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그라모폰 명예의 전당 헌액자)] ||<-2>
[[파일:external/melody.su/5e39dc2ce5c6c7b79b797321ebae155e.jpg|width=100%]] || || 이름 ||다비트 표도로비치 오이스트라흐 [br] David Fyodorovich Oistrakh [br] Дави́д Фёдорович О́йстрах || ||<|2> 출생 ||[[1908년]] [[9월 30일]] || ||[[러시아 제국]] [[오데사]] || ||<|2> 사망 ||[[1974년]] [[10월 24일]] (향년 66세) ||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제국)] → [include(틀:국기, 국명=소련)] || || 직업 ||[[바이올리니스트]] || [목차] [clearfix] == 개요 == > '''"그가 죽음으로써 세계는 훨씬 더 지리한 곳이 되고 말았다. 그는 진정 보석같은 인간이었다."''' > - '''아이작 스턴''' - > '''"그가 연주할 때는 세상이 더욱 아름답게 빛났다."''' > - '''쿠르트 잔데를링''' - [[소련]]의 바이올리니스트. [[야샤 하이페츠]]와 함께 한 시대를 풍미한 20세기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로 손꼽힌다. == 생애 == 당시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던 [[우크라이나]] [[오데사]]에서 태어났다. 유명한 바이올리니스트 [[나탄 밀스타인]][* 오이스트라흐보다 훨씬 절제적인 바이올리니스트였다. 그 당시 대작곡가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글라주노프]]가 지휘하는 그의 협주곡에서(나단 밀스타인의 정식 데뷔 무대였다)어린 밀스타인은 이 작품을 자신의 생각대로 해석을 하여 연주했는데, 글라주노프는 이에 대해 의아해하며 자신의 작품이 마음에 들지 않느냐고 불만을 제기했다. 리허설이 끝나고 글라주노프는 밀스타인의 해석이 괜찮다는 것을 인정하는 어조로 그러한 접근 방법에 대해 인정하였다고 한다.]을 길러낸 [[표트르 스톨리아르스키]]에게서 처음으로 바이올린을 배웠다. 당시 러시아는 거의 레오폴드 아우어[* 하이페츠의 스승이기도 하다.] 악파가 독점하다시피 했던 때로, 그 스타일은 상당히 절제적이고 통제적이었다. 그에 비해 스톨리아르스키의 스타일은 상대적으로 자유로웠다고 한다. 그 뒤 아주 어린 나이인 [[1914년]] 데뷔한 후, 이후 [[1923년]]부터 [[1926년]]까지 오데사 콘서바토리에서 바이올린을 공부하였다. 1927년 그의 음악에 매료된 작곡가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글라주노프]]에 의해 키예프에서 그의 바이올린협주곡을 협연함으로써 음악계에 모습을 드러내게 된다. 그 후 [[1934년]]부터 모스크바 콘서바토리에 강사자리를 얻게 되었고, [[1935년]]에 소비에트연방콩쿠르에서 우승을 거머쥐었다. 그리고 '''[[비에니아프스키]] 콩쿨'''에서 2위를 차지했다. 이 때 참가자의 라인업이 대단한데, 다비드 오이스트라흐를 포함하여 콩쿠르 1위를 차지한 16세의 프랑스 소녀 지네트 느뵈[* 느뵈의 연주가 대단한 나머지 소련의 심사위원도 그녀에게 점수를 더 줬다고 한다. 느뵈는 아쉽게도 젊은 나이에 비행기 사고로 요절하였다.], 특별상을 탄 7세의 이다 헨델도 있었다. 이후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이자이 콩쿨]]에서 우승을 거머쥐며, 단숨에 소련의 대표적인 바이올리니스트로 등극하게 된다. 그러나 1939년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여, 오이스트라흐는 당의 지시로 공장과 병원에서 연주를 펼쳤다. 한편으로는 배급이 끊긴 레닌그라드 대공방전의 와중에 레닌그라드에 남아 항쟁 의지를 북돋우는 콘서트를 열기도 했다. 이를 계기로 그는 1942년 스탈린상을 받으며 '인민예술가'의 칭호를 받음과 동시에 [[니콜라이 먀스콥스키|먀스콥스키]]와 [[아람 하차투리안|하차투리안]]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헌정받았고,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프로코피예프]]의 바이올린 소나타 2번을 초연하기도 했다.[* 원곡은 플루트 소나타로, 오이스트라흐가 편곡을 제의하여 프로코피예프가 바이올린 소나타로 만들었다.] 그는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쇼스타코비치]]와 돈독한 관계를 맺기도 했다. 쇼스타코비치의 두 개의 바이올린 협주곡과 바이올린 소나타 또한 그에게 헌정되었으며, 오이스트라흐는 성공적으로 이를 초연하였다. 후에 지휘자로 활동하기도 했으며, 고결한 인품으로 명성이 높은 스승이자[* 제자에게 '그 분(다비드 오이스트라흐)은 저를 아들처럼 대해주셨다.'라는 말을 들었다.] 칭찬을 아끼지 않는 공정한 심사위원이었다. 아들 이고르 오이스트라흐와 더불어 세계적인 바이올리니스트 [[기돈 크레머]]가 그의 대표적인 제자로 꼽히며, 커리어와 함께 교육에도 크게 성공한 바이올리니스트라는 평을 듣는다. 1974년 [[암스테르담]] 연주여행 중에 사망하였고, 시신은 [[모스크바]]로 보내져 그곳에 묻혔다. == 연주 스타일과 평가 == [youtube(1YaAH9ybfV4)] [youtube(n4n9kUbzmGY)] 오이스트라흐는 같은 시대를 풍미하였던 [[야샤 하이페츠]]와 함께 '''20세기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 자리를 양분하고 있다. 그의 연주는 화려하고 정확한 스케일을 바탕으로, 때로는 단호하고 매정하면서도 때로는 따뜻하고 구슬픈 다채롭고 서정적인 구성을 보여준다. 대체로 하이페츠에 비해 인간적이고 따뜻하다는 평. [[https://www.youtube.com/watch?v=3UjFRo5ToGk|Leclair violin sonata no.3]]을 들어보자. 브람스 협주곡: [[https://www.youtube.com/watch?v=oDefWiRSBfA|Brahms violin concerto 3rd mvt - David Oistrakh]] 하이페츠와 비교 [[https://www.youtube.com/watch?v=nQK2dp3sN8E|Brahms violin concerto 3rd mvt - Jascha Heifetz]] 이작 펄만 [[https://www.youtube.com/watch?v=Gk_e0C_Pnwo|Brahms violin concerto 3rd mvt - Itzhak Perlman]] 탬포를 다루는 능력이 탁월했다. 하이페츠가 기교를 적절히 과시하면서 곡 전체를 함축적으로 몰아치는 스타일이라면 오이스트라흐는 완급 조절이 매우 뛰어난 편이었다. 야구 선수로 비유하자면 하이페츠는 어마어마한 스터프의 포심으로 상대를 윽박지르는 [[아롤디스 채프먼]] 같은 스타일이었고, 오이스트라흐는 포심의 구위도 정상급이지만 완급 조절에도 능한 [[킹 펠릭스]] 같은 스타일. 소리에서도 하이페츠는 엄정하고 차가운 느낌이었다면 오이스트라흐는 서정적이고 따뜻한 느낌이다. 그의 레코딩 중에 대중에게 가장 유명한 것이 바흐의 2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인데, 오이스트라흐의 서정성과 따뜻한 음색을 제대로 느낄 수 있다. 또한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와 녹음한 [[세자르 프랑크|프랑크]] 바이올린 소나타도 명연이다.[* 리흐테르는 [[로스트로포비치]]에 대해서는 이기적인 면모를 들며 사이가 멀어졌다고 하나, 오이스트라흐에 대해서는 연주 솜씨와 인간성에 대해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다만 상술한 프랑크 바이올린 소나타에 대해서는 견해가 달랐다고 하는데, 이 작품을 불후의 명작으로 여긴 리흐테르와 달리 오이스트라흐는 다소 가볍게 여겼다고 한다.] 다만 위에 사진으로 나온 오이스트라흐 에디션 세트음반을 최후로 재출반이 안되고 있어 아쉬울 뿐. == 여담 == * 아들 이고르 오이스트라흐 또한 훌륭한 바이올리니스트로 성장했다. 참고로 손자인 발레리까지 3세대가 한무대에서 바이올린을 켠 적이 있다고 한다. 타고난 음악가 집안인 셈. * 아들 이고르 오이스트라흐와 펴낸 이중주 음반이 꽤 있다. 명연가인 부자의 두 바이올린이 잘 어우러져 들을 만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pmrzVVu4FUM|Sarasate Navarra - David & Igor Oistrakh violin]] == 관련항목 == * [[바이올리니스트]] * [[야샤 하이페츠]] - 오이스트라흐와 함께 20세기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로 손꼽히는 인물. *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 - 같이 연주 활동을 하기도 하였다. 므스티슬라브 로스트로포비치, 스비아토슬라프 리흐테르, 다비드 오이스트라흐와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이 지휘하는 베를린필과 합주하기도 했다. 당시 EMI, 현재 워너 클래식 레이블로 음반을 구할 수 있다.[* 다만 리흐테르는 이를 '카라얀과 로스트로포비치가 한 패가 되고, 나와 오이스트라흐가 다른 패가 되어 치렀던 전쟁'이라 말하며 재앙이었다고 기억했다.] * [[기돈 크레머]] - 오이스트라흐의 대표적인 제자. [각주] [[분류:러시아의 바이올리니스트]][[분류:1908년 출생]][[분류:1974년 사망]][[분류:유대계 러시아인]][[분류:오데사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