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큰 [[지진]] == 큰 지진에 대한 일반적인 명칭. 대개 규모 7.0을 기준으로 삼는다. 그보다 넓게 보아 규모 6 또는 최대 진도 5 이상의 강진을 일컬을 때에도 사용된다. [[진도(지진)|진도]]의 경우 대개 수정 메르칼리 진도 Ⅷ/[[일본 기상청]] 진도 6약 이상을 기록하는 경우가 많다. 과거 지진 활동 조사의 편의를 위해 규모 7.0 이상은 대지진, 규모 5.0 이상 7.0 미만은 중지진 등으로 분류하던 데서 유래했다. 일본에서 사용되는 대진재(大震災)를 번역할 때에도 활용되는데, 따져보면 지진과 진재는 다르다. 지진은 지각 활동 자체를, 진재는 지진에 의한 피해를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진재라는 어휘가 널리 쓰이지 않는 관계로 대진재를 대지진으로 번역하는 것이다. === 목록 === 이하는 대지진들의 목록으로 발생 일자순을 따른다. 발생 일자는 현지 시간을 기준으로 한다. 최대진도는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되어 있다면 일본 기상청 방식의 진도이며, 로마 숫자로 표기되어 있다면 수정 메르칼리 진도이다. || 이름 || 발생 일자 || 발생 지점 || 규모 || 최대진도 || 비고 || || [[태산진]] || 기원전 1831~1731년경 || [[중국]] [[산둥성]] 타이산시 || 6.5 || 불명 || || || 갈리시아 해안 대지진 || 기원전 60년경 || [[스페인]] 갈리시아주 || '''8.5''' || 불명 || || || [[89년 서울 지진]] || 89년 음력 6월경 || [[백제]] [[위례성]] 인근[* 現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6.7~'''7.0''' ||<#4c2600> {{{#fff '''Ⅸ'''}}} || [* 극히 드문 '''삼국시대 초기'''의 지진 기록으로, 사망자가 다수 발생하고 민가가 붕괴되었다고 적혀 있다.] || || [[779년 경주 지진]] || [[779년]] 3월경 || [[신라]] [[서라벌]] 인근[* 現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 || 6.3~'''7.3''' ||<#4c2600> {{{#fff '''Ⅸ'''}}} || [* 한반도의 역사지진 기록에서 '''인명피해까지 비교적 자세히 기록'''된 가장 오래된 지진이다. 수도 경주에서만 최소 '''100여 명이 사망했다'''고 적혀 있다.] || || [[산시 대지진]] || [[1556년]] [[1월 23일]] || [[중국]] [[산시성(섬서성)|산시성]] || '''8.0''' || '''Ⅺ''' || [*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사람이 죽은 지진'''으로 1556년 중국 명나라에서 벌어진 지진이다. 사망자는 대략 '''83만 명'''이라고 한다.] || || [[1597년 백두산 지진]] || [[1597년]] [[10월 6일]] || [[함남]] 삼수군 백두산 일대 || 7.7~'''8.0''' || '''Ⅷ''' || [* '''한반도에서 발생한 가장 강력한 지진'''이자 '''화산성 지진'''이기도 하다. 백두산에서 폭발에 가까운 분화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 [[1643년 울산 대지진|울산 지진]] || [[1643년]] [[7월 25일]] || [[대한민국]] 울산 앞바다 || 6.5~7.4 || '''Ⅸ''' || [* 이 지진의 규모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의견이 분분한데, 미국 NOAA에서는 6.5정도로 추정하고 있으며, 서울대 이기화 교수 및 대한민국 기상청에서는 6.7~7.0, 손문 부산대학교 교수는 M7~7.4로 추정하고 있다.] || || [[1681년 양양 대지진|양양 지진]] || [[1681년]] [[6월 12일]] || [[대한민국]] 강원도 양양 앞바다 || 6.7~7.5 || '''Ⅸ''' || [* 1643년 울산 지진과 함께 대한민국 역사상 최강의 지진. 쓰나미까지 발생했다.] || || [[호에이 대지진]] || [[1707년]] [[10월 28일]] 14시경 || 일본 엔슈 해역 및 기슈 해역 || '''8.6'''~{{{#8000bb '''9.3'''}}} || '''7''' || [* [[도카이 대지진|도카이]], [[도난카이 대지진|도난카이]], [[난카이 대지진|난카이]] 셋 다 연동하여 발생했다.] || || [[리스본 대지진]][br](1755년 포르투갈 대지진) || [[1755년]] [[11월 1일]] || [[포르투갈 왕국]] [[리스본]] || '''8.7'''~{{{#8000bb '''9.0'''}}} || '''Ⅺ''' || [* '''서구 문명의 흐름을 뒤바꾸어 놓은 지진.''' [[계몽주의]]의 발흥과도 관계가 깊다.] || || [[도카이 대지진|1854년 안세이 도카이 지진]] || [[1854년]] [[12월 23일]] || [[일본]] [[시즈오카현]] 서부 해역 || '''8.4'''~'''8.6''' || '''7'''[* 20세기에 이루어진 사후해석을 적용하였다.] || [* '''가장 최근에 발생한 [[도카이 대지진]]'''][* 지진 발생 32시간 후 난카이 대지진이 발생했다.] || || [[샌프란시스코 지진]] || [[1906년]] [[4월 18일]] || 미국 [[샌프란시스코]] || 7.8~'''8.3''' || '''Ⅺ''' || || || [[1920년 간쑤성 대지진]] || [[1920년]] [[12월 16일]] 20시 32분경 || [[중국]] [[닝샤 후이족 자치구]] 하이위안 현 || 7.8(리히터) [br] '''8.6'''(표면파) || {{{#ff0000 '''Ⅻ'''}}} || || || [[관동 대지진]] || [[1923년]] [[9월 1일]] 오전 11시 58분 || 일본 제국 가나가와현 [br] 사가미만 일대 || 7.9~'''8.2''' || '''6'''[* 1923년 당시에는 진도 7이 존재하지 않았다. 진도 7이 도입된 해는 1949년으로 무려 약 '''26년'''이 지난 시점에 도입된 것이다.] || [* 당시 일본은 성난 민심을 돌리고자, '''[[관동대학살|한국인들에게 누명을 씌워 무차별하게 학살]]했다.'''][* '''가장 최근에 발생한 사가미 트로프 연동 대지진'''][* '''[[수도직하지진]]'''] || || [[1939년 에르진잔 지진]] || [[1939년]] [[12월 27일]] || [[터키]] 에르진잔 도 || 7.8 || '''{{{#red Ⅻ}}}''' || || || [[도난카이 대지진#s-3.1|1944년 쇼와 도난카이 지진]] || [[1944년]] [[12월 7일]] || 미에 현 오와세 시 20km 해역 || 7.9~'''8.2''' || '''6'''[* 1944년 당시에는 진도 7이 존재하지 않았다. 진도 7이 신설된 해는 1949년이다.] || [* 태평양 전쟁 막바지라 정확한 통계가 확인되지 않았다.][* '''가장 최근에 발생한 [[도난카이 대지진]]'''] || || [[난카이 대지진|1946년 쇼와 난카이 지진]] || [[1946년]] [[12월 21일]] || [[일본]] [[와카야마현]] 남부 해역 || '''8.0'''~'''8.4''' || '''6'''[* 1946년 당시에는 진도 7이 존재하지 않았다. 진도 7이 신설된 해는 1949년이다.] || [* '''가장 최근에 발생한 [[난카이 대지진]]'''] || || [[1948년 후쿠이 지진]] || [[1948년]] [[6월 28일]] || [[일본]] [[후쿠이현]] 북부 || 7.1 || '''6'''[* 1948년 당시에는 진도 7이 존재하지 않았다. 진도 7이 신설된 해는 1949년으로, 후쿠이 지진이 진도 7의 신설에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 || || || [[세베로쿠릴스크 지진]] || [[1952년]] [[11월 5일]] || 소련 [[캄차카 반도]] || '''{{{#8000bb 9.0}}}''' || '''Ⅺ''' || [* 지진이 일어날 당시에는 최대규모였다.] || || [[칠레 대지진]] || [[1960년]] ~ [[2015년]]까지 세 차례 || [[칠레]] || '''8.3'''~'''{{{#8000bb 9.6}}}''' || '''Ⅸ''' ~ {{{#ff0000 '''Ⅻ'''}}} || [* 이들 중 1960년 볼디비아 지진은 '''인류가 관측한 역대 최강의 지진'''이다.] || || [[알래스카 지진]] || [[1964년]] [[3월 27일]] 17시 32분경 || [[알래스카]] || '''{{{#8000bb 9.2}}}''' || '''Ⅺ''' || || || [[탕산 대지진]] || [[1976년]] [[7월 28일]] 15시 42분경 || 중국 [[허베이성]] 탕산 || 7.8 || '''Ⅺ''' || [* 중국 역사상 최악의 지진 중 하나이다.] || || [[1985년 멕시코시티 대지진]] || [[1985년]] [[9월 19일]] || [[멕시코]] [[멕시코시티]] || 8.0 || '''IX''' || || || [[아르메니아 대지진]] || [[1988년]] [[12월 7일]] 11시 41분경 || [[소련]] [[아르메니아|아르메니아 공화국]] || 7.0 || '''X''' || || || [[1990년 이란 지진]] || [[1990년]] [[6월 21일]] 0시 14분경 || [[이란]] 만질-루드바르 지방 || 7.7 || '''X''' || || || [[효고현 남부 지진|고베 대지진]] || [[1995년]] [[1월 17일]] || [[일본]] 효고현 아와지시와 고베시 사이의 [br] 아카시 해협 인근 || 7.3 || '''7''' || || || [[921 대지진|대만 난터우 지진]] || [[1999년]] [[9월 21일]] || [[대만]] [[난터우]] || 7.7 || '''X''' || || || [[후쿠오카 현 서부 해역 지진]] || [[2005년]] [[3월 20일]] || [[일본]] [[후쿠오카현]] 북서 해역 || 7.0 || '''6-''' || [* 21세기의 해외지진 중 '''한국에 가장 큰 영향'''(최대진도 '''Ⅴ''', '''4'''/'''지진해일주의보''')을 끼쳤다.] || || [[쓰촨성 대지진]] || [[2008년]] [[5월 12일]] || 중국 [[쓰촨성]] || '''8.0''' || '''XI''' || || || [[2010년 아이티 지진]] || [[2010년]] [[1월 12일]] || [[아이티]] 포르토프랭스 일대 || 7.0 || '''X''' || [* '''[[수도직하지진]]'''] || || [[동일본 대지진]] || [[2011년]] [[3월 11일]] 14시 46분 || 일본 산리쿠 연안 || '''{{{#8000bb 9.1}}}''' || '''7''' || || || [[2015년 네팔 대지진]] || [[2015년]] [[4월 25일]] || [[네팔]] [[카트만두]] || 7.9 || '''Ⅸ''' || || || [[2015년 오가사와라 서해 지진]] || [[2015년]] [[5월 30일]] || [[일본]] [[오가사와라 제도]] || '''8.1''' || '''5+''' || [* 21세기의 심발지진 중 가장 강력한 지진이다.] || || [[2016년 구마모토 지진]] || [[2016년]] [[4월 16일]] || 일본 [[구마모토]] 현 카미마시키 군 [br] 마시키 정(마치) || 7.3 || '''7''' || [* 2차 지진 발생 전인 이틀 전에도 규모 6.5의 지진이 있었다.] || || [[2016년 에콰도르 지진]] || [[2016년]] [[4월 17일]] || [[에콰도르]] 페데르날레스 || 7.8 || '''Ⅷ''' || || || [[2017년 멕시코 중부 대지진]] || [[2017년]] [[9월 19일]] || [[멕시코]] [[멕시코 시티]] || 7.1 || '''Ⅷ''' || [* [[1985년 멕시코시티 대지진]]으로부터 '''정확히 32년 후'''에 발생했다. [[수도직하지진|수도를 직격한 지진]]이기에 '''366명'''이라는 엄청난 수의 사망자가 나왔다.] || || [[2017년 멕시코 피히히아판 대지진|2017년 멕시코 대지진]] || [[2017년]] [[9월 8일]] || [[멕시코]] [[치아파스]] 주 피히히아판 || '''8.1''' || '''Ⅸ''' || [* 1985년의 멕시코시티 대지진보다 '''더 강력한 지진'''이다. 불행 중 다행으로 수도 중심부가 아닌 외진 곳에서 발생하여 100명 미만의 사망자(98명)에 그쳤다.] || || [[2017년 파푸아뉴기니 지진]] || [[2017년]] [[1월 22일]] || [[파푸아뉴기니]] 팡과나 || 7.9 || '''Ⅷ''' || || || [[2019년 페루 지진]] || [[2019년]] [[5월 26일]] || [[페루]] 로레로 주 || '''8.0''' || '''Ⅸ''' || || || [[2021년 후쿠시마 지진]] || [[2021년]] [[2월 13일]] || [[일본]] [[후쿠시마현]] 먼바다 || 7.3 || '''6+''' || || || [[2021년 뉴질랜드 케르마덱 지진]] || [[2021년]] [[3월 5일]] || [[뉴질랜드]] 케르마덱 제도 || '''8.1''' || '''Ⅸ''' || [* 가장 최근에 발생한 M8.0 이상의 대지진이다. 이후의 지진 활동으로 갱신될 가능성이 있다.] || || [[2021년 중국 칭하이성 지진]] || [[2021년]] [[5월 22일]] || [[중국]] [[칭하이성]] || 7.3 || '''Ⅷ''' || || || [[2021년 알래스카 지진]] || [[2021년]] [[7월 29일]] || [[미국]] [[알래스카]] || '''8.2''' || '''Ⅷ''' || || || [[2022년 3월 후쿠시마 지진|2022년 후쿠시마 지진]] || [[2022년]] [[3월 16일]] || [[일본]] [[후쿠시마현]] || 7.4 || '''6+''' || [* 일본에서 가장 최근에 발생한 M7.0 이상의 강한 지진이다. 이후의 지진 활동으로 갱신될 가능성이 높다.] || ||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2023년 튀르키예 지진]] || [[2023년]] [[2월 6일]] || [[튀르키예]] [[가지안테프]] || 7.8 || '''Ⅹ''' ~ {{{#f00 '''Ⅻ'''}}} || || || [[2023년 모로코 대지진|2023년 모로코 지진]] || [[2023년]] [[9월 9일]] || [[모로코]] [[마라케시]] || 6.8 || '''Ⅸ''' || || === 관련 문서 === * [[일본 대지진]] * [[중국 대지진]] * [[남아시아 대지진]] == [[드래곤 퀘스트 9]]의 대지진 == [[드래곤 퀘스트 9]]에 등장하는 용어. 별의 방주가 세계수에 도착했을 당시에 갑자기 별의 방주와 천사계를 공격한 사악한 에너지의 파동으로 생긴 충격파가 지상에 영향을 줘서 발생한 거대한 지진을 뜻한다. 자연재해를 동반했고, 이 지진 이후로 마물들의 출현이 늘었다. 이사건 이후 지상의 이변을 확인하기 위해서 많은 천사들이 지상으로 내려갔지만, 소식이 두절되어 아무도 돌아오지 않았다고 한다. 주인공 빼고. == [[진 여신전생 3 녹턴]]의 스킬 == 적 전체에게 물리속성 특대데미지를 준다. 진3에선 최대배율의 공격력을 가진 물리 전체공격(심지어 [[인수라]]의 [[지모의 만찬]]이나 [[지고의 마탄]]보다도 강력하다)이지만 보유한 악마가 힘은 낮고 마력이 높은 [[스카디]]라서 별 효과를 보기 힘들다. 거기다 체력소모가 45%로 꽤 큰것도 주원인이다. 만약 전승이 되는 스킬이었다면 그야말로 대박이었겠지만 스카디의 고유 스킬인 관계로 전승 불가. 하지만 미타마질+[[기합]]+[[관통]]+3할의 활천으로 운용하면 물리반사 빼곤 대적할 악마를 찾기 힘들 정도로 강력할 것이다. 물론 이렇게 해서 강하지 않은 악마는 찾기 힘들겠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미타마질이 귀찮아서 버리는 듯하다. 쓰는 사람이 없어서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전체공격스킬 가운데 명중률이 가장 높다는 점은 쓸 만하다. 대신 크리티컬 확률은 0%. 이펙트는 [[인수라]]의 [[지모의 만찬]]과 동일. === 관련 문서 === * [[여신전생/스킬]] == [[유희왕]]의 지속 함정 카드 ==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41D8sYTa0OL.jpg]] || 한글판 명칭 ||'''대지진'''|| || 일어판 명칭 ||'''大地震'''|| || 영어판 명칭 ||'''Seismic Shockwave'''|| |||| 지속 함정 ||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공룡족 몬스터가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 위의 마법 & 함정 카드 존에서 3곳을 지정한다. 지정한 마법 & 함정 카드 존은 사용할 수 없다. 이 때 카드가 존재하고 있는 장소는 지정할 수 없다. 이 카드는 발동 후 3번째 자신의 스텐바이 페이즈시에 파괴된다. 이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 자신 묘지의 공룡족 몬스터 1장을 패로 되돌릴 수 있다.||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고대룡의 분노]]에서 발매된 공룡족 지원 함정 카드. 쉽게 말하면, 공룡족 몬스터가 파괴된 것을 트리거로 발동하는 마법 & 함정 카드 존에 놓는 [[방해꾼 킹]], 혹은 [[지반 침식]]. 그런데 턴 제한이 있다. 일단 그런 써먹기 힘든 효과 외에도 공룡족 몬스터를 [[샐비지(유희왕)|샐비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기는 한데, 애석히도 [[더블 싸이크론(유희왕)|마법 / 함정]] [[해피의 깃털|파괴]] [[트윈트위스터|카드]][[싸이크론|가]] [[나이트 샷|난무]][[갤럭시 싸이크론|하는]] 현 환경 내에서는 보험 효과라고 보는 게 좋다. [[DNA 개조 수술]]로 공룡족으로 바꿔도 필드 / 묘지의 종족까지 확인하기 때문에 발동할 수 없고, 데미지 스텝에도 발동할 수 없다. 만약, 상대 마법 & 함정 존에 빈 칸이 2개 이하인 경우에도 발동할 수 없다. 일단 발동하기만 하면 상대의 행동을 봉쇄할 수 있으니 좋은 효과기는 한데... '이 카드는 발동 후 3번째 자신의 스텐바이 페이즈시에 파괴된다.'는 효과는 효과로 파괴되는 취급이 아니라서 [[궁정의 관습]]으로 지킬 수 없다. 따라서 스탠바이 페이즈에 이 카드가 파괴되는 처리는 체인 블록을 만들지 않는다. 코나미 카드 데이터 베이스 Q&A에 따르면 똑같이 파괴되는 [[오버 데드 라인]]에 대해서도 똑같은 재정이라고 한다. [[듀얼 링크스]]에선 마함존도 3개뿐이기 때문에 이 카드의 유용함이 늘어났다. [[지각변동]]이나 [[어스퀘이크]]와의 관계는 불명이다. == 게임 [[메이플스토리]]의 대규모 패치 == 2008년 8월 21일 있었던 "빅토리아 아일랜드 대지진" 이라는 이름의 대규모 패치였다. [[슬리피우드/빅뱅 이전#대지진|자세한 내용은 이 링크를 참조할 것.]] == 영화 == [[대지진(영화)]] 문서 참고 [[분류:동음이의어]][[분류:지진]][[분류:유희왕/OCG/지속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