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국립공원)] [include(틀:한국의 갯벌)] ||
<-4><:> '''{{{#000 [[파일:국립공원 심볼.svg|height=20]] [[대한민국|{{{#000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국립공원|{{{#000 제14호 국립공원}}}]]}}}'''[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 [[파일:다도해해상.jpg|height=100]] ||<(>{{{#000 '''{{{+1 다도해해상}}}'''[br]多島海海上[br]{{{-1 Dadohae haesang}}}}}}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다도해해상 국립공원,너비=100%, 높이=100%)]}}} || ||<-2> {{{#fff '''위치'''}}} ||<-2> '''[[전라남도]] [[여수시]], [[신안군]], [[완도군]]''',[br] '''[[진도군]], [[고흥군]]''' || ||<-2> {{{#fff '''면적'''}}} ||<-2> ''' 2,321.512㎢''' [br] {{{-2 (육지: 334.828㎢ 해상: 1,986.684㎢)}}} || ||<-2> {{{#fff '''좌표'''}}} ||<-2> '''북위 34° 42′ 29.53″''' '''동경 125° 54′ 5.36″''' || ||<-4> {{{#fff '''위성사진'''}}} || ||<-4>[[파일:다도해해상국립공원.png|width=100%]] || ||<-4> {{{#fff '''다도해해상 국립공원'''}}} || ||<-2> {{{#fff '''지정일'''}}} ||<-2> '''1981년 12월 23일 (14호)''' || ||<-2> {{{#fff '''관리주체'''}}} ||<-2> [[국립공원공단|[[파일:국립공원공단 CI.svg|width=100]]]] || ||<|2><-2> '''{{{#fff 사무소}}}''' || '''[[전라남도|전남]]''' || '''완도군 완도읍 [BR] 개포로 62번길 17-12'''[BR] {{{-2 061) 550-0900 (본소)}}} || || '''[[전라남도|전남]]''' || '''목포시 통일대로 102-1'''[BR] {{{-2 061) 284-9116 (서부사무소)}}} || ||<|2><-2> {{{#fff '''깃대종'''}}} ||<-2> [[파일:상괭이.gif|width=60%]][br]{{{-2 상괭이}}} || ||<-2> [[파일:풍란.gif|width=60%]][br]{{{-2 풍란}}} || ||<-2> {{{#fff '''홈페이지'''}}} ||<-2> [[http://dadohae.knps.or.kr/front/portal/visit/visitCourseMain.do?parkId=121200&vcursId=&vnewsId=&menuNo=7020088|[[파일:다도해해상.jpg|width=35]]]] [[http://www.knps.or.kr/front/portal/safe/acsCtrList.do?menuNo=8000340|실시간 탐방통제정보]] || [목차] [clearfix] == 개요 == [[1981년]] 12월 23일에 대한민국의 14번째 [[대한민국의 국립공원|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면적은 2,321.512km²로 한국 최대 규모의 국립공원이다.[* 면적에서 바다가 차지하는 부분이 많다.] [[전라남도]] [[신안군]]에서 [[진도군]], [[완도군]], [[고흥군]]을 거쳐 [[여수시]]까지 이어진다. == 구성 ==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은 [[한려해상국립공원|한려해상]], [[경주국립공원]]과 함께 비연속적인 국립공원 중 하나이며 총 8개 지구로 구성되어 있다. * 흑산/홍도 지구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소재.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천연기념물]] 제170호로 지정된 [[홍도]], 홍어 특산지로 유명한 [[흑산도]]가 위치한 지역. 홍도10경과 흑산8경이 좋은 경관으로 유명하다. 이중 흑산도는 [[흑산공항]] 추진이 결정되면서 [[환경부]]에서 흑산도 구역 중 일부를 [[대한민국의 국립공원|국립공원]] 해제 조치를 내린 것으로 밝혀졌다. [[https://www.youtube.com/watch?v=5eStssc3Qak|MBC 뉴스]] * 조도지구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소재. 새떼가 모여있듯 많은 섬이 몰려있어 조도라고 부른다. 300여 년 이상된 소나무 숲과 해수욕장이 있는 관매도가 주요 관광지. 2014년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맹골수도]] 전체가 조도지구에 포함되어있다. * 비금/도초 지구 [[전라남도]] [[신안군]] 비금면, 도초면 지역. 이름대로 [[비금도]]가 제일 큰 섬이고, 명사십리, 우이도 해수욕장, 시목 해수욕장, ~~[[섬노예|지금은 반쯤 흑역사가 된]]~~ [[천일염]] 염전 등이 위치해있다. * 소안/청산 지구 [[전라남도]] [[완도군]] 소안면, 청산면 지역. 사적 제368호인 [[윤선도]] 사적지가 위치한 [[보길도]]와 영화 [[서편제(영화)|서편제]] 촬영지 등이 위치해있다. * 금오도 지구 [[전라남도]] [[여수시]] [[금오도]]가 중심지이며, 아름다운 남해안 일출로 유명한 [[향일암]]이 위치해있다. 참고로 여수시 안에서도 앞바다와 [[오동도]] 쪽은 다도해가 아니라 '''[[한려해상국립공원]]''' 지역이다. 한려해상국립공원은 대체로 [[경상남도]] 해안에 지정돼 있지만 [[여수시]]는 두 국립공원이 모두 겹친다. * 나로도 지구 [[전라남도]] [[고흥군]] 외나로도와 내나로도가 중심지. 천연기념물 제362호 봉래면 상록수림, 나로도 해수욕장, 그리고 '''[[나로호]]가 발사된 [[나로우주센터]]'''가 위치해있다. * 거문/백도 지구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거문리 소재. [[거문도 사건]]으로 잘 알려진 [[거문도]]와 백도가 중심지. 다도해 최남단으로 해수에 의한 침식지형과 절리 및 단층이 발달한 지역이다. * 팔영산 지구 팔영산은 높이 608m로 [[고흥군]]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원래 도립공원이었는데 2011년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팔영산 지구로 편입되었다.[* 원래 팔영산 따로 국립공원 승격 추진을 하던 것을 인접지역+관리문제로 편입을 시킨것이다.] 다도해상국립공원을 구성하는 8개 지구중 유일하게 해역이나 해변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지구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다도해,version=12)] [[분류:대한민국의 국립공원]][[분류:한국의 갯벌]][[분류:여수시]][[분류:고흥군]][[분류:완도군]][[분류:진도군]][[분류:신안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