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니콜라이 볼코프.jpg|width=100%]]}}} || ||<#CC0000><:> '''{{{+5 {{{#FFD700 Nikolai Volkoff}}} }}}'''|| [목차] == 프로필 == ||<-2> [[파일:Nikolai_Volkoff_pro.png|width=330]] || ||
<-2> [[WWE 명예의 전당|{{{#e5b827 '''WWE 명예의 전당 헌액자'''}}}]] || || {{{#e5b827 '''본명'''}}} || Josip Nikolai Peruzovic || || {{{#e5b827 '''출생일'''}}} || [[1947년]] [[10월 14일]] || || {{{#e5b827 '''사망일'''}}} || [[2018년]] [[7월 29일]] || || {{{#e5b827 '''출생지'''}}} ||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 공화국]] [[스플리트]] || || {{{#e5b827 '''사망지'''}}} || [[미국]] [[메릴랜드|메릴랜드 주]] 글렌암 || || {{{#e5b827 '''배우자'''}}} || 린 페루조빅 || || {{{#e5b827 '''신장'''}}} || 192cm || || {{{#e5b827 '''체중'''}}} || 143kg || || {{{#e5b827 '''피니시 무브'''}}} || '''[[베어허그]]'''[br][[보스턴 크랩]][br]리프팅 백 브레이커[br][[래리어트|러시안 시클]] || || {{{#e5b827 '''테마곡'''}}} || [[https://youtu.be/uIj8PCZa0iM|All for the Motherland]] || || {{{#e5b827 '''주요 커리어'''}}} ||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WWF 태그팀 챔피언]] 1회 [br] 인터내셔널 태그팀 챔피언 2회 [br] NWA 월드 태그팀 챔피언 1회 [br] 플로리다 태그팀 챔피언 1회 [br] 조지아 헤비급 챔피언 1회 [br] 미드 애틀랜틱 태그팀 챔피언 1회 || [youtube(0zbUqoRENgY)] == 소개 == [[크로아티아]] 출신의 前 [[프로레슬러]]로 [[WWE 명예의 전당]] 헌액자다. == 커리어 == [[크로아티아]]에서 태어난 페루조비치는 20살 무렵까지 리프팅 선수로서 활동을 해왔다. 그러다 [[오스트리아]] [[빈(오스트리아)|빈]]에서 열린 대회를 이용해 [[캐나다]]로 건너갔고,[* 망명일 확률이 높은데 [[오스트리아]]는 [[냉전]]기에 중립국이었기에 공산국 인원도 여차저차하면 입국이 가능했다.] 여기서 스튜 하트에게서 수련을 받았고, 1970년에 [[미국]]으로 건너간다. [[미국]]으로 건너온 페루조비치는 이내 뉴욕에 자리잡아있던 WWWF에 들어가 활동을 시작한다. 이때는 루 알바노의 매니징을 받으며 베포 몽골이란 링네임으로 게토 몽골과 태그팀으로 활동하면서 WWWF 인터내셔널 태그팀 챔피언의 자리에 오른다. 하지만 타이틀을 잃으면서 팀은 해체되었고, 페루조비치는 현재의 니콜라이 볼코프로 링네임을 사용한다. 1974년 다시 WWWF로 돌아와서 당대 챔피언이었던 [[브루노 삼마르티노]]에게 도전했지만 타이틀 획득에는 실패했고, 이후 새로운 챔피언에 올랐던 [[밥 백런드]]에게도 도전했지만 역시 월드 챔피언의 자리에 오르는 데는 실패한다. 1976년 다시 단체로 돌아와서 이번에는 [[킬러 코왈스키]], [[빅 존 스터드]]와 팀을 맺어 활동을 한다. [[파일:nikolaivolkoff3.jpg]] 1974년 말 WWWF를 떠나서 AWA에 들어간 페루조비치는 여기서는 보리스 브레제니코프란 이름으로 바비 하난의 매니징을 받으며 활동한다. 사실상 동일한 기믹이었지만 기타 여러 단체에서 활동하면서 챔피언에 오른다. [[파일:iron-sheik-nikolai-volkoff-514_400x230.jpg]] 1984년 [[WWE|WWF]]로 돌아와서 당대 활동하던 [[반미]]주의자 기믹을 맡고 있던 [[아이언 쉬크]]와 팀을 맺어서 서로를 [[이란]]의 최고, 소련의 최고라 치켜세우며 외국인 악역으로서 명성을 높인다. 둘의 어그로는 당대에 굉장히 높게 평가되었고, 그 덕분에 US 익스프레스를 [[WWF 레슬매니아 I|레슬매니아 1]]에서 이겨 태그팀 챔피언에 오른다. [[파일:14895_-_hulk_hogan_leg_drop_nikolai_volkoff_wwf.jpg]] 이후 [[아이언 쉬크]]와 잠시 갈라져 솔로 커리어를 시작하면서 당시 월드 챔피언이었던 [[헐크 호건]]을 상대로 플래그 경기를 가지기도 했지만 단 한 번도 호건을 이기지 못했다.[* 당시 [[레이거노믹스]] 덕분에 이런 [[국수주의]], [[애국|애국주의]] 기믹이 아주 성했다.] 이후 [[짐 더간|핵소우 짐 더간]]을 비롯한 여러 선수들과 경기를 가지면서 활동을 했는데 [[아이언 쉬크]]와 함께 [[WWF 레슬매니아 III|레슬매니아 3]]에서 킬러 비즈에게 승리한다. [[파일:The Bolsheviks.jpg]] 1987년 보리스 주코프[* 실제로는 [[미국인]]이다.]와 볼셰비키즈를 결성해 파워스 오브 페인, 부시웨커스와 대결한다. 이후 [[WWF 레슬매니아 VI|레슬매니아 6]]에서 [[하트 파운데이션]]에게 19초만에 패배하는 굴욕을 당하며 팀은 쪼개졌다가 합치는 일을 맡는다. 이후 싱글로서 [[서전 슬로터]]와 대립하는 등 각종 일을 수행한다. 그러다 세대교체가 시작되면서 활동은 거의 적어졌고, 결국 1995년 은퇴한다. == 은퇴 이후 == [[WWE|WWF]]를 끝으로 레슬링계에서 은퇴한 볼코프는 이후 여러 인디 단체의 흥행에도 참여하면서 [[WWE]]와의 관계를 유지했는데 [[WWF 레슬매니아 X-Seven|레슬매니아 17]]에서 열린 기믹 배틀 로얄에 출전해 [[서전 슬로터]]에게 탈락당한다. 2005년에 [[WWE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였다. 이후 가끔씩 [[WWE]]에 출연했다. [youtube(/8WobMoezcP8)] 2014년 9월 8일 [[WWE RAW|RAW]]에 나와 [[루세프]]와 [[라나(프로레슬러)|라나]]의 백스테이지 세그먼트 때 깜짝 출연하기도 했다. == 사망 == [youtube(/50LhVy4VUuk)] 2018년 7월 29일에 사망했다. == 기타 == * 생전에 [[공화당(미국)|공화당]] 지지자였으며, 2006년에 기초 선거에 나간 적도 있다. * 일본 만화 [[근육맨]]의 등장 초인 [[워즈맨]]의 본명이 니콜라이 볼코프인데 해당 선수에게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 * [[매트 하디]]의 WWE 데뷔전 상대였다. [youtube(5f71f3FJpZ4)] 얼어있는 매트 하디를 잘 이끌면서 경기를 했다고. 반면 동생인 [[제프 하디]]는 레이저 라몬에게 인형 취급을 당해서 순간 레슬링을 그만둘까 생각했다고. == 둘러보기 == ||||||||||
<#fff><:>
[[파일:WWEHOF.jpg|width=100%]]|| ||||||||||<:><#1054b5> {{{#e5b827 '''[[2005년|{{{#e5b827 2005년}}}]] [[WWE 명예의 전당|{{{#e5b827 WWE 명예의 전당}}}]] 헌액자'''}}} || [include(틀:WWE 선정 역대 최고의 태그팀)] [각주] [[분류:1947년 출생]][[분류:2018년 사망]][[분류:크로아티아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크로아티아계 미국인]][[분류:미국으로 귀화한 인물]][[분류:WWE 명예의 전당 헌액자]][[분류:스플리트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