준 3.4로, 돌이킬 수 없는 강을 건넌(...) 무기미도를 제외하면 씹덕 게임 중에서는 독보적으로 낮은 수치다. 게임계에서 암적 존재로 취급받는 리니지라이크류 게임도도 3점대 중반은 넘어선다는 것을 감안하면 매우 심각한 수준인 셈.]인데, 가장 큰 원인은 초기 운영 이슈때 벌어진 평점 1점 테러 운동. 평점 테러 자체는 타 씹덕 게임에서도 운영 문제가 생기면 자주 벌어지는 일이긴 한데, 문제는 뉴럴 클라우드는 몇몇 유저가 [[중갤]]을 끌어들여 실베에 평점 테러 지원글을 올리는 병크를 저질렀다는 것. 당연히 게임에 관심없고 분탕을 치는 것에만 관심있는 사람들이 평점을 복구시킬리가 없으니 별점 테러 운동의 근본적인 원인이었던 고장협의가 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타 씹덕 게임과는 달리 깎인 평점이 거의 복구가 되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고장이 재미없다고 접는 사례만 늘어나며 이런 결과를 위해 별점 테러를 했냐는 근본적인 의문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주요 커뮤니티 중 하나인 뉴럴 클라우드 갤러리에서는 사건의 주동자격인 뉴럴 클라우드 채널을 매우 적대적으로 보고 있으며, 1점 운동 자체에도 부정적인 시선을 보내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 외부 링크 == * [[소녀전선 뉴럴 클라우드 마이너 갤러리]]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neuralcloud|#]] 국내의 활성화된 뉴럴 커뮤니티. 여러 게임 정보와 번역이 올라온다. * [[https://wiki.biligame.com/42lab/%E9%A6%96%E9%A1%B5|29LAB 비리위키]] 중국의 여러 뉴럴 위키 중 하나로 정보량이 제일 많다. * [[http://wiki.42lab.cloud/w/%E9%A6%96%E9%A1%B5|42LAB 위키]] 위와 마찬가지로 중국 위키. * [[https://neural-cloud.wikiru.jp/|ドールズフロントライン:ニューラルクラウド攻略 Wiki]] 일본 뉴럴 클라우드의 위키 * [[https://nalu.wiki/neuralcloud|Nalu Wiki - Neural Cloud]] 글로벌 서버 유저가 만든 위키. 공략도 같이 올라온다. * [[https://iopwiki.com/wiki/IOP_Wiki|IOP Wiki]] 소녀전선 영미권 위키로, Project Neural Cloud항목에서 뉴럴 클라우드에 관한 정보 또한 다룬다. * [[https://arca.live/b/neuralcloud|뉴럴 클라우드 채널]] 아카라이브 채널이며 게임관련 각종 정보들이 올라온다. * [[https://neuralcloud.inven.co.kr/|뉴럴 클라우드 인벤]] 현재 유일하게 한국 DB가 구현된 곳이지만, 유저가 별로 없다 [[분류:뉴럴 클라우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