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더 보이즈(드라마))] ||<-3>
[[프라임 비디오|[[파일:프라임 비디오 로고 화이트.svg|width=75]]]] [[프라임 비디오/오리지널 콘텐츠 목록|{{{#fff '''오리지널'''}}}]][br]'''{{{#ffffff {{{+1 더 보이즈}}}}}}''' {{{#ffffff (2019~)}}} [br] {{{#ffffff The Boys}}}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he-Boys-S4-teaser.png|width=100%]]}}} || ||<-2> {{{#ffffff '''장르'''}}} ||[[슈퍼히어로물|슈퍼히어로]], [[액션]], [[스릴러]], [[블랙 코미디]], [[풍자]] || ||<-2> {{{#ffffff '''원작'''}}} ||만화 <[[더 보이즈(만화)|더 보이즈]]> || ||<-2> {{{#ffffff '''제작자'''}}} ||에릭 크립키[br][[세스 로건]][br]에반 골드버그 {{{-1 외}}} || ||<-2> {{{#ffffff '''극본'''}}} ||에릭 크립키[br]크레이그 로젠버그[br]레베카 소넨샤인 {{{-1 외}}} || ||<-2> {{{#ffffff '''출연'''}}} ||[[잭 퀘이드]], [[칼 어번]], [[안토니 스타]], 에린 모리아티 {{{-1 외}}} || ||<-2> {{{#ffffff '''음악'''}}} ||크리스토퍼 레네츠 || ||<|4> {{{#ffffff '''회차'''}}} || {{{#ffffff '''시즌 1'''}}} ||8회 {{{-1 (2019년 7월 26일)}}} || || {{{#ffffff '''시즌 2'''}}} ||8회 {{{-1 (2020년 9월 4일 ~ 2020년 10월 9일)}}}[*A 1 ~ 3화가 선공개된 뒤, 일주일에 한 편씩 공개되었다.] || || {{{#ffffff '''시즌 3'''}}} ||8회 {{{-1 (2022년 6월 3일 ~ 2022년 7월 8일)}}}[*A] || || {{{#ffffff '''시즌 4'''}}} ||미정 {{{-1 (2024년 월 일 ~ 2024년 월 일)}}} || ||<-2> {{{#ffffff '''스트리밍'''}}}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파일:프라임 비디오 로고.svg|width=75]]]] || ||<-2> {{{#ffffff '''시청 등급'''}}} ||'''[[청소년 이용불가|[[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 청소년 관람불가}}}]]''' || ||<-2> {{{#ffffff '''링크'''}}} ||[[https://www.primevideo.com/detail/0HLDL6JTNVIK6GJDH0UIW4TES8|[[파일:프라임 비디오 로고.svg|width=7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heboystv, 크기=20)] | [[https://www.instagram.com/theboystv/|[[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c/voughtintl/featured|[[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작중 회사인 보우트 인터내셔널 유튜브]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더 보이즈 개요.jpg|width=100%]]}}}|| 2006년 [[가스 이니스]]가 다이너마이트에서 연재한 만화 '[[더 보이즈(만화)|더 보이즈]]'를 2019년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에서 실사화한 미국 드라마. [[수퍼내추럴]]의 감독을 맏았던 에릭 크립키가 제작을 담당했다. 명실상부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의 최고 인기 컨텐츠로 '더 보이즈' 일행이 [[슈퍼히어로]] 집단인 '세븐'과 그들을 후원해주는 '보우트' 사의 비밀과 추악한 진실을 파헤쳐나가는 이야기이다. 성인 등급이며, 다른 드라마에 비해 사람이 터지거나 잘려나가는 고어한 장면과 성적인 장면이 많이 나오는데, 이는 사실 '''원작보다 많이 순화된 것이다.''' 거기에 내용 측면에서는 원작의 세계관은 따라가지만 독창적으로 재해석 됐으며 거기에 단순 재해석만이 아닌 풍자, 유머, 사회 문제 등을 개연성을 가지고 적절히 추가해 작품성 측면에서나 흥행성 측면에서나 기존의 원작과는 비교가 안 된다는 평가가 우세할 정도로 원작 이상의 평가를 받고 있다. ==# 공개 정보 #== '''시즌 3''' * 2021년 9월 18일 기준 더 보이즈 시즌 3의 촬영이 완벽히 끝난 상태이며, 2022년 상반기에 공개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 * 시즌 2가 발표되기도 전, 시즌 3에 [[젠슨 애클스]]의 캐스팅이 일치감치 확정되었다.[[https://variety.com/2020/tv/news/supernaturals-jensen-ackles-joins-the-boys-season-3-1234737168/|#]] 원작에도 있었던 '솔저 보이' 역인데 많은 캐릭터들이 그랬듯 각색을 거쳐 똑같은 설정으로 등장하지는 않을듯. 세계 2차 대전 때 만들어진 초기 슈퍼히어로로 독일군을 상대로 활약했다고 시즌2 1화에서 스탠 에드거에 의해 잠깐 언급된다. 보다시피 [[캡틴 아메리카]]가 모티브인 캐릭터다. 캐스팅이 발표되고 배우 인스타에 짧막한 동영상이 올라왔다.[[https://www.instagram.com/p/CD_xI6JgrWw/|#]][* 더 보이즈의 총괄 프로듀서이자 크리에이터인 에릭 크립키는 역시 <수퍼내추럴>의 크리에이터, 총괄프로듀서였던 만큼 재회에 관심이 쏠렸다.] * 시즌 3에서는 전 시즌에서 홍보 담당자였다가 스틸웰의 후계자가 된 애슐리와 시즌 2 마지막에 머리 폭발 테러의 진범으로 밝혀진 빅토리아 뉴먼의 분량이 매우 늘어날 것이라고 한다. * 원작의 솔저보이는 1대와 2대가 있는데 1대는 의외로 평범한 히어로에 2차 세계대전 때 독일군과 싸우다가 머리가 탱크에 깔려 죽어버렸고 2대는 순진하고 멍청하며 바지에 오줌을 지릴 정도로 겁쟁이이며 세븐에 들어가기 위해서 홈랜더에게 성상납을 하던 비중없는 단역이었지만 드라마 판의 솔저보이는 슈트나 설정 일부분은 1대에서 따온 것으로 보이며 공식적으로는 컴파운드 V로 탄생한 최초의 초능력자[* 실제로는 스톰프론트가 최초]이자 2차 대전을 완벽한 승리로 이끈 전쟁 영웅으로 나올 것이며 어쩌면 기존 캐릭터들 중에서도 사상적으로는 홈랜더보다 위험할 것이라고 밝혔다. * 새로운 히어로들로는 숀 패트릭 플래너리, 마일즈 가스통 뷜라누에바, 닉 웩슬로가 각각 건 파우더, 슈퍼 소닉, 블루 호크로 캐스팅되었다. 여기서 건 파우더는 원작의 등장인물이지만 슈퍼 소닉, 블루 호크는 드라마의 고유 창작 인물로서 드라마판 세계관을 넓힐것이라고 한다. * 새로운 여성 캐릭터로는 러시아 마피아 보스 리틀 니나역의 카티아 윈터, 히어로 크림슨 카운테스 역의 로리 홀든이 캐스팅 되었다. 리틀 니나는 원작에서 항상 바이브레이터를 가지고 다니며 러시아를 지배하기 위해 보우트와 협약하는 인물이었고 크림슨 카운테스는 열에 관한 능력을 기반으로 스칼렛 위치와 유사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 시즌 1 초반에 에제키엘 파트에 나왔던 히어로들의 집단 난교는 시즌 3에서 더욱 더 미친 버전의 업그레이드가 나올 예정으로 더 보이즈의 총괄 책임자 크립키조차 Hard - R등급이 될테니 사람들이 이걸 볼 준비가 되어있을 지 걱정되는 수준이라 말했다. 그 말에 잔뜩 기대에 부푼 팬들에게 부응하듯, 역대 에피소드 최고로 역겹고 문란한 장면들이 배출되었다. 궁금하면 시즌3 6화 참조. * 스톰프럼트 역을 맡았던 배우 아야 캐쉬는 시즌 3에서 연락을 못 받았다고 밝힘으로서 스톰프론트는 나오지 않을 거라고 예상됐으나, 전신에 화상을 입은 모습으로 출연하였다. ----- '''시즌 4''' * 2022년 8월 23일 촬영이 시작되었다.[[https://www.instagram.com/p/ChkmSYWuVaf/?igshid=YmMyMTA2M2Y=|#]] * 2022년 8월 26일 [[제프리 딘 모건]]의 캐스팅이 확정되었다.[[https://www.instagram.com/p/ChsdFS5uNjK/?igshid=YmMyMTA2M2Y=|#]] ===# 예고편 #=== * '''시즌 1'''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veCslMeHqw)]}}}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CSr8XYansE)]}}} || || '''{{{#ffffff 티저 예고편}}}''' || '''{{{#ffffff 무검열 티저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1bhOaLV4FU)]}}}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eKm_ZSZy7s)]}}} || || '''{{{#ffffff 공식 예고편}}}''' || '''{{{#ffffff 최종 예고편}}}''' || ---- * '''시즌 2'''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FG5kWXcp9Y)]}}}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VHwlqyMyhM)]}}} || || '''{{{#ffffff 액션 티저 예고편}}}''' || '''{{{#ffffff 티저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N8fFM1ZdWo)]}}} || || '''{{{#ffffff 공식 예고편}}}''' || ---- * '''시즌 3'''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Hx-6MTGpwg)]}}}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lTgqUW-NYE)]}}} || || '''{{{#ffffff 공개일 발표 예고편}}}''' || '''{{{#ffffff 티저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8VYKUZYiw)]}}} || || '''{{{#ffffff 공식 예고편}}}''' || ===# 포스터 #=== * 시즌 1 ||
[[파일:The.Boys.S1_Poster.jpg|width=100%]] || || {{{#ffffff '''메인 포스터'''}}}[* [[파일:더 보이즈 표지.jpg|width=350]] 원작 1권의 표지를 오마주했다.] || ---- * 시즌 2 ||
[[파일:The.Boys.S2_TeaserPoster.jpg|width=100%]] || [[파일:The.Boys.S2_Poster.png|width=100%]] || || {{{#ffffff '''티저 포스터'''}}} || {{{#ffffff '''메인 포스터'''}}}[* [[파일:TheBoys_11.jpg|width=350]] 원작 11권의 표지를 오마주했다.] || ---- * 시즌 3 ||
[[파일:The.Boys.S3_TeaserPoster.webp|width=100%]] || [[파일:더 보이즈 시즌3.jpg|width=100%]] || || {{{#ffffff '''티저 포스터'''}}} || {{{#ffffff '''메인 포스터'''}}} || == [[더 보이즈(드라마)/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더 보이즈(드라마)/등장인물)] == [[더 보이즈(드라마)/줄거리|줄거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더 보이즈(드라마)/줄거리)] == 에피소드 목록 == === 시즌 1 === ||<|2>
{{{#ffe135 '''회차'''}}} ||<|2> {{{#ffe135 '''방영일자'''}}} ||<|2> {{{#ffe135 '''부제'''}}} ||<-2> {{{#ffe135 '''제작'''}}} ||<|2> {{{#ffe135 '''비고'''}}} || || {{{#ffe135 '''감독'''}}} || {{{#ffe135 '''각본'''}}} || || '''{{{#ffe135 '''1'''}}}''' || [[2019년]] [[7월 26일]] || 게임의 이름[br]''The Name of the Game'' || [[댄 트라첸버그]] || 에릭 크립키 || || || '''{{{#ffe135 '''2'''}}}''' || [[2019년]] [[7월 26일]] || 체리[br]''Cherry'' || 맷 샤크먼 || 에릭 크립키 || || || '''{{{#ffe135 '''3'''}}}''' || [[2019년]] [[7월 26일]] || 획득[br]''Get Some'' || 필립 스그리치아 || 조지 매스트라스 || || || '''{{{#ffe135 '''4'''}}}''' || [[2019년]] [[7월 26일]] || 슈퍼히어로 여인[br]''The Female of the Species'' || 프레드 토이 || 크레이그 로젠버그 || || || '''{{{#ffe135 '''5'''}}}''' || [[2019년]] [[7월 26일]] || 영혼을 위해[br]''Good for the Soul'' || 스테판 슈워츠 || 앤 코펠 선더스 || || || '''{{{#ffe135 '''6'''}}}''' || [[2019년]] [[7월 26일]] || 순수[br]''The Innocents'' || 제니퍼 팡 || 레베카 소넨샤인 || || || '''{{{#ffe135 '''7'''}}}''' || [[2019년]] [[7월 26일]] || 자기 보호 사회[br]''The Self-Preservation Society'' || 댄 아티아스 || 크레이그 로젠버그[br]엘리 모나한 || || || '''{{{#ffe135 '''8'''}}}''' || [[2019년]] [[7월 26일]] || 날 찾은 당신[br]''You Found Me'' || 에릭 크립키 || 앤 코펠 선더스[br]레베카 소넨샤인 || || === 시즌 2 === ||<|2>
{{{#ffe135 '''회차'''}}} ||<|2> {{{#ffe135 '''방영일자'''}}} ||<|2> {{{#ffe135 '''부제'''}}} ||<-2> {{{#ffe135 '''제작'''}}} ||<|2> {{{#ffe135 '''비고'''}}} || || {{{#ffe135 '''감독'''}}} || {{{#ffe135 '''각본'''}}} || || '''{{{#ffe135 '''1'''}}}''' || [[2020년]] [[9월 4일]] || 대장정[br]''The Big Ride'' || 필 스그리치아 || 에릭 크립키 || || || '''{{{#ffe135 '''2'''}}}''' || [[2020년]] [[9월 4일]] || 적절한 준비와 계획[br]''Proper Preparation and Planning'' || 리즈 프리드랜더 || 레베카 소넨샤인 || || || '''{{{#ffe135 '''3'''}}}''' || [[2020년]] [[9월 4일]] || 천 명의 부대와 언덕 너머로[br]''Over the Hill with the Swords of a Thousand Men'' || 스티브 보이엄 || 크레이그 로젠버그 || || || '''{{{#ffe135 '''4'''}}}''' || [[2020년]] [[9월 11일]] || 세상에 그런 건 없어[br]''Nothing Like It in the World'' || 프레드 토이 || 마이클 솔츠먼 || || || '''{{{#ffe135 '''5'''}}}''' || [[2020년]] [[9월 18일]] || 이제 떠날 시간[br]''We Gotta Go Now'' || 바탄 실바 || 엘리 모나한 || || || '''{{{#ffe135 '''6'''}}}''' || [[2020년]] [[9월 25일]] || 지옥의 문이 열리다[br]''The Bloody Doors Off'' || 사라 보이드 || 앤슬렘 리처드슨 || || || '''{{{#ffe135 '''7'''}}}''' || [[2020년]] [[10월 2일]] || 다양한 사람들[br]''Butcher, Baker, Candlestick Maker'' || 스테판 슈워츠 || 크레이그 로젠버그 || || || '''{{{#ffe135 '''8'''}}}''' || [[2020년]] [[10월 9일]] || 내가 아는 것[br]''What I Know'' || 알렉스 그레이브스 || 레베카 소넨샤인 || || === 시즌 3 === ||<|2>
{{{#ffe135 '''회차'''}}} ||<|2> {{{#ffe135 '''방영일자'''}}} ||<|2> {{{#ffe135 '''부제'''}}} ||<-2> {{{#ffe135 '''제작'''}}} ||<|2> {{{#ffe135 '''비고'''}}} || || {{{#ffe135 '''감독'''}}} || {{{#ffe135 '''각본'''}}} || || '''{{{#ffe135 '''1'''}}}''' || [[2022년]] [[6월 3일]] || 페이백[br]''Payback'' || 필 스그리치아 || 크레이그 로젠버그 || || || '''{{{#ffe135 '''2'''}}}''' || [[2022년]] [[6월 3일]] || 하늘에서 군림하는 유일한 자[br]''The Only Man In The Sky'' || 필 스그리치아 || 데이비드 리드 || || || '''{{{#ffe135 '''3'''}}}''' || [[2022년]] [[6월 3일]] || 바버리 해안[br]''Barbary Coast'' || 줄리언 홈즈 || 앤슬렘 리처드슨[br]제프 올 || || || '''{{{#ffe135 '''4'''}}}''' || [[2022년]] [[6월 10일]] || 영광스러운 5개년 계획[br]''Glorious Five Year Plan'' || 줄리언 홈즈 || 메레디스 글린 || || || '''{{{#ffe135 '''5'''}}}''' || [[2022년]] [[6월 17일]] || 이 거짓으로 가득한 세계[br]''The Last Time To Look On This World Of Lies'' || 넬슨 크래그 || 엘리 모나한 || || || '''{{{#ffe135 '''6'''}}}''' || [[2022년]] [[6월 24일]] || 히어로가즘[br]''Herogasm'' || 넬슨 크래그 || 제시카 슈 || || || '''{{{#ffe135 '''7'''}}}''' || [[2022년]] [[7월 1일]] || 그대를 침대로 이끌 촛불[br]''Here Comes a Candle to Light You to Bed'' || 새라 보이드 || 폴 그렐롱 || || || '''{{{#ffe135 '''8'''}}}''' || [[2022년]] [[7월 8일]] || 희게 빛나는 절정의 순간[br]''The Instant White-Hot Wild'' || 새라 보이드 || 로건 리치[br]데이비드 리드 || || === 시즌 4 === ||<|2>
{{{#ffe135 '''회차'''}}} ||<|2> {{{#ffe135 '''방영일자'''}}} ||<|2> {{{#ffe135 '''부제'''}}} ||<-2> {{{#ffe135 '''제작'''}}} ||<|2> {{{#ffe135 '''비고'''}}} || || {{{#ffe135 '''감독'''}}} || {{{#ffe135 '''각본'''}}} || || '''{{{#ffe135 '''1'''}}}''' || || ''Department of Dirty Tricks'' || 필 스그리치아 || 데이비드 리드 || || || '''{{{#ffe135 '''2'''}}}''' || || ''Life Among the Septics'' || || 제시카 슈 || || || '''{{{#ffe135 '''3'''}}}''' || || ''We'll Keep the Red Flag Flying Here'' || || 엘리 모나한 || || || '''{{{#ffe135 '''4'''}}}''' || || || || 제프 올 || || || '''{{{#ffe135 '''5'''}}}''' || || || || 주달리나 네이라 || || || '''{{{#ffe135 '''6'''}}}''' || || || || 앤슬렘 리처드슨 || || || '''{{{#ffe135 '''7'''}}}''' || || || || 폴 그렐롱 || || || '''{{{#ffe135 '''8'''}}}''' || || ''Assassination Run'' || 에릭 크립키 || 제시카 슈[br]데이비드 리드 ||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드라마), code=the-boys, critic=77, user=7.8)]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드라마), code=the_boys_2019, tomato=93, popcorn=88)] [include(틀:평가/IMDb, code=tt1190634, user=8.7, list=IMDb Top 250 TV, rank=87)] '''압도적인 호평을 받음과 동시에 엄청난 인기를 끌고 있다.''' 미국에서도 커뮤니티를 통해 점점 입소문을 타며 유명해졌고 가장 인기 있는 드라마 1위에 등극했다.[[https://gall.dcinside.com/sphero/1878439|#]][[https://www.imdb.com/chart/tvmeter|해당 차트]] [[왓치맨]]을 연상시키는 어두운 분위기와 적절한 유머코드, 디테일한 세계관 묘사[* 대기업 보우트의 히어로 브랜드화를 트랜스루센트의 영화, 상점에 가득찬 에이트레인의 피규어과 시리얼, 아쿠아리움 전속 홍보대사인 딥, 가게에 진열된 쇼크웨이브의 신발 등을 통해 곳곳에서 지속적으로 보여준다. 그 외에도 히어로들에게 피해받은 사람들의 모임이 존재한다던가 히어로를 견제하는 정부 및 시민, 군사 산업 임원들도 내비치고 그 히어로조차 농락하는 사업가들 등 묘사가 좋은 편이다.] 그리고 엄청나게 위선적이면서 기만적인 쇼 비즈니스와 거기에 소모되는 히어로들,[* 실제로 더 보이즈 세계관에서 히어로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히어로보다 대중들에게 비춰지는 자신들의 이미지를 극도로 신경쓰는 연예인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준다.] 미국의 기독교 근본주의와 특유의 국뽕[* 이를 제일 잘 보여주는 것이 홈랜더인데, 일단 히어로네임부터가 국뽕스러운 이름이고 망토에 미국 국기를 두르고 양 어깨에는 미국의 국조 흰머리수리가 있다. 그는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미국인들의 애국심을 자극시켜서 이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타이거맘, 테러리즘, 인종차별, 미투운동 등 현재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여러 현상에 대해 다루고 있다. OTT 서비스발 영상물들이 기존의 스튜디오나 제작환경에서 다루지 못하던 소재들을 거리낌 없이 다루는 성향이 있는데, 그런 흐름을 잘 타고 있는 작품이라 볼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요소들이 거침없이 풍자를 통해서 다뤄지는데, 폭력적 수위만큼이나 그 풍자의 강도 또한 매우 강하다. 그런데 재미있는 점은 이렇게 여러 소재들을 거칠게 버무리면서도 작위적이거나 부조화스럽지 않게 느껴지고, 이것이 캐릭터들을 한층 더 입체적으로 보이게 만들어 준다는 점이다. 일례로 성소수자 히어로인 퀸 메이브는 작중 사회의 기만적인 PC주의와는 달리 실제로는 차별이 만연한 현실에서 고통받는다는 설정을 가지고 있는데, 한편으로는 또 히어로이면서 빌런인 홈랜더에게 위협받고 그와 반강제로 동조하기도 하면서 죄책감에 시달리는 상황과도 연결되면서 엄청난 설득력을 가지게 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기만적인 선전에 이용당하고 본의 아니게 악행에 동참했던 그녀가 스타라이트와 접하고, 여러 일을 겪으면서 사람들의 목숨을 여럿 구하고 자신의 행동에 대해서도 끝까지 감내하고 책임지려는 진짜 히어로다운 모습을 보여주는 등, 캐릭터의 깊이와 조형 면에서 훌륭하다고 볼 수 있다. 덕분에 특별한 주제의식 없이 단순히 히어로와 빌런이 치고박고 싸우기만 하는 전형적인 히어로물이 아닌, 현대 사회의 문제들에 대한 고찰이 들어간 깊이 있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더불어 배우들의 열연도 인상깊은데, 특히 홈랜더 역을 맡은 안토니 스타는 겉으로는 능글맞고 유쾌하면서도 실상은 애정결핍에 공허한 사이코패스 캐릭터를 완벽히 소화해 내며 극찬을 받았고, 칼 어번의 강렬한 복수귀 연기도 일품이다. 무엇보다 슈퍼히어로가 소재인 만큼 CG가 무척 중요한데, 그 퀄리티도 일개 TV 드라마라고 볼 수 없을 정도로 뛰어난 편이다. 원작 만화와 더 자세히 비교하자면, 원작은 코믹스 팬들이 실소하면서도 인정할 수밖에 없는 히어로 코믹스들이 가지고 있는 인위적이고 허상적인 세계관을 작중의 온갖 막장 히어로들의 또라이 짓과, 그보다 더 또라이같은 더 보이즈의 작전을 통해서 화끈하게 풍자하는 데 중점을 뒀다. 동시에 히어로 코믹스다운 과장되어 있으면서도 거칠고 막나가는 폭력, 고어를 한없이 밀어붙이는, 좋게 말하면 시원시원하고 나쁘게 말하면 뒤가 없는 무식한 만화라고 할 수 있다. 반면 드라마는 만화의 주제와 내용을 최대한 차용하되, 과도한 장면들을 다소 순화시키면서 캐릭터들도 좀 더 받아들이기 쉽고 입체적이고 대중적인 인물들로 각색하고, 새로운 디테일과 개연성을 부여하여 스토리와 캐릭터들과 관련된 내용들이 매우 풍부하고 흥미롭다. 특히 내용 중간중간에 넣는 패러디 장면들도 눈여겨 볼만하다. 위에서 언급한 퀸 메이브뿐만 아니라, 작중 빌런인 홈랜더도 원작의 어처구니 없을 정도로 무식하고 멍청하지만 힘만 디립다 센 [[근육뇌]] 캐릭터에서 무력, 지력 모두 극상위권인 동시에 복합적인 캐릭터성을 지닌데다 그 특유의 싸이코 기질 때문에 무섭고 소름끼치기까지 한 괴물로 재창조했다. 그 외의 대부분의 주조연 캐릭터들 또한 그 깊이가 더욱 중후해졌고, 아예 성별과 비중이 바뀐 스틸웰과 스톰 프론트나[*스포일러 두명은 모두 홈랜더의 연인으로 나오기도 했다.] 원작에는 없었던 트랜스루센트, 켄지 마사히로 등의 오리지널 캐릭터들 또한 상당히 잘 구성된 편이다. 세계관도 훨씬 정교해지고, 다루고 있는 문제들이나 풍자도 원작과는 방향성은 다르지만 역시 상당한 매운 맛을 보여준다. 미국 예외주의나 기독교 근본주의와 인종차별이라는 메이저한 소재를 다루는 탓에 얼핏보면 미국 주류 우파, 대안우파들이나 불편할 작품 같아 보이지만, [[핑크워싱]]이나 변질된 [[미투 운동]]에 대한 풍자도 강도가 굉장히 높고, 입으로만 진보적 가치를 내세우면서 실상은 오로지 돈밖에 모르는 보우트 사 소속 인물들의 행보를 통해서 미국 연예계와 문화산업계에 있는 리무진 리버럴들의 위선을 지독하리만치 비꼬는 장면들이 많다. 이를테면 보우트의 마케팅 팀은 메이브와 엘레나의 관계가 아웃팅되자, PC를 이용해 돈과 인기를 얻으려고 엘레나를 강제로 영화 촬영에 끌어들인다. 심지어 메이브는 [[레즈비언]]이 아니라 [[양성애]]자라고 엘레나가 지적하자, 레즈비언이 마케팅에 더 잘 먹히니 그걸로 가자며 무작정 밀어붙인다. 정당 싸움에 대해서도 공화당파 트럼프 지지자들을 대책없는 꼴통으로 묘사하는 한편, 민주당 측 대선 대통령/부통령 후보들도 거대 기업과 붙어먹는 위선자이자 학살자로 묘사하고 있다. 평가가 매우 좋았던 시즌 1에 이어 시즌 2도 평론가와 유저 양측에서 모두 호평받고 있다.[[https://www.npr.org/2020/09/02/908811190/the-boys-return-for-a-2nd-season-even-more-twisted-than-the-1st|#]] 다만 이런 평과는 달리 아마존 유저 평점은 거의 테러 수준으로 낮은데, 이는 실제로 유저들이 드라마 자체에 문제가 있다고 느껴서 준 평점이 아니다. 본작이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의 최고 인기 컨텐츠로 등극하자, 아마존이 이를 악용해 시즌 1과 다르게 한 번에 모든 에피소드를 내놓지 않고 매주 금요일마다 한 편씩 내놓도록 정책을 바꿨기 때문에 이를 간접적으로 비판하는 것이다. 그것도 사전에 예고도 없이 독단적으로 변경했으니 당연히 불만이 생길 수밖에 없다. 이렇게 되면 시즌당 총 8회이므로 한 달치 구독료만 내도 되었을 것을 2달치 요금을 내도록 강요한 셈이라 더더욱 약아 보이는 수법이다. 시즌3도 시작부터 호평을 받으며 스토리가 진행되었고 6-7화에서 정점에 달했지만,[* 6화 히어로가즘은 imdb 평점 9.8을 기록하면서 역대 에피소드 중 최고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정작 피날레에서 호불호가 심하게 갈리고 있다. 기존 캐릭터들의 서사를 무시하는 어처구니없는 엔딩이라는 평. 과거회상까지 삽입하면서 빌드업을 했던 블랙 느와르의 스토리는 복수의 대상인 솔저보이를 제대로 만나지도 못한 채 홈랜더에게 끔살당하면서 허망하게 끝났고, 자신의 폭력성에 대한 의문을 품던 기미코는 폭력적인 면모가 자신의 본성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였다지만 음악까지 들어가며 너무 신나게 보우트 경비들을 작살내고 있으며, 그 외에도 몇몇 캐릭터들의 감정선 문제가 지적받는 상황. 시즌을 억지로 늘리기 위해 이러한 사고가 났다는 추측이 많다. == 스핀오프 == === [[더 보이즈: 디아볼리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더 보이즈: 디아볼리컬)] === [[젠 V]]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젠 V)] == [[더 보이즈(만화)|원작]]과의 차이점 == [include(틀:스포일러)] * 원작에서는 찌질한 역할 대부분을 A-트레인이 차지하고 있으나 드라마는 딥이 그 역할을 담당한다. 오히려 원작의 딥은 더 세븐에서 유일하게 찌질한 모습이 전혀 등장하지 않는 진지한 개념인이다.[* 이는 코믹스가 나올 당시에는 아쿠아맨을 까는 밈이 많아 딥이 멀쩡한 캐릭터로 나오는것이 슈퍼히어로물을 꼬는 모양새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드라마가 나온 시점에서는 아쿠아맨의 캐릭터성이 사람들이 자신을 무시하고 싫어하는데도 모두를 위해 최선을 다하게 바뀌었고 위상도 영화 등의 영향으로 이미지가 바뀌어서 오히려 예전의 밈대로 나오는것이 꼬는 것이 되었다.] 원작에서는 A-트레인이 백인, 딥이 흑인이지만 드라마에서는 둘다 인종이 체인지 되었다 * 원작에는 [[마샨 맨헌터]]의 패러디인 잭 프럼 쥬피터(Jack from Jupiter)라는 유일한 외계인 캐릭터가 나오는데, 현실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삭제되고 대신 드라마에서는 트랜스루센트라는 캐릭터가 투입되었다. * 스톰프론트는 원작에서 남성으로 나오는 반면 드라마에서는 여자로 나온다. * 비행기 장면이 원작에서는 [[맨해튼]] [[세계무역센터/붕괴 이전|쌍둥이 빌딩]] 대신 [[브루클린 대교]]에 떨어진다. [[https://gall.dcinside.com/sphero/549864|전편]][[https://gall.dcinside.com/sphero/550041|후편]][* 이후 만화에서 종종 멀쩡히 서있는 쌍둥이 빌딩을 의미심장하게 보여주기도 한다.] 반면에 드라마에서는 테러리스트가 장악한 비행기를 홈랜더와 퀸 메이브 둘이 투입돼서 되찾으려 하는데 실패하고, 비행기는 바다에 떨어진다. 둘 다 슈퍼히어로의 활동 영역을 군대를 대신해 국방분야까지 넓히려다가 벌어지는 일이다. 차이점은 시즌 1에서는 더 세븐이 사고를 낸 걸 보우트 사가 아직은 모르는 상황이다. * 드라마에서는 작중 시점에서 대략 30년쯤 전에 보우트사가 V 약물을 풀면서 히어로들이 탄생했다는 설정이다. 반면에 원작에서는 보우트사가 2차 세계대전 때에 미군에 불량전투기를 납품하던 방산회사 였다는 언급이 나오고,[* 더 보이즈 세계관 내에서 보우트 사는 나치에 의해 만들어진 회사다. 역시 대체 역사로 볼 수 있는 부분으로, 실제 보우트 사는 2차 세계대전에서 성능이 가장 우수한 전투기 중 하나로 평가받는 [[F4U 콜세어]]를 개발한 회사다. 창립자인 Chance M. Vought도 뉴욕 출신의 미국인이다.] 말로리의 기억 속에 2차 세계대전 중에 [[솔저보이]]가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그때부터 이미 V를 만들고 있었다.[* 원작의 말로리는 2차 세계대전, 월남전 참전 용사로서, 전쟁터에 투입된 슈퍼히어로들이 잘났다고 앞장서다가 다 죽는 꼴을 보고 슈퍼히어로들이 국가안보를 넘보는 상황은 막아야겠다고 느끼고 더 보이즈 팀을 최초로 창설하게 된다.] == 기타 == * 총괄 제작자 에릭 크립키의 전 작품이 [[수퍼내추럴]]인 만큼, 그곳에서 나왔던 배우들이 많이 등장한다. 작품의 팬이라면 반가운 부분. * [[소니 픽처스]]에서 제작지원한 탓인지 등장인물 모두 [[소니]]의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1화에서 휴이가 일하는 전자기기 판매점에서 소니의 블루투스 스피커를 고객에게 권하는 장면도 등장한다. 자세히 보다보면 TV 등 거의 모든 제품의 로고에는 소니가 박혀있다. * 시즌2 6화에서 [[빌리 부처]]가 '차를 훔칠 거였으면 [[현대차]] 같은 건 안훔치지 병X아'라고 해서 커뮤니티에서 미국 내 현대차 이미지에 대한 토론이 열리기도 했다. * 작가의 말로는 배우들 중 자신의 배역과 외모가 가장 닮은 사람이 홈랜더 역의 안토니 스타라고 한다. * 아마존에서 마치 보우트 사가 만들 법한 '딥'을 테마로 한 달력을 공개해 드라마 팬들의 웃음을 자아냈다. * 빌리 부처의 이야기가 단편 영화로 나온다.[[https://collider.com/the-boys-season-2-details-eric-kripke-interview/|#]] 시점은 시즌 1과 시즌 2 사이. * [[워게이밍]]의 [[월드 오브 탱크]] 콜라보로 안티 히어로, 히어로 진영의 등장인물들을 승무원으로 내놓는 것과 동시에 [[T42]] 미국 시제 중형전차를 8티어 미국 프리미엄 중형전차로 내놓았다.[[https://worldoftanks.asia/ko/the-boys-kit/|#]] 하지만 정작 작중 안티 히어로 5인방 중 홍일점인 기미코 미야시로는 배제해서 작품성을 완전히 담아내지는 못했다.[[http://www.inven.co.kr/board/wot/3200/1111618|#]] * 엄청난 인기에 힘입어 시즌 2 방영 중 스핀오프 제작이 확정되었다. 내용상으로는 [[헝거게임]] 스타일과 컬리지 히어로물이 혼합된 형태가 될 것이라 밝혔으며 보우트 인터내셔널 산하의 학교[* 드라마에서도 잠깐 언급된 고돌킨 대학교로 추정된다.]에서 벌어지는 차세대 히어로들의 이야기로 시즌 3와 비슷한 시기에 공개하는 것을 목표로 제작될 것으로 보인다.[[https://www.thewrap.com/the-boys-spinoff-superhero-college-series-gmen-comics-xmen-parody-eric-kripke/|#]]. 제목은 The Boys Presents: Varsity이다. 또, 시즌 2 7화에서 나온 포르노 장면을 실제로도 제작한다. 2023년에 [[젠 V]]로 타이틀명으로 방영 예정이다. * 해당 작품들처럼 기존의 히어로 캐릭터를 비튼 작품들로 [[인빈시블(만화)|인빈시블]], [[주피터스 레거시]], [[엄브렐러 아카데미(드라마)|엄브렐러 아카데미]] 등이 있지만 인빈시블을 제외하곤 인기와 평가는 더 보이즈보다 못한 편이다.[* 그나마 인빈시블의 애니메이션화는 더 보이즈 드라마와 맞먹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인기도 꿇리지 않는 편.] 그 밖에 [[아마존 프라임]]에서 동일한 시기에 비슷한 주제로 나온 [[The Tick]]도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더 보이즈가 너무 뜨는 바람에 상대적으로 밀려 시즌 2를 끝으로 종영했다. * 일본에서도 본 드라마의 구성을 따온 만화인 [[이세계 전생자 킬러 -치트 슬레이어-]]가 연재되었지만 캐릭터 표절 등 여러 논란들로 인해 연재가 중단되었다.[* 이는 어찌보면 당연한 것이, 더 보이즈는 본작의 모티브가 된 마블이나 DC 코믹스 측에서도 자사의 캐릭터들로 자주 선보인 적이 있는 슈퍼히어로가 슈퍼빌런으로 타락하거나 성향이 변한다면 이라는 소재를 가져와서 만든 패러디 내지는 사회 비판물인데다 엄연히 원작도 존재하는 작품이지만, 이세계 전생 치트 슬레이어는 누가봐도 타 인기작들을 저격하려는 노골적인 헤이트물이기에 더 보이즈와는 의도가 완전히 다르다.] * 해외에서 사건 사고 직전, 직후에 영상을 딱 끊고 더 보이즈 드라마 로고와 함께 [[이매진 드래곤즈]]의 Bones를 틀어주는 게 밈이 되고있다.[* 딱 하이라이트 부분인 "아이야이야" 부분에서 영상을 끊어주는 게 포인트.] 일명 The boys meme. [[To Be Continued]], [[Coffin Dance]]와 사용례가 똑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분류:더 보이즈(드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