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단어 == === [[똥|대변]](大便), [[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똥)] [[똥]]을 점잖게 이르는 한자말.[* 영어권에서도 dung, poo라고 하면 속된 말이고, [[라틴어]] 파생어로 Feces(피시즈; 대변) 또는 배설물이라는 뜻을 지닌 Excrement(엑스크리먼트; 배설물)이라고 하면 점잖은 말이 되는 것과 유사하다.] 다소 전문 어휘로, 일상 생활에서 대화할 때에는 보통은 '대변 보러 간다'고 말하지 않는다. '2번',[* 이 경우엔 당연히 1번은 [[소변]]이 된다.] '큰 거', 혹은 '큰볼일'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한자어로 대변에 대응되는 표현이 있는 일본도 마찬가지다. === [[대변인|대변]](代辯), 대신 말하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변인)] 어떤 사람이나 단체를 대신하여 그의 의견이나 태도를 표함. 또는 그런 일. 이 일을 하는 사람을 [[대변인]]이라고 한다. === 기타 한자어 === * 貸邊: [[부기]]([[회계학|회계]]) 용어. 복식 부기의 분개법(分介法)에서, 장부상의 계정계좌의 오른쪽 부분. 자산(資産)의 감소(減少), 부채나 자본의 증가, 이익의 발생 따위를 기입한다. 영어로는 Credit이라고 한다. 반대말은 [[차변]](借邊)이다. * 對邊: 평면 도형에서, 특정 꼭지점, 각 변의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변을 대변이라 부른다. == 지명 == === 대변리(大邊里),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 대변리.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에 있는 [[리(행정구역)|리]](里). 바다를 끼고 있는 해안 마을로, 대변항은 [[동부산]]에서 가장 큰 [[어항]](漁港)이다. 기장의 특산물이 [[멸치]]이고 멸치축제도 매년 하는데, 그 멸치는 거의 대변항에서 취급.[* 기장에서 가장 큰 기장읍내는 바닷가가 아닌 내륙 안쪽에 있는 도시고, 기장군 내의 칠암, 월내 등 다른 항구들은 멸치보다는 [[붕장어]] 등 다른 [[생선]] 등으로 유명하다.] 기장미역, 기장다시마도 대변항의 특산품으로 유명하다. 이름의 유래는 '대동미 창고 옆 포구'라는 의미의 '''대'''동고'''변'''포(大同庫邊浦). 자연마을에는 대변마을, 무양마을, 흙구덩이 새마실이 있다. 또한 [[야동초등학교]], 오덕초등학교랑 맞먹는 이름을 가진 [[용암초등학교(부산)|대변초등학교]]가 대변리에 있었으나, 2018년 [[용암초등학교(부산)|용암초등학교]]로 개명하였다.[* 이 학교는 본교가 아니라 [[분교]]로 설립되었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똥]][[분류:기하학]][[분류:대한민국의 리]][[분류:기장군]][[분류:한자어]][[분류:회계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