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국의 행정구역)] ---- || '''{{{#ff0 닝샤 후이족 자치구 관련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중화인민공화국의 자치구)] ---- [include(틀:중국티베트계 민족)] ---- }}} || ----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의 자치구'''}}} || ||<-3> {{{#ff0 '''{{{+1 닝샤 후이족 자치구}}}'''[br][ruby(宁夏, ruby=Níngxià)][ruby(回族, ruby=Huízú)][ruby(自治区, ruby=Zìzhìqū)] | نٍ ﺷﯿَا ﺧُﻮِ ذُﻮْ ذِ جِ ﺛُﻮْ ْ [br]Ningxia Hui Autonomous Region}}}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20px-China_Ningxia.svg.png|width=10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宁夏回族自治区,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자치구정부[br]소재지}}}''' || 닝샤후이족자치구 [[인촨시]] 싱칭구[br]제팡시제361호[br]宁夏回族自治区银川市兴庆区[br]解放西街361号 || ||<-2> '''{{{#ffff00 지역}}}''' || [[시베이]] || ||<-2> '''{{{#ffff00 면적}}}''' || 66,400km²[* [[경상도]]의 2배 정도 되는 면적이며, 중국의 자치구 중 가장 작다.]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5지급시 9구 2현급시 11현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632만명 || ||<-2> '''{{{#ffff00 인구밀도}}}''' || 95명/km² || ||<-2> '''{{{#ffff00 민족 구성}}}''' || [[한족]] 65.44% | [[후이족]] 33.95%[br][[만주족]] 0.4% | [[몽골족]] 0.09% || ||<-2> '''{{{#ffff00 HDI}}}''' || 0.739 ^^(2017)^^ || ||<-2> '''{{{#ffff00 서기}}}''' || 량옌순(梁言顺) || ||<-2> '''{{{#ffff00 정부주석}}}''' || 장위보(张雨浦)^^([[후이족]])^^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710억 ^^(2021)^^ || || '''{{{#ffff00 1인당}}}''' || $9,872 ^^(2021)^^[* [[https://www.stcn.com/xw/sd/202202/t20220201_4128631.html|증권시보]]]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宁'''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64'''00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951''' ~ '''0955''' || ||<-2> '''{{{#ffff00 우편번호}}}''' || '''7600'''00 ~ '''7564'''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NX''' ||}}}}}}}}} || ||<-3> [[https://www.nx.gov.cn/|[[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NTuxW9oSDIg)]|| || [[EBS]][[세계테마기행]] - 미지의 중국 닝샤 || [[중국]] 서북부에 있는 자치구다. 약칭은 '''[[寧|닝]]([ruby(宁, ruby=níng)])''', 혹은 '''[[夏|샤]]([ruby(夏, ruby=xià)])'''[* [[칭기즈 칸]]의 몽골에게 멸망했던 [[서하]]의 '하'와 같다.]. 국내에서는 [[영하 회족 자치구]]라고도 부른다. [[황하]] 유역이며 [[내몽골]] 남부, [[간쑤성]]과 [[섬서성]]이 만나는 [[오르도스]] 고원 지역 중심에 위치해 있다. [[간쑤성]], [[섬서성]], [[내몽골]]까지 세 행정구역에 둘러싸여있는 내륙지역이다. [[면적]]은 66,000km²이며 인구는 [[2010년]] 기준 6,301,350명으로 인구의 62%는 [[한족]]이고 34%는 [[이슬람교]]를 믿는 소수민족인 [[후이족]](回族)이다. [[레닌주의]] 민족해방론에 따르면 민족 영토가 결여된 채 오직 문화에 토대를 둔 민족은 민족으로 인정받을 수 없었으므로, 원래부터 후이족 인구보다 한족 인구가 많지만 후이족 자치구로 지정되었다. == 상세 == [[러시아]]의 [[유대인 자치주]]와 [[레닌주의|설립 취지]]가 비슷하다. 후이족 역시 [[유럽]]의 [[유대인]] 비슷하게 종교만 공유하고 각지에 고르게 널리 퍼져 사는 성향이 있기 때문이었다. 소련에서 만약 유대인 자치주를 유대인 인구가 많던 [[벨라루스]] 서부 지역에 설정하면 현지인들이 들고 일어날 게 뻔하므로 대신 만주 근처 공백지에 세웠던 것처럼, 중국에서도 [[티베트인]]과 [[후이족]]들이 갈등하던 [[칭하이성]] 대신에 건조한 [[오르도스]] 지역에 할당했다. 하지만 오늘날 러시아 연방 내 유대인 자치주가 유대 민족 국가 [[이스라엘]]로 유대인이 몰리면서 유대인 인구 비율이 소수점 대로 감소한 것에 비하면, 닝샤 후이족 자치구는 인구 비율상으로 후이족이 3분의 1 정도로 선방하는 편이니 러시아의 유대인 자치주에 비하면 후이족 자치구라는 이름값은 하는 셈이다. 성도는 [[인촨]](银川)시로, 과거 [[서하]]의 수도였던 곳으로 유명하다. 물론 오늘날 [[서하]]를 구성하던 탕구트인은 씨가 말랐다. [[칭기즈 칸]]이 서하를 원정하던 도중 죽었기에 그 아들인 오고타이는 하필 칭기즈 칸의 서하인을 단 한명도 남기지 마라는 유언을 충실히 받들어서 서하인을 상대로 일종의 [[제노사이드]]를 행했다. 이후 이 지역은 [[카이두]]와 원나라의 전쟁터가 되고, 쿠빌라이가 둔전을 실시하면서 몽골족과 한족, 위구르인과 페르시아인을 비롯한 여러 민족들이 들어오게 되었다. [[황하]]가 이 땅을 통과하며 [[만리장성]]이 닝샤의 북동부 경계를 따라 세워져 있다. 지세는 남쪽이 높고, 북쪽이 낮다. 남부는 황토 고원이나 육반산이 많은 땅을 차지하고, 북부는 닝샤 평원이 있으며, 서북부는 하란산이 있다. 가장 건조한 지역 중 하나로 [[사막화]]가 진행되고 있다. 역설적이게도 사막이 둘러싸고 있음에도 황하가 지나가는 지역이라서 천연관개가 가능해 농사가 아주 잘되는 편이다. "하늘이 영하를 부유케한다."라는 말이 남아 있을 정도로 중국 서북부에서 가장 중요한 곡창지대이기도 하다. 그 외에 양털과 양가죽, 그리고 [[구기자]]가 특산물로, 특히 구기자는 이곳에서 생산 품종이 중국 내 거래되는 구기자들의 과반수를 차지할 정도이다. 서북부에서는 드물게 벼농사도 가능하다고 한다. 2020년부로 시진핑 정권에서 포도주 굴기를 외치며 닝샤 후이족 자치구에 포도주 산업에 대대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https://www.joongang.co.kr/amparticle/25011815|#]] 참고로 중국은 2021년 [[호주-중국 무역 분쟁]] 과정에서 [[포도주/호주|호주산 와인]] 수입에 218%에 달하는 관세를 때린 바 있는데, 서방에서 수입하는 와인을 자국산으로 대체하려는 시도로 보인다.[[https://news.kbs.co.kr/mobile/news/view.do?ncd=5256412|#]] 그동안 중국산 와인은 맛이 없는 것으로 악명 높아서 자국민에게도 외면받던 상황인데다가,[[https://contents.premium.naver.com/gold/goldpig/contents/211013110903555KN|#]] 솔직히 아직 중국에는 와인을 맛으로 마신다기보다는 사회적 신분 상승을 자랑하려는 뽀대 때문에 괜히 비싼 서방산 와인을 마시는 경우가 많은데,[* 굳이 중국만 그런 것은 아니고 거품 경제 시절 일본에서도 프랑스산 와인을 비싼 것만 골라서 싹쓸이했던 바 있다.] 여태 중국 동부에서 주로 생산되는 맛과 뽀대에서 모두 밀렸다. 닝샤의 포도는 후술하듯 전근대 중국에서 특산품으로 유명했기 때문에, 닝샤 포도로 포도주를 만들면 나름 브랜드 가치도 창출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여담으로 닝샤의 포도 재배의 역사가 오래된 것은 사실이지만 술을 빚는 용도보다는 생식하거나 [[건포도]]를 만들어 먹는 경우가 더 많다. 닝샤 후이족 자치구는 말 그대로 무슬림 민족인 후이족들의 자치구지만, 포도주의 주 생산 기지로 꼽히게 되었는데[* 쿠란에서는 술을 그중에서도 포도주(키므르)를 짚어서 금기시한다. 여담으로 하디스에서는 기장으로 빚은 곡주를 금기시하는 내용도 나오기는 하는데 쿠란과 하디스 전반적으로 보면 포도주 관련한 금기가 가장 많이 언급된다.] 포도주 굴기를 시작했을 당시 [[신장 재교육 캠프]] 문제로 분위기가 살벌했던 것도 있어서 민주 국가라면 나올만한 이런저런 반발 없이 넘어갔다. 닝샤 후이족 자치구의 류판산은 [[몽골]]의 컨티산맥과 더불어 칭기즈 칸의 무덤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곳[* 중국에서는 류판산을, 몽골에서는 컨티산맥을 칭기즈 칸의 무덤이 있었던 곳으로 추정하고 있다.]이라서 몽골계 중국인들에게 성지로 여겨지기도 한다. == 역사 == [[파일:서하 중국.jpg|width=700]] [[서하]] 황릉의 봉분 [[파일:중국 이슬람.jpg|width=700]] [[명나라]] 초엽 지어진 모스크인 동심청진사 (同心清真寺). 닝샤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모스크로, 퉁신현(동심현)에 위치해 있다. [[서하]]의 수도 [[흥경부]]가 이 지역에 있었으나 서하는 [[몽골 제국]]에 의해 멸망하고, 그 빈 자리에는 [[후이족]]과 서북 출신 [[한족]]들이 들어와 살게 되었다. [[중앙아시아]] 출신 후이족의 영향으로 이 지역에서는 [[포도]] 재배[* 포도는 원래 [[투르판시|투르판]]의 특산물이다.]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준가르]] 원정을 나서던 강희제가 닝샤 지역의 포도와 국수 맛을 칭찬한 기록이 남아있다. 역사적으로 [[간쑤성]]의 일부였으나 오늘날에 우중 시에 해당하는 금적보를 중심으로 회족들의 상업 공동체가 번성하고 1862년 회민반란 당시 [[섬서성]] 내 회족들 상당수가 이 지역으로 피신하면서[* 섬서성 내 수백만여 명에 달했던 회족 인구는 1862년 회민반란과 뒤이은 1880년대 대기근으로 수만명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회족 비율이 늘어나고 [[중화민국]] 시기인 1929년에 내몽골 지역에 새북 4성[* 요새([[만리장성]]) 북쪽에 있는 4개 성이라는 뜻으로, 민국시대 내몽골 지역에 설치된 닝샤성, 쑤이위안성, 차하얼성, [[러허성]]의 4개 성을 지칭한다. 차하얼성과 러허성은 1928년에, 닝샤성과 쑤이위안성은 1929년에 설치되었다.]이 설치되면서 내몽골 서부와 간쑤성의 현들이 합쳐져서 닝샤성(영하성)으로 신설되었다. 군벌 [[마훙쿠이]]가 이곳의 지배자로 군림하면서 [[칭하이성]]의 [[마부팡]], [[간쑤성]]의 [[마훙빈]]과 함께 서북삼마로 꼽혔다. [[장제스]]의 북벌로 군벌은 이후 대부분 항복해 [[중화민국]]의 통치권 내로 들어왔다. [[국공내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으며 1954년 간쑤성과 [[내몽골 자치구]]에 합병되어 폐지되었으나 1958년 간쑤성에 합병된 지역이 회족 자치구로 부활했다. == [[행정구역]] == [include(틀:닝샤 후이족 자치구의 행정구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ingxia-map.png|width=40%]] 출처:[[https://ko.wikipedia.org/wiki/%EB%8B%9D%EC%83%A4_%ED%9B%84%EC%9D%B4%EC%A1%B1_%EC%9E%90%EC%B9%98%EA%B5%AC#/media/File:Ningxia-map.png|#]] 총 5개의 지급 행정구역이 있다. ||<-2> {{{#black {{{+2 닝샤 후이족 자치구의 각 지급시의 인구}}}}}} || ||[[인촨]] 시||1,993,088 명|| ||[[구위안]] 시||1,228,156 명|| ||[[스쭈이산]] 시||725,482 명|| ||우중 시||1,273,792 명|| ||[[중웨이]] 시||1,080,832 명|| == 역대 영도인 == [include(틀:역대 닝샤 후이족 자치구 영도인)] [각주] [[분류:닝샤 후이족 자치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