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word-break: keep-all" ||<-3> {{{#ffffff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 || [[파일:icon0567_f00_s0.png|width=40]] 0567 [[아케오스]] || [[파일:icon0568_f00_s0.png|width=40]] '''0568 {{{#000,#fff 깨봉이}}}'''[br][[파일:icon0569_f00_s0.png|width=40]] '''0569 {{{#000,#fff 더스트나}}}''' || [[파일:icon0570_f00_s0.png|width=40]] [[파일:icon0570_f01_s0.png|width=40]] 0570 [[조로아]] || ||<-3> {{{#ffffff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px;margin-top:-6px;margin-bottom:-16px"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5세대#하나도감 목록|{{{#ffffff 하나도감}}}]]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5세대#BW|BW]] || || [[파일:567_remastered_icon.png]] 073 [[아케오스]]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568MS.png]] '''074 {{{#000,#fff 깨봉이}}}'''[br][[파일:569스위치아이콘.png]] '''075 {{{#000,#fff 더스트나}}}'''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570MS.png]] 076 [[조로아]]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5세대#BW2|BW2]] || || [[파일:550스위치아이콘.png]] 104 [[배쓰나이]]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568MS.png]] '''105 {{{#000,#fff 깨봉이}}}'''[br][[파일:569스위치아이콘.png]] '''106 {{{#000,#fff 더스트나}}}'''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572MS.png]] 107 [[치라미]]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6세대#마운틴칼로스도감|{{{#ffffff 마운틴칼로스도감}}}]]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01MS.png]] 073 [[붐볼]]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568MS.png]] '''074 {{{#000,#fff 깨봉이}}}'''[br][[파일:569스위치아이콘.png]] '''075 {{{#000,#fff 더스트나}}}'''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220MS.png]] 076 [[꾸꾸리]]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7세대#알로라도감 목록|{{{#ffffff 알로라도감}}}]]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7세대#썬·문|SM]] || || [[파일:wlrkfmep.png]] 205 [[지가르데]]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568MS.png]] '''206 {{{#000,#fff 깨봉이}}}'''[br][[파일:569스위치아이콘.png]] '''207 {{{#000,#fff 더스트나}}}''' || [[파일:무장조 도트.png]] 208 [[무장조]]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7세대#울트라썬·울트라문|USUM]] || || [[파일:wlrkfmep.png]] 263 [[지가르데]]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568MS.png]] '''264 {{{#000,#fff 깨봉이}}}'''[br][[파일:569스위치아이콘.png]] '''265 {{{#000,#fff 더스트나}}}'''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572MS.png]] 266 [[치라미]]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8세대#가라르도감 목록|{{{#ffffff 가라르도감}}}]]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8세대#가라르도감(본토)|본토]] || || [[파일:771스위치아이콘.png]] 156 [[해무기]]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568MS.png]] '''157 {{{#000,#fff 깨봉이}}}'''[br][[파일:569스위치아이콘.png]] '''158 {{{#000,#fff 더스트나}}}'''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850MS.png]] 159 [[태우지네]] || }}}}}}}}} || }}} || '''{{{+1 {{{#white 정보 내 바로가기}}} }}}''' || || [[#앵커-일러스트|일러스트]][br][[#앵커-기본 정보|기본 정보]][br][[#앵커-특성|특성]][br][[#앵커-세부 정보|세부 정보]][br][[#앵커-유전 정보|유전 정보]][br][[#앵커-진화|진화]][br][[#앵커-거다이맥스|거다이맥스]][br][[#앵커-방어 상성|방어 상성]][br][[#앵커-종족치|종족치]][br][[#앵커-울음소리|울음소리]][br][[#앵커-도감 설명|도감 설명]][br][[#앵커-전용기|전용기]][br][[#s-2|skip]] || [목차] [clearfix] == 정보 == [anchor(앵커-일러스트)] || [[파일:568 깨봉이.png|width=100%]] || [[파일:569 더스트나.png|width=100%]] || || 깨봉이 || 더스트나 || ||<-2> [[파일:569 거다이맥스 더스트나.png|width=50%]] || ||<-2> 더스트나(거다이맥스) || [anchor(앵커-기본 정보)] ||<-3> {{{#ffffff 기본 정보}}} || || {{{#ffffff 이름}}} || {{{#ffffff 도감 번호}}} || [[포켓몬스터/타입|{{{#ffffff 타입}}}]] || || [[파일:icon0568_f00_s0.png|width=40]][br]'''깨봉이''' [br] ヤブクロン(야부쿠롱) [br] Trubbish || 전국: 0568[br]하나: 074^^BW^^ / 105^^BW2^^[br]마운틴칼로스: 074[br]알로라: 206^^SM^^ / 264^^USUM^^[br]가라르: 157^^본토^^ ||<|2> [include(틀:독타입)] || || [[파일:icon0569_f00_s0.png|width=40]][br]'''더스트나''' [br] ダストダス(다스토다스) [br] Garbodor || 전국: 0569[br]하나: 075^^BW^^ / 106^^BW2^^[br]마운틴칼로스: 075[br]알로라: 207^^SM^^ / 265^^USUM^^[br]가라르: 158^^본토^^ || [anchor(앵커-특성)] ||<-3> [[포켓몬스터/특성|{{{#ffffff 특성}}}]]{{{#ffffff ([[숨겨진 특성|{{{#ffffff 숨겨진 특성}}}]]은 *)}}} || ||<|2> (공통) || [[포켓몬스터/특성/ㅇ#악취|악취]] || 선두에 놓으면 야생 포켓몬의 조우율이 줄어들며[* 8세대부터],[br]접촉 시 10%의 확률로 상대를 풀죽게 한다. || || *[[포켓몬스터/특성/ㅇ#유폭|유폭]] || 접촉 공격에 맞아 기절하면 상대의 최대 HP의 1/4만큼 줄인다. 습기에는 무효화된다. || || 깨봉이 || [[포켓몬스터/특성/ㅈ#점착|점착]] || 도구를 빼앗기지 않는다. || || 더스트나 || [[포켓몬스터/특성/ㄱ#깨어진갑옷|깨어진갑옷]] || 물리 공격을 받으면 방어가 1랭크 하락하고 스피드가 2랭크 상승한다. || [anchor(앵커-세부 정보)] ||<-5> {{{#ffffff 세부 정보}}} || || {{{#ffffff 포켓몬}}} || {{{#ffffff 분류}}} || {{{#ffffff 신장}}} || {{{#ffffff 체중}}} || {{{#ffffff 포획률}}} || || 0568 깨봉이 || 쓰레기봉지 포켓몬 || 0.6m || 31.0kg || 190 || || 0569 더스트나 || 매립지 포켓몬 || 1.9m || 107.3kg || 60 || [anchor(앵커-유전 정보)] ||<-4> {{{#ffffff 유전 정보}}} || || 성비 || 알 그룹 || 부화 카운트 || 최대 경험치량 || || 수컷: 50% [br] 암컷: 50% || '''광물''' || 20 || 1,000,000 || [anchor(앵커-진화)] ||<-4> [[포켓몬스터/진화|{{{#ffffff 진화}}}]] || || {{{#ffffff 진화}}}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trubbish.gif]][br]0568 깨봉이 || 레벨 36[br]→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garbodor.gif]][br]0569 더스트나 || [anchor(앵커-거다이맥스)] ||<-4> [[거다이맥스|{{{#ffffff 거다이맥스}}}]] || || {{{#ffffff 거다이맥스}}}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garbodor.gif]][br]0569 더스트나 || [[파일:소실거다이.png]][br]거다이맥스[br]→ || [[파일:garbobor-gigantamax.gif]][br]더스트나 || [anchor(앵커-방어 상성)] ||<-3> {{{#ffffff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 {{{#ffffff 2배}}} || {{{#ffffff 1배}}} || {{{#ffffff 0.5배}}} || || [include(틀:땅타입)] [include(틀:에스퍼타입)] || [include(틀:강철타입)] [include(틀:고스트타입)] [include(틀:노말타입)] [include(틀:드래곤타입)] [include(틀:물타입)] [include(틀:바위타입)] [include(틀:불꽃타입)] [include(틀:비행타입)] [include(틀:악타입)] [include(틀:얼음타입)] [include(틀:전기타입)] || [include(틀:격투타입)] [include(틀:독타입)] [include(틀:벌레타입)] [include(틀:페어리타입)] [include(틀:풀타입)] || [anchor(앵커-종족치)] ||<-8> [[종족치|{{{#ffffff 종족치}}}]] || || {{{#ffffff 포켓몬}}} || {{{#ffffff HP}}} || {{{#ffffff 공격}}} || {{{#ffffff 방어}}} || {{{#ffffff 특수공격}}} || {{{#ffffff 특수방어}}} || {{{#ffffff 스피드}}} || {{{#ffffff 합계}}} || || [[파일:icon0568_f00_s0.png|width=40]][br]깨봉이 || 50 || 50 || 62 || 40 || 62 || 65 || 329 || || [[파일:icon0569_f00_s0.png|width=40]][br]더스트나 || 80 || 95 || 82 || 60 || 82 || 75 || 474 || [anchor(앵커-울음소리)] ||<-8> [[울음소리(포켓몬스터)|{{{#FFFFFF 울음소리}}}]] || ||<-2> [[파일:icon0568_f00_s0.png|width=40]][br]{{{#FFFFFF 깨봉이}}} || ||<#ffffff,#000000><-2><:>{{{#!HTML}}}|| ||<-2> [[파일:icon0569_f00_s0.png|width=40]][br]{{{#FFFFFF 더스트나}}} || ||<#ffffff,#000000><-2><:>{{{#!HTML}}}|| [anchor(앵커-도감 설명)] ||<-2> {{{#white 도감 설명[br]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더스트나#앵커-도감설명 스킵|{{{#white skip}}}]]을 눌러주세요.}}} || ||<-2> [[파일:icon0568_f00_s0.png|width=40]][br]{{{#ffffff 0568 깨봉이}}} || || 블랙 ||<|3>비위생적인 장소를 좋아한다.[br]트림하는 것처럼 내뱉는 가스를 흡입하면 1주일간 앓아눕게 된다. || || Y || || 알파사파이어 || || 화이트 ||<|3>쓰레기봉투가 산업폐기물과 화학변화를 일으키는 물질로 포켓몬이 되어 다시 태어났다. || || X || || 오메가루비 || || BW2 ||더 많은 쓰레기를 찾아 무단 투기하는 사람을 쫓아다닌다. 항상 독가스를 토해내고 있다. || || 썬 ||비위생적인 곳을 좋아한다. 알로라에서는 자주 [[질퍽이]]에게 쫓겨 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 문 ||배가 부를 때까지 쓰레기를 먹은 후 입에서 독가스를 토해낸다.[br]실수로 맡으면 즉시 입원해야 한다. || || 울트라썬 ||숨을 쉬면 독가스가 새어 나온다. 냄새를 맡고 [[질뻐기]]가 침을 흘리며 찾아온다. || || 울트라문 ||<|2>트림처럼 내뱉는 가스는 어린아이가 들이마시면 치명적일 정도로 위험하다. || || 포켓몬 GO || || 소드 ||비위생적인 장소를 좋아한다.[br]쓰레기를 어질러놓은 채 내버려두면 방에 나타나 그대로 눌러앉는다. || || 실드 ||쓰레기가 가득 담긴 쓰레기봉투에서 태어났다.[br]내뿜는 독가스는 가라르의 [[또도가스]]가 매우 좋아한다. || ||<-2> [[파일:icon0569_f00_s0.png|width=40]][br]{{{#ffffff 0569 더스트나}}} || || 블랙 ||<|3>왼팔로 상대를 조이고 입에서 내뿜는 독가스로 숨통을 끊는다. || || X || || 오메가루비 || || 화이트 ||쓰레기를 빨아들여 몸의 일부로 만든다. 왼쪽 손 끝에서 독액을 분사. || || BW2 ||<|3>쓰레기를 흡수해서 체내에서 새로운 종류의 독가스나 독의 액체를 만들어낸다. || || Y || || 알파사파이어 || || 썬 ||오른쪽 팔에서 날리는 독액에 주의. 살짝 닿기만 해도 미지의 독소가 침범한다. || || 문 ||한때 알로라에서 폭발적으로 늘었지만 [[질퍽이]]가 오고 난 뒤로 개체 수가 크게 줄었다. || || 울트라썬 ||왼쪽 팔로 적을 꼭 붙들고 독액을 온몸에 퍼부어 움직임을 막는다. || || 울트라문 ||<|2>알로라의 더스트나가 좀 더 강인한 것은 [[질뻐기]]라는 천적이 있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 || 포켓몬 GO || || 소드 ||먹은 쓰레기가 체내에서 독으로 변화한다. 먹은 쓰레기에 따라 독의 주성분도 바뀐다. || || 실드 ||오른팔에서 내보내는 독액은 약한 생물이 맞으면 즉사할 정도로 위험하다. || ||<-2> [[파일:569-gi.png]][br]{{{#ffffff 0569 더스트나^^(거다이맥스)^^}}} || || 소드 ||거다이맥스의 파워에 의해 진해진 독가스가 버려진 장난감의 형태로 굳었다. || || 실드 ||입과 손가락 끝에서 분사하는 독가스를 맞으면 뼛속까지 독에 감염된다. || ||<-2> [anchor(앵커-도감설명 스킵)] || [anchor(앵커-전용기)] || {{{#white 전용기}}} || || [[파일:소실거다이.png]] [[거다이맥스|{{{#white 거다이맥스 기술}}}]] || || [[거다이악취]] || == 소개 == 5세대에서 추가된 포켓몬. 모티브는 쓰레기봉지. 더스트나에 이르러서는 마침내 쓰레기봉지가 터져서 봉지 부분이 복면처럼 되어 있다. 설정상으로는 산업폐기물 등의 유독한 쓰레기 등이 모여서 생겨난 포켓몬이라고 한다.[* [[질뻐기]]와 거의 똑같은데, 5세대가 1세대의 오마쥬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재밌는 설정이다. 다만 질뻐기가 산업폐기물에 좀 더 가까워진 것은 7세대의 리전 폼 질뻐기이다.] 오염물질이라는 점에서 [[질뻐기]]와는 라이벌 관계일 것 같지만, 실제로는 라이벌이 아니라 질뻐기가 깨봉이와 더스트나를 잡아먹는 천적이다. 알로라지방에서 넘치는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질뻐기를 수입해 들여왔더니 깨봉이와 더스트나의 개체수가 확 줄어버렸다고. 야생에서도 나오는데, 높은 확률(50%)로 검은 진흙을 가지고 있다. DP에서 얻기 힘들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상당히 얻기 쉬워진 느낌. 그 밖에 금구슬(5%)이나 큰금구슬(PGL)도 가지고 있다. 쓰레기로 만들어졌다는 설정 때문인지 부정형일 것 같은 생김새 답지 않게 알 그룹이 '''광물'''이다. 따라서 동류라 여겨지는 [[또도가스]], [[질뻐기]], [[꿀꺽몬]](부정형)과는 교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살짝 애매.[* 하지만 설정을 생각해 보면 납득할 수 있긴 하다. 질뻐기나 또도가스 등은 오염물질이나 독가스 등이 모여서 탄생한 것이지만, 더스트나는 깡통 등의 생활쓰레기가 주성분이기에 광물로 취급되는 것. 그래도 교배 그룹은 최대 두 개까지 가능하기에 부정형도 같이 껴줘도 될 텐데 아쉽다.] 일칭인 야부크론은 "破く袋" 이 뜻의 의미는 "봉지를 찢다" 라는 뜻이고 다스토다스는 "ダスト出す", 그러니까 "먼지/쓰레기를 버리다" 라는 뜻이 됨과 동시에 "[[재는 재로, 먼지는 먼지로|Ashes to ashes, dust to dust]]"라는 어구의 dust to dust 부분의 말장난. 진화하기 전의 깨봉이가 베스트 위시즈에서 나왔는데 꽤나 귀엽다. 성우는 나옹과 동일. 거기에 언급된 바로는 트레이너와 친밀해지면 냄새가 나지 않게 된다고 한다. [[한지우|지우]]의 질뻐기 등에게서도 확인된 걸로 보아 냄새나는 독 타입 전원이 그런 듯 하다. 한편 더스트나는 정작 게임의 체육관전에선 안 쓰긴 했지만 어쨌든 [[보미카]]의 애니판 히든카드로 활약했다. 쓰레기 같은 외모이기 때문에 당연하지만 디자인에서 안 좋은 평이 꽤 많은 편이다. 모티브인 쓰레기봉지와 야생에서 출몰지역이 [[란쿨루스|유니란]]과 가깝다는 점이 맞물려서 괴담의 소재가 되었다. 자세한 것은 [[포켓몬스터 BW 낙태아 괴담]] 참조. 실루엣으로 볼 때 [[토토로]]와 닮아보이기에 '''더러운 [[토토로]]'''라는 별명이 있다. == 포획 == BW와 BW2 공통으로 5번/16번도로에서 깨봉이를 잡을 수 있다. 야생에선 매우 낮은 확률로 맹독구슬을 갖고 있게 되었다. 도둑질로 감사히 뺏어주자. XY에서는 황폐해진 호텔의 쓰레기통에서 깨봉이가, 포켓몬마을의 쓰레기통에서 더스트나가 나온다. ORAS에서는 그란돈/가이오가 사태 해결 후 도감 서치로 110번도로에서 포획 가능하다. 썬문/울트라썬문 공통으로 말리에시티 외곽에서 깨봉이를 잡을 수 있다. 8세대에서 역린호수랑 터검니호동쪽에서 출몰하는데, 특이하게도 터검니호동쪽에 나오는 더스트나는 플레이어를 보면 바로 덤벼들지만 역린호수에서는 플레이어에게 접근은 하지만 쳐다만 보고 바로 돌아서버린다. 깨봉이의 경우 3번 도로에 출몰한다. == 대전 == 독 타입 5위에 해당하는 공격을 제외한 모든 종족치가 중급이라 종족치 자체만 보면 [[질뻐기]]의 하위호환격이라고도 볼 수 있다. 그나마 질뻐기보다 나은 게 스피드인데, 이것도 어정쩡한 편. 물리 자속기는 [[독찌르기]]를 배울 수 없어 울며 겨자먹기로 [[더스트슈트(포켓몬스터)|더스트슈트]]를 강요받는다. 서브 웨폰은 [[락블레스트]], [[보복(포켓몬스터)|보복]], [[드레인펀치]], [[씨폭탄]], [[대폭발(포켓몬스터)|대폭발]], [[분함의발구르기]] 등으로 5세대 첫 등장때는 정말 처참했으나, 이제는 타점이 어느정도 된다. 이중에서 대폭발은 약점을 생각 안할 경우 [[울트라대시어택]]으로 최대 위력을 낼 수 있다. [[내던지기]]도 배워서 전기구슬+유폭+[[락블레스트]] 조합이 되긴 하는데 도구 문제도 있고해서 실제로 쓰긴 어렵다. 희한한 사실은 특공을 보조할 방법이 전무함에도 불구하고 특수 기술폭은 정말 훌륭한 이상한 포켓몬. 사실 독타입 자체가 의외로 기술폭이 상당히 넓은 편이다. 자속은 특공 독 타입 최강기인 [[오물웨이브]]을 시작으로, [[오물폭탄]], [[트림]], [[애시드봄]], [[클리어스모그]] 등 독 타입 특수기는 거의 다 배운다고 보면 된다. 서브 웨폰도 출중해서 [[기합구슬]], [[사이코키네시스]]도 모자라서 [[악의파동]], [[10만볼트]]에 [[솔라빔]]도 배운다. 그런데 정작 '''[[불대문자]]는 못 배워서''' [[핫삼]]이나 [[쏘콘]] 상대로 질러보는 것조차 안 된다. 이게 [[질뻐기]]한테 밀리는 제일 큰 부분이다. 그래도 유전기로 [[저주(포켓몬스터)|저주]]를 배운 뒤 [[보복(포켓몬스터)|보복]]과의 연계로 천적인 에스퍼 타입을 관광보낼 수도 있고, [[록커트]], [[바디퍼지]]를 습득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해서 사용하면 성격보정에 노력치를 풀로 준 130족은 물론이요 스카프 단 110족도 추월할 수 있다. 내구형으로 가도 [[비축하기]]를 통해 내구를 뻥튀기 시킬 수도 있고 여차하면 [[꿀꺽]]을 통해 회복 혹은 [[대폭발(포켓몬스터)|대폭발]]로 동귀어진 할 수 있다는 점은 꽤 매력적이다. [[맹독(포켓몬스터)|맹독]], [[아픔나누기]]도 배우니 기본 깔짝 전술도 일단은 쓸 수 있다. 특성 깨어진갑옷의 경우 스카프가 아니라도 상대가 격투 타입이면 교체해서 대신 맞는걸로 노력치와 성격보정 일체 없이 최속 137쪽까지 커트 가능. 질뻐기 등의 라이벌과 차별화하자면 이게 제일이다. 다만, 파르셀이나 메가캥카 등에겐 즉사 할 수 있으니 주의. 악취는 록커트 형태의 경우 락블레스트와의 시너지를 생각할 수 있으나, 록커트를 할 때까지 기다려줄 상대가 없는데다가 비자속이라 위력도 형편없어 이론상으로만 쓸만하다. 유폭은 이 녀석의 공격이 약간 어정쩡하기 때문에 그걸 메워준다는 기분으로 채용할 수 있지만, 제일 많이 맞고 죽을 기술이 비접촉기의 대표주자인 지진이라 미묘. 대부분이 비접촉인 Z기술의 존재도 이 특성의 평가를 떨어트린다. 그리고 까칠한피부와 마찬가지로 마지막 1:1 상황에서 서로 죽으면 상대의 승리 판정이다. 이 녀석이 안 쓰이는 이유는 하위호환 문제보다 어설픈 스탯과 환경 문제가 크다. 결정력은 풀보정 더스트슈트를 써도 3만이 채 안 된다. 이 정도 결정력이 나쁜 건 아니지만, 문제는 약점 찌를 자속이 독이라 잡아먹을 포켓몬이 그닥 없다. [[따라큐]]는 그럭저럭 상대가 가능하지만, 카푸 시리즈는 그냥 다른 자속으로 패면 죽으니까 답이 없다. 내구 또한 이 정도 내구로는 7세대 고속 어태커들에게 버틸 수가 없다. 더스트나의 극 카운터인 고속 에스퍼 특수 어태커는 많지는 않지만, 그 많지 않은 게 하필 [[카푸나비나]]. === 8세대 === 질뻐기가 잘렸기 때문에 하위호환 걱정은 이제 하지 않아도 되고, 기술머신으로 [[크로스포이즌]]을 배울 수 있어 더 이상 불안정한 더스트슈트에 의존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그 외에 바뀐 것은 없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입지가 나아지지는 않았다. ==== [[거다이맥스]] ==== [include(틀:포켓몬스터/거다이맥스)] 유출된 8세대 포켓몬 공략집에서 거다이맥스 폼이 [[https://knowyourmeme.com/photos/1625457-pokemon-sword-and-shield|나왔다.]] 5세대부터 쭉 이어져온 홀대에서 구제하기 위해 준 것으로 보인다. 현재 거다이맥스가 가능한 포켓몬 중 유일한 5세대 포켓몬이자 전설/환상을 제외하면 1세대랑 8세대 외의 포켓몬이다. 전반적인 외형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지만 다리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쓰레기의 산을 이루고 있으며 몸에는 여러 버려진 물건들과 쓰레기들이 덕지덕지 붙어있다.[*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만 해도 장난감 비행기, 미니카, 장난감 기차, 장난감 배, 빌딩 모양 블럭, 대타출동 인형, 삐삐인형, 잉어킹 뼈, 심지어는 '''그 귀하다는 마스터볼까지 있다.'''] 독 타입 전용기인 '''[[거다이악취]]'''는 단일 타겟팅 기술이지만, 모든 상대에게 독 상태이상을 거는 부가효과가 붙어 있다. 더스트나를 물리형으로 굴린다면 다이애시드의 특공 랭업이 쓸모없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이쪽이 더 낫다. 아쉬운 점은 맹독이 아니라 일반 독을 건다는 점과 독 타입 다이맥스 기술이라서 다이애시드처럼 위력이 칼질되었다는 점. 100%의 확률로 독을 거는 물리형 오물폭탄[* 실제로 크로스포이즌 기반 85, 더스트슈트 기반 95로 위력도 비슷하다.]이라고 생각하면 나쁜 것은 아니지만 3턴 동안만 쓸 수 있는 기술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여전히 뭔가 부족하다. 거다이맥스 더스트나는 [[올리브(포켓몬스터)|올리브]]의 에이스 포켓몬이다. === 9세대 === [[파일:9세대 DLC 유출.png]] 5세대부터 개근했던 포켓몬이지만, 본편에는 BW 이래 처음으로 등장하지 못했다. 다만 공식 대회에서 발생한 스프라이트 유출로 향후 DLC로의 재등장이 점쳐지고 있다[* 바닐리치나 화석 포켓몬 등의 스프라이트도 같이 유출됐다.]. 알로라 질뻐기가 돌아온 것이 관건. == 다른 매체에서 == === 애니메이션 === [[포켓몬스터 베스트위시]]에서 [[보미카]]가 사용했다. 3 VS 6이라는 변칙 시합을 해서 지우에게 졌으나, 사실상 보미카의 판정승. [[포켓몬스터 썬&문(애니메이션)|썬&문 애니]]에서는 스컬단 멤버인 지프의 포켓몬으로 등장한다. 68화에서는 이 더스트나의 손가락에 독고름이 가득 들어차서 고생하는 에피소드가 나왔다. 애니판에 의하면 독을 발사하는 포켓몬은 가끔 독샘에 고름 등이 들어차서 부어오른다고 한다. [[포켓몬스터W]]에서 올리브의 부하 직원이 거다이맥스 더스트나를 사용하며, 53화에서 [[포켓몬 헌터]]들 중 한명이 더스트나와 진화 전인 깨봉이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온다.[* 두 포켓몬 다 주인이 같은 것인지, 아니면 주인이 서로 다른 것인지는 불명.] === [[포켓몬스터 TCG]] === 어째 이쪽 방면에선 흉악한 카드로 발매될 때가 많다. ==== XY9 ==== || '''한글판 명칭''' ||<-4>'''더스트나'''||<|9>[[파일:external/assets.pokemon.com/XY9_EN_57.png]]|| || '''영어판 명칭''' ||<-4>'''Garbodor'''|| || '''일어판 명칭''' ||<-4>'''ダストダス'''|| || '''수록 블록, 팩''' ||<-4>XY9 [[천공의 분노]]|| || '''카드의 종류''' ||<-4>1진화 포켓몬|| || '''HP''' ||<-2> '''타입''' ||<-2> '''레어도''' || || 100 ||<-2> 초 ||<-2> R || || '''약점''' ||<-2> '''저항력''' ||<-2> '''후퇴비용''' || || 초 ||<-2> ||<-2> 3 || || '''분류''' || '''이름''' || '''코스트''' ||<-2> '''데미지''' || '''효과''' || || 특성 || 더스트옥신 ||<-2> || ||이 포켓몬에게 「포켓몬의 도구」가 붙어있다면, 서로의 필드, 패, 트래시의[br]카드에 써있는 특성(「더스트옥신」은 제외)은 모두 없어진다.|| || 기술 || 역겨운봄 ||<-2> 초무무무 || 60 ||상대의 배틀 포켓몬을 '''독'''과 '''혼란'''으로 만든다.|| BW5탄에 나왔던 더스트나가 재록되었다. 기술이 바뀌긴 했지만, 애초에 기술 쓰려고 사용하는 포케가 아니므로 큰 차이는 없다. 일반적으로 가장 상성이 좋은 가벼운돌과 함께 채용한다. 조건을 충족시킴과 동시에 플라드리로 끌려나갔을 때 기절하지 않았다면 쉽게 벤치로 귀환할 수 있다. 빠르게 세운다면 [[개굴닌자]], [[동탁군]] 등 특성빨 덱의 하드카운터로 작용한다. 이러한 덱을 상대하는 경우 상대방의 최우선 제거 대상이 된다. 요즘 덱 중 특성에 의존하지 않는 덱은 찾아보기 어렵고, [[쉐이미EX]]와 [[카푸나비나]]GX 등 서포트 카드도 기본적으로 특성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단 더스트옥신 발동만 하면 밥값은 한다. 물론 '''이쪽도 특성이 막힌다'''는 건 유의해야 한다. 이쪽이 특성을 잘 쓰는 덱이라면 도리어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다는 건 꼭 유의할 것. 띄우기가 상당히 귀찮은 편인데, 차라리 HP가 90이었다면 레벨볼로 전부 서치가 되거나 깨봉이의 후퇴에 필요한 에너지가 3개였으면 헤비볼로 전부 서치가 되었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레벨볼, 헤비볼, 하이퍼볼 셋 중 둘을 택해서 쓰는 편. 당시에도 덱의 다양성을 확 줄여버린다거나, 너무 상성빨 게임으로 몰고간다던가 하는 불평들이 있던 포켓몬인지라 재록에 대해 회의적인 플레이어들도 많다. 특성을 막는 카드들은 마자용, 사일런트랩 등이 이미 있는데 굳이 이 카드마저 낼 필요가 있었나 싶긴 하다. ==== SM2 ==== || '''한글판 명칭''' ||<-4>'''더스트나'''||<|9> [[파일:더스트나sm2l.jpg]] || || '''영어판 명칭''' ||<-4>'''Garbodor'''|| || '''일어판 명칭''' ||<-4>'''ダストダス'''|| || '''수록 블록, 팩''' ||<-4>SM2L 알로라의 달빛|| || '''카드의 종류''' ||<-4>1진화 포켓몬|| ||<-2> '''HP''' ||<-2> '''타입''' || '''레어도''' || ||<-2> 120 ||<-2> 초 || U || ||<-2> '''약점''' ||<-2> '''저항력''' || '''후퇴비용''' || ||<-2> 초 ||<-2> 없음 || 3 || || '''분류''' || '''이름''' || '''코스트''' || '''데미지''' ||<-2> '''효과''' || || 기술 || 쓰레기사태 || 초 || 20x ||<-2>상대의 트래쉬에 있는 아이템의 매수 x20데미지를 준다.|| || 기술 || [[애시드봄]] || 초무무 || 70 ||<-2>동전을 1번 던져 앞면이라면 상대 배틀 포켓몬에게 붙어 있는 에너지를 1장 선택해서 트래쉬한다.|| 1기술 쓰레기사태가 이 카드의 존재 의의. 기대 딜이 엄청나서 발비 대 효율이 극강이다. 현재 메타는 고속 전개가 기본이므로, 당연히 1턴에 사용 가능 제한이 없는 아이템 사용량이 매우 많다. 대략 덱의 1/3~1/4 정도가 아이템일 정도. 당연히 아이템을 대량으로 소모하는 환경이기 때문에 1~2턴만에 트래쉬에 아이템이 왕창 쌓이게 된다. 상대 트래쉬에 아이템이 5장만 있어도 1발비 100에, 10장이 있으면 무려 1발비 200이라는 미친 딜을 뿜어낸다. 게다가 이런 화력을 뽑기 위해서는 자신이 노력하지 않아도 되고 상대가 열심히 전개를 하면 되기 때문에 효율도 높다. 트래쉬에 아이템이 산처럼 쌓이는 게임 후반부에는 초 에너지 1장으로 뭐든지 다 거의 한 방으로 쓸어버릴 수 있다. 이런 미친 기술 덕분에 현 환경에선 당연히 최상급 1티어. 주로 [[카푸나비나]]GX와 조합되어 굴려지며, 위의 더스트옥신 더스트나가 1장 정도 낑겨서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 대체로 체력이 90~100 사이인 전투형+비 GX 1진화 포켓몬이면서도 체력이 120으로 높은 편인 것도 보너스. 물론 잘 버틴다는 건 아니고, 1진화 치고 높다는 거라서 생존력은 별로 기대하지 않는 것이 좋다. 후퇴비용 3은 약점이다. 헤비볼 서치가 가능하다는 건 좋긴 한데, 초 타입 중 헤비볼에 걸리는 놈이 거의 없어서 헤비볼을 채용할 여지가 없고, 미스터리 에너지를 달아도 무상 후퇴가 불가능하다. 그 외에 초 약점도 좀 거슬리는 요소. == [[포켓몬 GO]] == 5세대 업데이트 후 깨봉이가 야생에서 어느 정도 나타나는 편이다. 더스트나의 경우 4성 레이드에 등장한 적이 있다. 또한 12km 알에서 부화하는 포켓몬 중 하나인데, 야생에서도 비교적 많이 보이는 편인데다가 배틀에서 쓰일 일도 크게 없다 보니, 그야말로 12km 알의 핵폭탄 지뢰 취급을 받는다. 여담으로 리전 폼 포켓몬을 제외하면 최초로 도감 설명에 타 지방에서의 생활이 직접적으로 언급된 포켓몬이다. 즉 알로라 지방 출신의 포켓몬이 나오기도 전에 설명이 기록된 것. 2020년 12월 1일 업데이트 이후 깨봉이를 야생에서 포획하면 별의 모래를 '''750'''개 받는다. 날씨 부스트까지 받으면 레이드를 도는 것 못지않은 양의 별의모래를 수급할 수 있다.[* 본가 야생의 깨봉이가 5%로 실크스카프를 들고 나오기도 하는데, 그걸 반영했거나 아니면 쓰레기 수거 보상을 구현한 것으로 보인다.] 스폰률도 나쁘지 않은 데다가 이벤트로도 종종 출현하기도 하니 맵에서 만나면 아주 반가워지는 포켓몬. 생각보다 멀리 있는 포켓몬이기 때문에 몬스터볼을 멀리 던져야 맞는다. == 관련 문서 == * [[대우가 안 좋은 포켓몬]] [[분류:5세대 포켓몬]][[분류:독타입 포켓몬]][[분류:거다이맥스가 가능한 포켓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