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구909일반.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구1911버스.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909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대구_909_노선도.jpg|width=100%]]}}} || ||<-2> 기점 ||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읍 금구리(금구동종점) ||<-2> 종점 || '''[도착]'''대구광역시 중구 대신동(청라언덕역) '''[출발]'''대구광역시 중구 대신동(대신센트럴자이) || ||<|2> 종점행 || 첫차 || '''[평일, 토요일]''' 05:30 / '''[공휴일]''' 05:32 ||<|2> 기점행 || 첫차 || '''[평일, 토요일]''' 05:30 / '''[공휴일]''' 05:32 || || 막차 || '''[평일, 토요일]''' 22:29 / '''[공휴일]''' 22:31 || 막차 || '''[평일, 토요일]''' 22:43 / '''[공휴일]''' 22:42 || ||<-2> 평일배차 || 17분 ||<-2> 주말배차 || 18분 || ||<-2> 운수사명 || [[한일운수(대구)|한일운수]] ||<-2> 인가대수 || 13대[* 공휴일 12대 운행] || ||<-2> 노선 ||<-4> 금구리[* 차고지가 펀펀비치 부지로 이전하였다.] - [[영남대학교|영남대]] - 경산시장 - [[사월역]] - [[대공원역(대구)|대공원역]] - 무열대 - 효목네거리 - 동구시장 -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 [[신천역(대구)|신천역]] - 대구중앙중고교 - [[2.28기념중앙공원]] - '''([[약령시(대구)|약령시]] →/← [[서문시장(대구)|서문시장]]5지구[* 909번 단독구간이다.])''' - [[청라언덕역]][* 지도앱들과 홈페이지에서는 청라언덕역에서 출발해서 금구리방향으로 간다고 나와있지만 실제로는 청라언덕역 정류장과 [[대신센트럴자이]] 정류장 사이 언덕옆에서 서있다. 그말은 즉슨 청라언덕역에서는 금구리 방향 버스를 탈수없고, 그 다음정류장에서 탑승해야한다는 말이다...] || ||<-2> '''중간 출발 정류소''' || || '''청라언덕(신남)역''' 방면 ||사월역 || || '''금구리''' 방면 ||효목네거리, 중구청 || == 개요 == 경산시 압량읍 금구리(9)에서 대구광역시 동구 신천동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1)를 거쳐 중구 대신동 청라언덕역(0)까지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 노선 번호 체계대로라면 원래 [[대구 버스 910|910번]]이 맞다. 이미 그 노선은 2006년 개편 때 폐지되었다. [[대구 버스 808|808번]]과 동일하게 편도 순환 노선으로 취급 받았기에 909번으로 존치.] 왕복 운행거리는 53.5km. [[http://naver.me/Fs5TxBAQ|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파일:대구 1번 에어로시티.jpg]] (출처 : 뉴스뱅크) 1번 시절. 사진의 차량은 [[우진교통(대구)|우진교통]] 소속 에어로시티 540L[* 1998년 개편 직전 촬영된 사진으로, 뒷차의 5번은 달서구 신당동 신당네거리에서 수성구 만촌동 남부정류장을 운행했던 노선으로, 1998년에 [[대구 버스 504|504번]]으로 바뀌고 2006년에 폐선되었다.] * 1998년 개편 전에는 송현주공아파트[* 현재는 재건축되어 [[상인화성파크드림]] 아파트다. 이전 종점은 [[서부정류장]] 내 대명로 [[대명역]]방면 경계의 현재 지하철 환기구 부근.]([[월촌역]])~경산시 압량면 금구리 구간을 운행하던 영예의 '''1번''' 일반버스였다.[* 유사 노선으로는 1996년 개통된 301번 좌석버스가 있었는데, 1998년 개편 때 이 노선은 [[대구 버스 649|649번]]으로 변경되었다.][* 그래서 일부 어르신들은 금구리 종점을 아직도 '''1번 종점'''이라고 한다. [[영남대학교]] 인근 조영동 [[삼천리버스]] 차고지를 '''75번 종점'''이라고 부르는 것도 마찬가지다. 1998년 개편 이전에는 일반버스 75번이 있었는데 이것은 1998년 개편 때 906번으로 변경되었다. 이 노선은 2005년 [[대구 버스 609|609번]]과 통합되었다.] * 1980년대 고정배차 당시 1번 노선은 [[우성교통|극동버스]]와 [[대현교통]]에서 담당하여 [[서부정류장]]까지 운행했다.[* [[서부정류장]] 내부가 협소해서 서부정류장을 종점으로 사용하지 않았다. 서부정류장→삼일호텔(현재 삼일병원)→장관빌라→[[앞산순환로]]→송현주공아파트→서부정류장 구간으로 루프 운행하면서 송현주공아파트를 회차지로 사용한 것이다.] * 1990년대 월배 지역이 개발되면서 서부정류장 시종점 노선들이 월배 지역으로 연장되면서 1번은 송현주공아파트(월촌역)까지 연장되었다. * 1998년 개편 때 [[반월당역]]에서 송현동으로 내려가지 않고, 반월당역 이남 구간을 단축한 후 도심 구간인 [[서문시장(대구)|서문시장]] 인근의 '''신남네거리'''[* 현 [[청라언덕역]] 1번 출구다.]로 종점이 변경되었다. 단축된 구간은 대체노선이 없었다가 동년 6월 [[대구 버스 613|613번]]이 신설되면서 대체했다. * 1998년 5월 개편 때는 만촌2동주민센터에서 무열대삼거리~효목네거리 구간, 동부여중[* 2002년에 남녀공학 전환에 따라 동부중학교로 교명이 변경됐다.] 구간을 1/2로 분리 운행했었다. 그러다 동부중학교 분리 구간은 2000년 무렵 폐지되어 만촌2동주민센터~무열대~효목네거리 구간으로 통합되었다. * [[2006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06년 개편]] 초기에는 이 노선의 앞, 뒤 행선판에는 '금구동 - 한일극장 - 서문시장'이라고 표기되어 있었다. 그러자 [[중앙로역(대구)|중앙로역]] 동쪽 지역에서 서문시장으로 가는 승객이 이 버스 행선판만 보고 잘못 타는 승객이 많았는지 후에 '금구동 - 한일극장 - [[반고개역]]'으로 바뀌었다. 당시에는 종점이 남산그린타운을 지난 중부소방서 건너편의 대구효도병원 앞이었기 때문에 이렇게 바꾼 것이다. 그러나 후에 종점을 [[청라언덕역]] 1번 출구로 변경한 후에는 행선판을 다시 '금구리 - 한일극장 - 서문시장역[* 2014년 2월 28일 2호선 서문시장역의 이름을 신남역으로 바꿨다.]'으로 순차적으로 바꿨다. 서문시장역 방향으로 운행하는 차량은 혼선을 막기 위해 앞에 '''"서문시장역까지 운행함"'''이라는 보조행선판도 붙이고 다니기도 했다. 역방향(압량 방향)일 때는 청라언덕역~남산그린타운~반고개역~비산네거리~동산네거리 구간을 경유하여 본선으로 합류했다. * 2009년 1월 개편으로 조폐공사 지원운행 구간이 폐지되었다. * 2012년 10월 개편으로 2대가 감차되어 [[대구, 경산 버스 840|840번]]에 투입되었다. 평일 배차간격은 12분에서 14분으로 늘어났다. * 2014년 10월 18일 1대가 감차되어 [[대구 버스 동구4, 동구4-1|동구4-1번]] 신설에 투입되었다. 평일 배차간격은 15분으로 늘어났다. * 2016년 2월 13일 개편으로 대신동 주민들의 불편 때문에 [[대구 버스 323, 323-1|323-1번]]과 서문시장5지구 구간([[큰장로]])을 맞바꿨다. 이 구간은 [[대구 버스 808|808번]]이 1998년 개편 초기 때 다녔던 경로다. * 2019년 12월 23일 1대가 감차되어 동구4-1번으로 이동되었다. 배차간격은 평일 16분으로 늘어났다. * 2020년 10월 17일 개편으로 1대가 또 감차되어 840번으로 이동되었다. 배차간격은 평일 17분으로 늘어났다. * 2021년 4월 부적길 진입로 및 도로 확보 공사로 금구동 회차지가 일시적으로 폐쇄되었다. 이에 인근 용암온천 진입로에서 임시로 회차대기했다. * 2021년 4월 21일부터 중산하늘채퍼스트 서편 정류소도 정차한다. * 2021년 10월 30일부터 금구리 방면은 대신센트럴자이 정류장에서 출발한다. 즉, 청라언덕역(1번출구) 정류장은 청라언덕역 방면 차량만 정차해 하차만 가능하다. 청라언덕역~대신센트럴자이 구간이 단절되어 순환형태가 잘렸다고 보면 된다.[* 비슷한 운행방식의 노선으로 [[대구 버스 518-1|518-1]], [[대구 버스 동구4, 동구4-1|동구4(-1)]], 연경동 착발노선 등이 있다.] == 특징 == * 2015년 때 649번과 함께 폐선이 계획되었다. 다만, [[경산시]]와 협의가 되지 않아서인지 최종안에서 살아남았다. 그러나 [[대구 버스 306|106번]]이 [[효목동|효목2동]]에서 철수하고 [[대구 버스 동구1, 동구1-1|동구1(-1)번]]이 중앙로를 경유하지 않으면서 909번의 동구 지역 수요가 늘어났다. * 금구리를 종점으로 쓰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중 유일하게 [[정평역]] 대신 [[경산역]], 경산시장을 경유한다.[* 금구리 경유 노선이라면 [[대구, 경산 버스 840|840번]]도 포함된다.] * [[한일운수(대구)|한일운수]]의 노선들 중 유일하게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로 다니며, 한일운수의 친인척 회사인 [[한일고속]]과 가까이 만나는 노선이다. * 기사 교대는 구.남부정류장에서 실시한다. * [[KBS 2FM]] [[가요광장]]에서 언급된 적이 있다. 200618 방송_ * 저수요 간선노선이다. 금구리~구.남부정류장 구간은 중복노선이 워낙 많아서 수요가 거의 없고,[* 이 문제는 노선 조정 여론이 많은 영남대~사월역~수성구청~반월당 노선들을 정리하면 해결된다.] 시내~청라언덕역 구간도 [[대구 버스 323, 323-1|323(-1)번]]에 밀려 이용 승객이 거의 없는 편이다. 대신 대공원역~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구간, 동구시장~시내 간의 수요는 나름대로 나온다.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와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를 오가는 야구팬 수요를 [[대구 버스 937|937번]]과 분담하고 있다. 특히 937번이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이용객 수요 1위를 기록하고 있기 때문에 937번의 수요를 나름대로 보조해 준다. === 일평균 승차량 === ||<-3>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909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4년 || 6,157명 || - || || 2015년 || 5,688명 || {{{#blue,#6495ed ▽ 469}}} || || 2016년 || 6,046명 || {{{#red,#salmon △ 358}}} || || 2017년 || 6,272명 || {{{#red,#salmon △ 226}}} || || 2018년 || 5,309명 || {{{#blue,#6495ed ▽ 963}}} || || 2019년 || 5,644명 || {{{#red,#salmon △ 335}}} || || 2020년 ||<-2> {{{#aaa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2,506명 || {{{#blue,#6495ed ▽ 3,138}}} || || 2022년 || ''' 3,901명''' || {{{#red,#salmon △ 1,395}}}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https://www.kotsa.or.kr/ptc/inside_use.do|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 연계 철도역 ==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동대구역(도시철도)|동대구역]], [[신천역(대구)|신천역]], [[중앙로역(대구)|중앙로역]], [[반월당역]][*A 청라언덕역 방면 한정.] * [[파일:Daegu2.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영남대역]], [[임당역]], [[사월역]], [[신매역]], [[고산역]], [[대공원역(대구)|대공원역]], [[연호역]], [[담티역]], [[만촌역]], 반월당역,[*A] [[청라언덕역]],[*A] [[반고개역]][*B 금구리 방면 한정.] * [[파일:Daegu3.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청라언덕역, [[서문시장역]][*B][* 섬유회관 앞 정류소에서 연계 가능.] * 일반 철도역 : [[동대구역]](SRT,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경산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구-경산/영천간 시내버스)] [include(틀:대구 시지 연계 버스)] [[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경산시 경유 관외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