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덕수 이씨]] [include(틀:한국의 성씨)] ||<-2> '''{{{#FFFFFF [[조선|{{{#FFFFFF 조선}}}]] [[양반|{{{#FFFFFF 6대 국반}}}]]}}}''' {{{#!wiki style="margin: -15px -10px" || {{{#!wiki style="margin: -0px -5px" [[파일:덕수 이씨 종문.png |width=55&align=left]]}}} '''{{{#FFFFFF {{{+1 德水 李氏[br]덕수 이씨}}}}}}''' ||}}} || || '''{{{#FFFFFF 관향}}}''' ||[[개성시]] 덕수리[* [[대한민국]] [[이북 5도]] 행정구역상 [[경기도]] 개풍군 중면 덕수리] || || '''{{{#FFFFFF 시조}}}''' ||이돈수(李敦守) || ||<|2> '''{{{#FFFFFF 집성촌}}}''' ||[[충청북도]] [[괴산군]][br][[충청남도]] [[서천군]][br]충청남도 [[아산시]][br] 충청남도 [[당진시]][br][[경기도]] [[성남시]][br]경기도 [[양평군]][br]경기도 [[용인시]][br][[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용산리|| ||[[황해도]] [[신천군]][br][[평안남도]] [[용강군]] 금곡면 담부리 || || '''{{{#FFFFFF 인구}}}''' ||58,513명^^(2015년)^^ || || '''{{{#FFFFFF 링크}}}''' ||[[http://www.deoksoolee.or.kr/|덕수이씨대종회]] || [목차] [clearfix] == 개요 == [[개성시]] 덕수리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는 고려 때 중랑장 벼슬을 지낸 이돈수(李敦守)로 전해져 있다. 2015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덕수 이씨는 총 58,513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 분파 == 여러 분파가 있지만 그중 가장 유명한 파가 13세손 '''[[율곡 이이]]'''를 파조로 하는 문성공파(文成公派), 12세손 '''[[충무공 이순신]]'''을 파조로 하는 충무공파(忠武公派)이다.[* 거기다 [[신사임당|50000원도 덕수 이씨의 부인이었으니 참으로 화폐에 올라갈 만한 위인들을 많이 배출한 가문이라고 하겠다.]]] 문성공파의 경우 특이한 점으로 이이의 적자가 아닌 서자가 계승하였다. 이이에겐 적자가 없어서 임금인 [[선조(조선)|선조]]의 명으로 이이의 서손이 봉사손으로 지명되어 그 족보가 후대에 이어진 형태다. 조선 중기 이후의 사대부 집안에서는 적자가 없을 경우 서자가 있어도 따로 양자를 둬서 가문을 계승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이 집안의 사례가 특이한 편이다. [* 다만 이는 [[주자가례]]에 따른 것으로, 주자가 주자가례를 집필한 송대의 풍습상 가문의 계승 우선순위는 적자가 없을 경우 서자가, 서자도 없을 때 비로소 양자를 들이는 것이었기 때문에 이이의 가문도 주자가례의 규정에 충실하게 서자가 가문을 계승한 것 뿐이다. 오히려 조선 중기 이후에 양반들이 '천출이 가문을 계승하는 것'을 기피하는 풍조가 생겼기 때문에, 주자가례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서자를 건너뛰고 양자를 들여 가문을 잇게 한 것이다.] 충무공파의 경우 이순신의 영향으로 임진왜란 이후 조선의 유명한 무신 집안으로 자리잡았다. 무과 급제자만 267명이고, 역대 [[삼도수군통제사]] 중 13명이 덕수 이씨이다. 종가는 아산 [[현충사]] 인근의 이순신 고택이다. 충무공파와는 달리 문성공파의 경우 남한에는 그 수가 상당히 적은 편이다. 율곡 이이의 본가가 [[황해도]] [[해주시]] 인근에 있었다가 남북 분단 당시 월남한 후손들만이 남한에 있기 때문이다. 문성공파의 종가도 고택이 아닌 경기도 고양시의 평범한 아파트에 자리를 잡은 형편이다. 덕수이씨는 [[조선]]조에서 문과 급제자 105명, 상신 7명, 대제학 5명, 공신 4명, 청백리 2명을 배출하였는데 상신[* 영의정/좌의정/우의정] 7명과 대제학 4명은 연헌공파(蓮軒公派)[* [[이행]]과 [[이기(조선)|이기]]의 아버지인 이의무(李宜茂)가 파조이다. 연헌공파 안에 문정공파와 문혜공파가 있다.]가 배출하였고, 대제학 1명은 문성공파(文成公派)[* 이의무(李宜茂)의 둘째형인 이의석(李宜碩)의 후손인 율곡 선생이 파조.]의 [[율곡 이이]]가 역임하였다. == 지폐 등장 == 충무공 [[이순신]] 장군(100원), 율곡 [[이이]] 선생(5000원), 그리고 이이 선생의 어머니인 [[신사임당]](5만원)으로 한국 [[화폐]]의 삽화 모델의 과반을 덕수 이씨 가문이 차지하고 있는 수준이다. 이 이야기는 실제로 가문에서도 농담처럼 회자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5/29/2009052901296.html|#]] 더군다나 [[한국은행 총재]]도 종중의 [[이주열]]이 2014년부터 2022년 까지 8년간 재임했고, 후임으로 2022년 3월 23일 취임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또한 덕수 이씨이다. == 인물 == * '''이돈수''': [[덕수 이씨]]의 시조 * '''[[이이(조선)|율곡 이이]]''': 조선 중기의 유학자이자 정치가로 [[오천원권 지폐]]에 그려진 인물이다. * '''[[충무공 이순신]]''':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임진왜란 때 조선 수군을 통솔했으며 100원 주화에 그려진 인물이다. * [[이광(조선)|이광]]: 조선시대의 문신 * [[이규갑]] * [[이기영(소설가)|이기영]]: [[월북]] 소설가. 1954년부터 1961년까지 연재됐던 [[대하소설]] 「[[두만강]]」으로 [[노벨문학상]] 후보. [[김정일]]의 동거녀이자 [[김정남(북한)|김정남]]의 친모 [[성혜림]]이 바로 [[이기영(소설가)|이기영]]이 북에서 둔 3남 1녀 중 장남인 리평(李平)의 전처였다 * [[이길영(정치인)|이길영]] * [[이민우(1905)|이민우]] (전)국회의원 * [[이종환(방송인)|이종환]]: 충무공파 후손으로 대한민국의 前 방송인 * [[이홍렬]]: 1954년생의 코미디언 * [[이재수(군인)|이재수]]: 문혜공파 후손. [[대한민국]]의 [[군인]]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남동생]]인 [[박지만]]의 동기이다. 前 기무사령관을 역임했다. * [[이미숙(1960)|이미숙]]: 충무공파 후손. 대한민국의 여배우. * [[이본]]: 대한민국의 탤런트, 가수, MC * [[이봉상]]:이순신의 5대손, 조선 후기의 무신, 제94대 [[삼도수군통제사]], [[이인좌의 난]]때 반란군에게 피살. * [[이범석(1967)]] : (현) 청주시장 * [[이은주(배우)|이은주]][[http://www.skyedaily.com/news/news_view.html?ID=59560|#]]: 대한민국의 배우 * [[이용우(1964)]] * [[이종남(1919)]] (전)국회의원 * [[이재준(1960)]] (전) 고양시장 * [[이종남(관료)]] (전)법무부장관, (전)검찰총장, (전)감사원장 * [[이주열]]: 前 [[한국은행]] 총재 및 [[금융통화위원회]] 의장 * [[이상아]]: 충무공파후손.대한민국 여배우 (80-90년대 하이틴스타) * [[이영렬]]: 노무현대통령비서실 사정비서관,서울남부지방검찰청 검사장.제58대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장.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관련 대검찰청 특별수사본부장을 맡았다. * [[이승현(아나운서)|이승현]]: (현)[[KBS]] [[아나운서]], [[서울대학교]] 화학과.[* [[2023년]] [[10월 22일]] 이슈픽 쌤과 함께에서 광화문 월대편에서 광화문광장에 이순신상이 언급될 때 이순신이 자신이 할아버지라고, 덕수 이씨라고 했다.] * 이세영(1869~1938), 이종옥, 이응렬: 충무공의 12대, 13대, 14대손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3대에 걸쳐 [[독립운동가]]로 투신하였다.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421&aid=0002218451|#]] * [[이진훈]] * [[이창용]] : 경제학자. 옥산공파 후손. (현)[[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및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국장, 제27대 [[한국은행]] 총재 * [[이행]] : [[중종(조선)|중종]] 때의 대제학·좌의정. 중종 때 권력을 잡은 영의정 [[남곤]], 우의정 [[심정]]과는 평생의 벗이자 정치파트너[* 이의무(李宜茂)의 3남.] * [[이기(조선)|이기]] : [[명종(조선)|명종]] 때의 영의정. 親[[문정왕후]] 인물[* 이의무(李宜茂)의 차남. 즉 이행과는 형제지간이다.] * [[이식(조선)|이식]] : [[인조]] 때의 대제학. 조선 중기 문장 4대가 월상계택(月象谿澤)으로 꼽혔다. 시호는 문정(文靖)[* [[이행]]의 4대손이자 문정공파(文靖公派)의 파조.] * 이단하(李端夏) : [[숙종(조선)|숙종]] 때의 대제학·좌의정. 시호는 문충(文忠)[* [[이식(조선)|이식]]의 3남.] * 이여(李畬) : 숙종 때의 대제학·영의정. [[송시열]](宋時烈)의 문하생, [[노론]][* [[이식(조선)|이식]]의 차남인 이신하(李紳夏)의 차남. 즉 이단하(李端夏)의 조카이다.] * 이안눌(李安訥) : [[이기(조선)|이기]]의 장증손. 문혜공파(文惠公派)의 파조. * 이집(李㙫) : [[영조]] 때의 좌의정[* 이안눌(李安訥)의 장증손, 문혜공파(文惠公派) 4세][* 외손자가 [[서명선]]이다.] * 이은(李溵) : 영조 때의 좌의정. 시호는 충목[* 이집(李㙫)의 장손, 문혜공파 6세] * 이병모(李秉模)[* 이단하(李端夏)의 4대손.] : [[정조(조선)|정조]] 후반 ~ [[순조]] 초반의 영의정. 사실상 최후의 [[소론]]의 영수. 정조가 즉위한 후 준론 [[탕평책]]을 실시함에 따라 노론 [[시파]]인 [[김조순]], [[남공철]], [[심상규]], 이상황, 서매수 등과 협치하였고 [[김귀주]], [[심환지]] 등의 [[벽파]]와 대립하였다.[* 애초에 혼맥적으로 이병모의 어머니가 남공철의 큰아버지인 남유상(南有常)의 딸이고, 이병모의 외손녀사위가 심상규의 장남인 심정우(沈正愚)이다.] 이병모를 마지막으로 이름있는 소론 대신은 더 이상 나오지 않았고, "정치세력"으로서의 소론도 종언을 고하면서 약 19~20개의 세도가문들[* 덕수이씨도 포함되어 있음]이 순조의 처가인 [[신 안동 김씨]]를 지지하는 세력 vs 순조의 사돈인 [[풍양 조씨]]를 지지하는 세력으로 나뉜다. [[세도정치]] 항목에도 있지만 이 20개의 명벌가문이 고위직을 모두 독식하게 되는 사회로 흘러가게 된다. * 이재현(李載弦) : 문성공파 후손, 27대 (현)트라닉스 == 둘러보기 == [include(틀:이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