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덕수궁)]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19c22, #e3ba62 20%, #e3ba62 80%, #c19c22)" {{{#683235,#683235 '''덕수궁 석조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대한제국 황궁의 정전)] ---- ||<-5> [[파일:정부상징.svg|width=30&height=30]]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ffffff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 || 79호 ||<|2> ← || '''--80호--''' ||<|2> → || --81호-- || || [[경의선]] [[장단역]] 죽음의 다리 || --'''덕수궁 석조전 동관[*A 2008년 6월 23일 지위 박탈, 사적 124호로 통합.]'''-- || --덕수궁 석조전 서관[*A]-- || }}} ||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24호 덕수궁}}}]]''' || ||<-3> {{{#683235 {{{+1 '''덕수궁 석조전'''}}}[br]{{{-1 德壽宮 石造殿}}}}}}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eoksugung_ihwamun.jpg|width=60%]]}}}|| ||<-3><:>{{{#683235 {{{-1 '''석조전 내실 이화문'''}}}}}}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덕수궁 석조전, 너비=100%, 높이=100%)]}}} || ||<-2> {{{#683235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세종대로]] 99 ([[중구(서울특별시)/행정#s-4|정동]] 5-1) || ||<-2> {{{#683235 '''수량 / 면적 '''}}} || 1동 2층, 바닥면적 1,290㎡, 연면적 3,403㎡ || ||<-2> {{{#683235 '''공사기간'''}}} || [[1900년]] ~ [[1910년]] || ||<-2> {{{#683235 '''건립 발의자'''}}} || 존 맥리비 브라운(J. M. Brown) || ||<-2> {{{#683235 '''설계자'''}}} || 존 레지날드 하딩(J. R. Harding) / {{{-1 (외부) }}}[br]로벨(Lovell) / {{{-1 (내부) }}} || ||<-2> {{{#683235 '''시공사'''}}} || 오쿠라도보쿠구미(大倉土木組)[*B 일본 타이세이 건설의 전신.] / {{{-1 (건물 구조체)}}}[br]크리탈 회사(Crittall & Co. / {{{-1 (내부 인테리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조전 전경.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덕수궁_석조전_야경.jpg|width=100%]]}}} || ||<#e3ba62> {{{#683235 '''석조전 및 야경 사진[* 윗 사진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EC%84%9D%EC%A1%B0%EC%A0%84#/media/%ED%8C%8C%EC%9D%BC:Seokjojeon.jpg|위키백과 석조전 문서.]][br]아랫 사진 출처 - [[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6415665&ccbaKdcd=13&ccbaAsno=0124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fdrxoEk6Cs)]}}} || ||<#e3ba62> {{{#683235 '''문화유산채널에서 제작한 석조전 영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석조전(石造殿)은 [[덕수궁]]의 전각으로, 대한제국 말기에 건립된 [[신고전주의]] 양식의 [[궁전]]이다. [[덕수궁 중화전|중화전]]의 서북쪽, [[덕수궁 준명당|준명당]]의 서쪽에 위치한다. [[1897년]](광무 원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경술국치]] 직후인 [[1910년]]에 완공되었으니 [[대한제국]]과 역사를 함께 했다고 할 수 있다. [[근대]]에 지은 [[덕수궁]]에는 서양식 건물인 양관(洋館)이 여러 채 도입되었는데, 그 가운데서도 [[대한제국]]의 근대화를 상징하고 황제국으로서의 위용을 보여주기 위해 지은 서양식 궁전이 석조전이다. 동양의 전통 궁궐에서는 정전, 편전, 침전의 기능이 각각 구분되어 있던 것에 비해, 석조전은 서양의 주거 양식을 도입하여 그러한 기능을 하나의 궁전 내부로 통합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 이름 == '석조(石造)'는 '[[암석|돌]][石]로 만들었으므로[造]' 붙은 이름으로, 전통적인 궁궐이 목조에 기초한 것에 대비되는 이름이다. 사실 석조전은 정식으로 부여된 전각의 명칭이 아니다. '[[경복궁 근정전]]'과 같이 전각의 이름을 지을 때는 철학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석조전은 정전이나 침전의 일부가 아니며 위에 언급했듯 그 자체로 하나의 황궁이기 때문에 굳이 전각의 이름을 부여할 필요가 없었다. 건축 당시에는 '석조궁전(石造宮殿)', '석궁(石宮)', '석조전당(石造殿堂)' 등 다양하게 불렸으며, '석조전(石造殿)'은 나중에 이러한 통칭을 정리해 붙인 것이다.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content_id=cp071002070001|링크]]. 그동안 [[나무]]를 주요 건축 자재로 썼던 [[한국인]]들에게 [[서양]]처럼 [[건물]] 전체를 돌로 지었다는 것이 아마 굉장한 [[컬처쇼크|문화 충격]]으로 다가왔을 것이다. 그래서 '석조'는 한국이 서양식 건물을 짓는 사회가 된, 즉, 근대 사회로 접어들게 되었음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는 이름이라고 할 수 있다.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석조전(石造殿)|링크]]. 단, 2009년부터 진행한 복원 공사 도중 붉은색 벽돌을 쌓은 뒤 석재로 외관을 포장하여 건축했음을 확인했다. 즉, 이름처럼 완전히 돌로만 지은 건물은 아니라는 것이다. 대식당에 가면 불투명 유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역사 == === 건립 단계 === [[대한제국]] 재정고문이던 [[영국인]] 총세무사 존 맥리비 브라운(J. M. Brown)이 건립을 발의했다. 처음에는 [[경희궁]]에 지으려 했으나 브라운 권유로 [[경운궁]]에 세웠다.[* [[경희궁]]은 [[고종(대한제국)|고종]]이 머물던 [[경운궁]]과 운교로 연결될 정도로 가깝고, 다섯 건물을 제외한 나머지 부지가 비어있어서 그곳에 지으려고 했던 것 같다.] [[고종(대한제국)|고종]]이 [[주한러시아공사관|러시아공사관]]에서 [[경운궁]](덕수궁의 예전 이름)으로 환궁[* 還宮. [[궁]]으로 돌아가다.]한지 한 달 채 못지난 1897년([[건양]] 2년) 3월에 브라운이 [[통역사|통역관]]과 함께 경운궁 안 [[지형]]을 측량했다는 〈[[독립신문]]〉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326212&cid=62142&categoryId=62340|기사]]를 보아 이미 그 때부터 [[양식|서양식]] [[궁전]] 건설을 기획한 듯 하다. [[공사]] 진행은 크게 세 단계로 나뉘었다. 1897년([[건양]] 2년) ~ 1901년([[광무]] 5년)에 설계 및 기초공사를, 고종의 즉위 40주년이 되는 1903년(광무 7년) ~ 1906년(광무 10년)에 구조공사, 마지막으로 1907년(광무 11년) ~ 1909년([[융희]] 3년)에 내부공사를 했다. 1903년부터 [[러일전쟁]]의 전운이 감돌기 시작했다. 대한제국을 먹이로 둔 러시아와 일본 간의 전쟁이었다. 그 긴박한 시기에 고종은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자신의 즉위 40주년을 성대하게 기념하기 위해 경운궁 내에 석조전을 건축하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조전 모형.png|width=100%]]}}} || || {{{#683235 '''하딩이 제작한 모형. 중앙 계단 등을 빼고는 현재와 유사하다.'''}}} || 설계는 [[영국인]] 건축기사 존 레지날드 하딩(J. R. Harding)이 맡았다. 하딩은 석조 건물이 낯선 [[한국인]]들에게 공사에 앞서 [[나무]]로 1/10 정도 크기의 [[모형]]을 만들어 보여주었다. 1900년 5월 26일자 [[미국]] [[잡지]] 《아메리칸 아키텍처 앤드 빌딩 뉴스(American Architecture and Building News)》에서 저 모형을 실었다. 기초공사는 1900년([[광무]] 4년)부터 시작했다. [[한국인]] 건축기사 심의석[* 沈宜錫. 1854 ~ 1924. [[탑골공원]] 팔각정, [[원구단]], 광화문 기념비전 등을 지은 도편수로 이외에도 [[배재학당]] 강당을 비롯하여 [[독립문]], [[손탁호텔]] 등의 서구식 건축 공사에도 참여했다. [[정동]] [[토박이]]였기에 [[서양인]]과 접촉할 기회가 많아서 일찍이 [[서양]] [[건축]]에 눈 뜬 듯 하다.]이 참여한 가운데, [[일본인]] 오가와 요키치(小川 陽吉) 기사를 초빙하여 1901년에 마무리했다. 자재는 [[창의문]] 근처 돌산에서 나는 [[화강암]]을 활용했다. 1902년([[광무]] 6년)에서 1903년(광무 7년)에는 [[공사]]를 멈췄다. 오다 쇼고(小田 省吾)가 지은 《덕수궁사》에는 그 이유로 정변(政變)을 꼽았는데, 정확히 무슨 일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시기상 그해에 일어난 [[유길준]] 쿠데타 모의 사건일 수도 있다.] 이후 1903년에 공사를 다시 시작했다. 이 때 [[건축]] 주도권이 브라운에서 [[일본인]] 재정고문 메가타 타네타로(目賀田 種大郞)[* [[화폐정리사업]]을 주도한 그 사람 맞다.]에게 넘어갔고 공사도 [[일본]] 오쿠라도보쿠구미(大倉土木組)[*B]에서 맡았다. 이시이 슈헤이(石井周平)를 [[감독]]으로 하고 두 일본인 기사를 두고 공사를 진행했으며 1905년(광무 9년)부터는 [[영국인]] 헨리 윌리엄 데이비슨(Henry William Davidson)이 합류하여 함께 작업했다. 내부 공사는 2년이 걸렸다. 설계는 [[영국인]] 로벨(Lovell)이 맡았다. 배관 및 [[난방]] 시설 설치는 [[영국]]의 크리털 회사(Critall & Co.)에서 담당했고, 내부 [[장식]]과 [[가구]] 등은 역시 같은 영국의 메이플 회사(Messers Maple & Co.)에서 맡았다. === 일제강점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완공 직후 석조전.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중화전과 완공 직후 석조전.png|width=100%]]}}} || ||<-2> {{{#683235 '''완공 직후 모습'''}}} || 1909년([[융희]] 3년)에 드디어 완공했고 1910년 12월 1일에 공식적으로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051201/8252539/1|낙성]]했다. 그런데 약 3달 전인 1910년 8월 29일에 '''[[경술국치|나라가 망했다.]]''' 그래서 처음 계획처럼 [[황궁]]으로 쓰지 못했다. 이태왕으로 강등당한 [[고종(대한제국)|고종]]은 석조전을 공들여 지어놓고서는 막상 완공 후에는 불편하다며 거주하지 않았다. 단지 귀빈 접대 및 만찬을 행하는 정도로 사용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918년 석조전 로비에서 황실가족.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조전 앞 황실가족 및 일본관료.png|width=100%]]}}} || || {{{#683235 '''1918년 석조전 로비에 모인 황실 가족.[br]왼쪽부터 의민태자(영친왕), 순종, 고종, 순정효황후, 덕혜옹주'''}}} || {{{#683235 '''1918년 촬영한 사진. 가운데 모자 벗은 사람이 고종, 왼쪽이 의민태자(영친왕), 오른쪽이 순종, 순종 옆이 의친왕'''}}} || 침실로 사용한 것은 이왕세자로 전락한 [[영친왕]]이었다. [[일본]]에 볼모로 끌려간 그는 간간이 조선에 올 때마다 여기서 지냈다. 1922년에는 아내 [[이방자]]와 [[돌잔치|돌]]도 채 안된 [[아기]]였던 장남 [[이진(1921)|이진]]과 함께 와서 머물렀는데 [[일본]]으로 돌아가기 전날 이진이 갑자기 [[구토]]를 하고 [[열]]이 오른 끝에 이곳에서 [[요절|세상을 떠났다.]][* 이남주([[흥선대원군]]의 형 [[흥완군]]의 현손녀) 전 [[성심여자대학교]] 교수는 2014년 최봉림 한국사진문화연구소 소장과 한 인터뷰에서 [[이방자]]와 (국립현대미술관으로 변한) 석조전에 [[파블로 피카소|피카소]] 그림을 보러갔는데, 이방자가 아주 담담하게 "저기 저 방에서 [[이진(1921)|진]]이 죽었어"란 말을 했다고 회고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왕가미술관.png|width=100%]]}}} || || {{{#683235 '''이왕가미술관으로 쓰이던 석조전'''}}} || 1919년 [[고종(대한제국)|고종]]이 [[죽음|승하]]한 후 1933년에 [[일본 제국|일제]]가 [[덕수궁]]을 [[공원|공원화]]하여 일반인에게 개방하면서 '이왕가미술관(李王家美術館)'으로 사용했다.[* 그 후 [[영친왕|의민태자(영친왕)]] 부부가 [[조선]]에 올 때는 [[창덕궁 대조전]]에서 머물렀다. [[일제강점기]]에 이들이 마지막으로 조선을 방문한 것은 1939년이며, 이후 다시 [[대한민국]]으로 돌아온 것은 저로부터 24년이 지난 1963년이었다.] 그러면서 건물 내부와 앞 뜰도 많이 바꾸었다. [[미술관]]이 된 뒤 [[일본]] [[근대]] 미술품만 전시했는데 그 이유가 가관이다. 처음에는 조선 작품도 같이 전시하려 했으나 일본 미술가들이 "조선인의 작품을 한 공간에 같이 전시할 수 없다"며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nbmoh&logNo=221473850326|반발]]했기 때문이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덕수궁관.jpg|width=100%]]}}} || || {{{#683235 '''새 이왕가미술관 건물. 이후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 || 1936년에는 서남쪽에 새로운 이왕가미술관을 지어 1938년에 완공한 뒤 개관했다. 석조전은 근대일본미술진열관이라 했고 신관은 조선고대미술진열관이라 하여 조선 미술품을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content_id=cp071002070001|전시]]했다. 이것이 이후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으로, 흔히 석조전 서관으로 부른다. === 광복 이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미소공동위원회 석조전.png|width=100%]]}}} || || {{{#683235 '''미소공동위원회 개최 당시 중화전에서 바라 본 석조전.[br]가운데에 태극기가 있고 왼쪽에 성조기, 오른쪽에 소련 국기가 걸려있다.'''}}} || [[8.15 광복]] 직후인 1945년 12월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임시정부]] 대환영 기념 잔치가 열렸고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45122000209202005&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45-12-20&officeId=00020&pageNo=2&printNo=6839&publishType=00020|#]] 1946년 3월에는 [[한반도]]의 [[운명]]을 결정지을 그 유명한 [[미소공동위원회]]를 개최하면서[[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4603210020920100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46-03-21&officeId=00020&pageNo=1&printNo=6929&publishType=00020|#]] 민간에 비공개되었다. 1947년 10월 미소공동위원회 결렬 이후, [[덕수궁]]을 일반에 다시 개방했으나 석조전은 여전히 출입금지 구역이었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47102500329202004&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47-10-25&officeId=00032&pageNo=2&printNo=327&publishType=0002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N한국위원단 석조전.png|width=100%]]}}} || || {{{#683235 '''석조전에서 회의하는 UN한국위원단'''}}} || 이후에도 [[UN]]한국위원단에서 여러 번 회의장으로 사용했으며[[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48011300329201002&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48-01-13&officeId=00032&pageNo=1&printNo=393&publishType=00020|#]][[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4803090020920100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48-03-09&officeId=00020&pageNo=1&printNo=7533&publishType=00020|#]]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는 새 [[외교부|외무부]] 청사 후보로 오르기도 했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48082000329202006&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48-08-20&officeId=00032&pageNo=2&printNo=582&publishType=00020|#]] 1950년에 일어난 [[6.25 전쟁]]으로 [[건물]] 대부분이 파괴를 입어 1954년 5월에 [[보수]]했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4051900329202019&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4-05-19&officeId=00032&pageNo=2&printNo=2521&publishType=00020|#]] 1955년부터 1972년까지는 [[국립중앙박물관|국립 박물관]]으로, 1973년부터 1986년까지는 [[국립현대미술관]]으로, 그리고 1987년부터 2004년까지는 궁중유물전시관으로 사용했다. [[문화재청]]에서 2004년 2월 6일 '덕수궁 석조전 동관'이란 이름으로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1호 ~ 제100호#s-9|등록문화재 제80호]]로 지정했다. 그러나 덕수궁을 이미 사적 제124호로 관리하고 있어서 영역이 겹친다는 이유로 2008년 6월 23일 자로 지정 해제했다. 2005년 궁중유물전시관을 [[국립고궁박물관]]으로 개편한 뒤 [[경복궁]]으로 옮기면서 석조전은 비었다.[* 2004년과 2005년 사이 텀이 있는데, 2004년 11월 '조선 왕실 역사 박물관 추진단'을 발족하여 [[박물관]] 설치를 준비했으며, 다음해인 2005년 3월 '[[국립고궁박물관]]'으로 이름을 바꾼 뒤 그 해 8월에 개관하는 과정이 있었기 때문이다.[[https://ko.wikipedia.org/wiki/국립고궁박물관|#]]] 이에 근대미술관으로 활용할 지 아니면 원래 [[황궁]]으로 [[복원]]할 지를 놓고 [[전문가]]들 사이에서 [[논쟁]]이 벌어졌다. 결국 복원하기로 하여 2009년부터 [[공사]]를 개시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uRA630Iq9k)]}}} || || {{{#683235 '''석조전 내부 복원 완료 내용을 다룬 2014년 10월 7일 자 YTN 뉴스'''}}} || 2014년 10월 7일에 복원 공사를 끝냈고 같은 해 10월 13일 '대한제국역사관(大韓帝國歷史館)'으로 개관하여 오늘에 이른다. == 관람 == ||
<#e3ba62> {{{#683235 '''관람장소'''}}} ||<#e3ba62> {{{#683235 '''관람시간'''}}} ||<#e3ba62> {{{#683235 '''관람방법'''}}} ||<#e3ba62> {{{#683235 '''요금'''}}} ||<#e3ba62> {{{#683235 '''휴관일'''}}} || || 1, 2층 전시실 || 09:30 ~ 17:30 || 인터넷사전예약제 (제한관람, 해설사 동반) ||<|2> 무료 ||<|2> 매주 월요일 || || 지층 전시실 || 09:30 ~ 17:30 (입장마감 17:00) || 자유관람 || 외부와 지층은 덕수궁 입장료만 내면 얼마든지 관람이 가능하다. 단 1, 2층의 내부를 관람하려면 [[http://www.deoksugung.go.kr/schedule/list?scheduleid=SB|덕수궁 홈페이지]]에서 [[예약]]한 뒤에 해설자의 인솔 하에 단체로 들어가 보는 것만 가능하다. 현장 예약은 65세 이상 [[어르신]] 및 [[외국인]]만 해당한다. 자세한 내용은 [[http://www.deoksugung.go.kr/c/schedule/info/SB|덕수궁 홈페이지]]에 접속하거나 02-751-0753 번호(석조전 안내데스크)로 문의하면 된다. == 구조 == 지층, 1층, 2층으로 나누었다. 정면 54.2m, 측면 31m, 높이 17.5m이며 연면적 약 4,122㎡(약 1,226평)의 규모이다. === 외부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news.images.itv.com/img.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oneonta.edu/parthenon.jpg|width=100%]]}}} || ||<-2> {{{#683235 '''신고전주의 양식. 왼쪽은''' }}} [[버킹엄 궁전|{{{#683235 '''영국 버킹엄 궁전'''}}}]],[br]{{{#683235 '''오른쪽은 신고전주의 건축에 많은 영감을 준 그리스'''}}} [[파르테논 신전|{{{#683235 '''파르테논 신전''''}}}]]{{{#683235 '''이다.'''}}} || 전체적으로 [[19세기]] [[영국]]에서 유행하던 [[신고전주의]] [[양식]]이다. 쉽게 말해서 [[그리스]], [[로마]] [[신전]]을 생각하면 좋다. 완벽한 좌, 우 [[대칭]]을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조전 정면 계단.png|width=100%]]}}} || || {{{#683235 '''정면 계단'''}}} || 가운데에 [[지층]]만한 높이의 [[계단]]이 있고 양 옆에는 큰 좌대를 놓았다. 계단은 맨 밑에 반쯤 땅에 묻힌 단까지 합쳐 총 18단이다. 계단 위에는 [[현관]]이 있으며 좌, 우로 [[방]]과 [[베란다]]를 둔 모습이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조전 이오니아 양식.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조전 측면 현관.png|width=100%]]}}} || || {{{#683235 '''이오니아 양식인 기둥머리'''}}} || {{{#683235 '''동측 현관과 현관의 열주'''}}}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조전 열주.png|width=100%]]}}} || ||<-2> {{{#683235 '''정면 현관과 현관의 열주'''}}} || 모든 기둥머리는 양 끝이 아래로 회오리 치는 [[이오니아]] [[양식]](Ionic order)이다. 건물 정면과 좌, 우면 가운데 앞에 시원하게 뻗은 [[기둥]]을 세우고 위에 지붕을 받친 모습으로 [[현관]]을 구성했다. 이런 현관을 포티코(portico)라고 한다. 포티코는 기둥 숫자에 따라 더 자세하게 나뉘는데, 정면 현관처럼 기둥이 6개인 경우를 헥사스타일(Hexastyle), 측면 현관처럼 4개인 건 트리스타일(tristyle)이라 한다. 석조전 포티코에 세운 [[기둥]]은 줄지어섰다(列)하여 열주(列柱)라고 하는데, 열주는 둥글지만 좌, 우 회랑의 기둥은 네모나게 각진 모습이라 차이가 있다.[[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석조전(石造殿)|#]]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조전 현관 기둥.png|width=100%]]}}} || || {{{#683235 '''현관 1층의 기둥'''}}} || 현관 1층의 가장자리 바깥 기둥은 둥글다. 기둥의 3/4는 바깥으로 나와있지만 1/4는 벽 속에 있다. 가장자리 안쪽 기둥은 반대로 1/4가 나와있고 3/4가 벽 속에 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조전 출입문.png|width=100%]]}}} || || {{{#683235 '''출입문. 왼쪽은 서쪽, 가운데는 중앙, 오른쪽은 동쪽이다.'''}}} || 출입문은 중앙 [[현관]]에 하나, 그리고 동, 서에 각각 1개씩 총 3개가 있다. [[문]] 위엔 삼각형 모양 박공을 조각해 두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조전 1층 베란다 창문.png|width=100%]]}}} || || {{{#683235 '''1층 베란다 창문과 창의 윗부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조전 2층 베란다 창문.png|width=100%]]}}} || || {{{#683235 '''2층 베란다 창문과 창의 윗부분'''}}} || 1층 베란다 [[창문]]은 위, 아래로 긴 모습이다. 창틀은 십(十)자로 만들었고 위에 삼각형 모양 박공을 단 뒤, 그 아래 양쪽에 돌 받침대를 놓았다. 창틀 상부는 아치형으로 만들고, 하부엔 두 직선 틀을 가운데 두고 양 옆에 작은 원형 틀을 각각 5개씩 둔 뒤 그 위에 대각선과 직선으로 무늬를 넣어 마치 [[부채]]처럼 보이게 했다. 2층 베란다 창문은 1층과 거의 같다. 그러나 창틀 위에 박공이 없고 단지 가로로 긴 석재 부재를 달았으며, 창문 윗부분이 깔끔한 사각형으로 되어있는 것이 다르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조전 처마도리 프리즈 코니스.png|width=100%]]}}} || || {{{#683235 '''기둥머리 위부터 순서대로 처마도리, 프리즈, 코니스 순이다.'''}}} || 기둥머리 위로 처마도리(architrove), 프리즈(frieze), 코니스(cornice)를 얹었다. 코니스와 프리즈가 만나는 부분에 있는 네모난 부분은 마치 [[치아]]처럼 생겨서 덴틸스(dentils)라고 부른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조전 박공.png|width=100%]]}}} || || {{{#683235 '''페디먼트'''}}} || 코니스 위, 지붕 부분은 가운데 [[현관]]과 나머지 부분이 다르다. 중앙 현관 코니스 위에는 삼각형 모양 박공인 페디먼트(pediment)를 두었다. 본래 그리스 건축 양식의 페디먼트는 [[아르테미스 신전]] 항목 복원도에서 볼 수 있듯 건물 전체의 [[지붕]]으로 설치하는 게 대부분이었지만 신고전주의 양식에 와서는 건물 폭에 다 맞추지 않고 건물 중간 부분에만 돌출시키는 부분 장식 형태로 변했는데, 석조전 역시 건물 폭이 워낙 넓기 때문에 중앙 현관을 돌출 시킨 뒤 그 위에만 설치하였다.[[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석조전(石造殿)|#]] 페디먼트에는 [[대한제국/황사|대한제국 황실]] [[문장]]인 [[이화문|오얏꽃]]과 그 주변을 두르고 있는 오얏꽃 잎을 장식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조전 피니얼1.png|width=100%]]}}} || || {{{#683235 '''피니얼[* [[https://www.youtube.com/watch?v=FbgSEXUcU4o|사진 출처 - TBS 〈대한제국의 상징 "덕수궁 석조전"〉.]]]'''}}} || 현관부를 제외한 나머지 코니스 위에는 중간 부위가 [[호리병]]처럼 생긴 [[난간]]을 두르고 일정한 간격으로 좌대를 세운 뒤 그 위에 세로로 [[무늬]]를 낸 [[항아리]] 모양 [[장식]]을 올렸다. 이런 장식을 피니얼(finial)이라고 한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조전 러스티케이션.png|width=100%]]}}} || || {{{#683235 '''기반부에서 보이는 러스티케이션 양식'''}}} || 기반층과 [[건물]] 뒷면 [[암석|돌]] 표면을 굵고 거칠게 처리하여 재질감을 뚜렷하게 나타내었다. 이런 방식을 러스티케이션(Rustication)이라 한다.[[http://blog.daum.net/gijuzzang/3768726|#]]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조전 회랑.png|width=100%]]}}} || || {{{#683235 '''베란다. 왼쪽은 1층, 오른쪽은 2층이다.'''}}} || 뒷면을 제외하고는 동, 서, 남쪽으로 [[베란다]]가 있다. [[유럽]]에서는 찾아보기 힘드나 [[아시아|아시아권]]에 지어진 [[양식|서양식]] [[건축]]에서는 흔히 볼 수 있다. [[동남아시아]]에 [[식민지]]를 갖고 있던 [[영국]]과 [[프랑스]]가 덥고 습한 [[날씨]]에 적응하기 위해서 [[바람]]이 잘 통하는 베란다를 건축 양식에 접목시킨 것이었다. 사실 [[한국]] 날씨는 동남아시아와 다르나 하딩이 아시아권에서 널리 쓰이던 양식대로 설계한 것이다.[[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석조전(石造殿)|#]] --다만 한국도 여름 한정으론 필요하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조전 난간.png|width=100%]]}}} || || {{{#683235 '''난간. 왼쪽이 1층, 오른쪽이 2층의 난간이다.'''}}} || 2층과 1층 [[기둥]] 사이마다 가운데가 [[호리병]] 형태로 된 [[난간]]을 둘렀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조전 지층.png|width=100%]]}}} || || {{{#683235 '''지층 회랑'''}}} || 지층 주변을 기단부 기둥으로 둘러쌓았다. 지층도 베란다처럼 뒷면을 제외한 동, 서, 남쪽에 있다. 지층의 출입문은 가운데 가장자리 2칸과 동, 서 양쪽 끄트머리에 각각 1칸 씩 위치해있다. 지층의 창문은 별다른 장식이나 구조물이 없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조전 복도각.png|width=100%]]}}} || || {{{#683235 '''국립현대미술관과 이어지는 복도'''}}} || 1층 서쪽 가운데 칸 앞으로 [[난간]]을 둔 [[암석|석조]] [[복도|복도각]]이 있다. 이 복도각으로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과 통한다. 초창기에는 없었고, 1938년에 세운 것이다. === [[덕수궁 석조전/내부|내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덕수궁 석조전/내부)] == 여담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1_xnnmphnC.png|width=100%]]}}} || || {{{#683235 '''2020년 덕수궁 석조전 우표'''}}} || 2020년 대한민국 우표의 도안 중 하나로 쓰이기도 했다. * 석조전 건립에 든 돈은 약 300만 원으로, 현대 가치로 '''약 2500억 원'''이었다고 한다. * [[일제강점기]]였던 1925년 5월에 [[도둑]]이 들어 [[비단]] 10여필을 훔쳐갔다. [[고종(대한제국)|고종]]의 유물이었다고 하며 당시 돈으로 500원 어치[* 대략 5천만원 정도.]였다고 한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25052600239202024&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5-05-26&officeId=00023&pageNo=2&printNo=1720&publishType=00020|#]] 약 한 달 후 창덕궁경찰서[* 대한제국 황실(당시 이왕가)에 관한 경찰 업무를 담당하던 곳. 광복 이후에도 한동안 존속하다 1949년에 폐지되었고 경무대경찰서로 바뀌었다.]에서 범인을 잡았는데 알고보니 모 남작의 사위 윤형구로, [[모르핀]][* 당시에는 모루히네라고 불렀다.]에 중독되어 범행을 저지른 것이었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25062500239102014&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5-06-25&officeId=00023&pageNo=2&printNo=1750&publishType=00010|#]] 이후에도 공범자들을 색출하여 잡았는데 수괴는 중국인 왕림탄이며 궁전의 용품을 훔쳐서 비싸게 팔려던 목적이었다고 한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25070800239202016&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5-07-08&officeId=00023&pageNo=2&printNo=1763&publishType=00020|#]] * 2019년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가 꼽은 '궁궐과 [[조선왕릉]]의 봄꽃 명소 6선' 중 하나다.[* 나머지는 [[경복궁 교태전]] 일곽, [[창경궁 옥천교]] 일대, [[덕수궁 대한문]]과 [[창덕궁 성정각]]이며 [[왕릉(무덤)|능]], [[園|원]], [[묘지|묘]] 중에서는 [[융건릉]]과 [[덕혜옹주]] [[묘지|묘]]([[홍유릉]] 구역) 산책로를 꼽았다.][[http://www.fnnews.com/news/20190312093632941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e4eabd2ad773ef5f72f169a6f86d26fe4c263ce4cb6d25586e135771658e5486.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북대 본관.jpg|width=100%]]}}} || || {{{#683235 '''경희대학교/서울캠퍼스 본관'''}}} || {{{#683235 '''경북대학교/대구캠퍼스 본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성서캠의본관.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doopedia.co.kr/800_125464711487312.jpg|width=100%]]}}} || || {{{#683235 '''계명대학교/성서캠퍼스 본관'''}}} || {{{#683235 '''광주동신고등학교 본관'''}}} || 국내에 비슷한 [[신고전주의]] [[양식]] 건물들이 몇 채 있다. 석조전을 [[모티브]]로 한 건물들도 있지만, [[백악관]] 등 다른 건물들을 [[오마주]]하여 지은 것도 있다. 공교롭게 대부분 [[학교]] 건물들인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예로 [[경희대학교/서울캠퍼스#s-2.2|경희대학교 본관]]과 [[한양대학교]] 구본관[* 이후 역사관]을 비롯하여 [[경북대학교/대구캠퍼스]] 본관[[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61107/81214512/1|#]]과 [[계명대학교]] 본관 및 [[광주동신고등학교]] 본관을 들 수 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조전 AR.png|width=100%]]}}} || || {{{#683235 '''AR[*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200324010014967|사진 출처 - 〈아시아투데이〉.]]]'''}}} || 2020년 3월 [[SK텔레콤]]이 덕수궁관리소와 함께 덕수궁을 3차원 입체 표현한 [[어플]] 'AR(증강현실) 덕수궁'을 시범운영한다고 24일 밝혔다. 그 중 '''석조전'''과 [[덕수궁 대한문]], [[덕수궁 중화전|중화전]]과 [[덕수궁 석어당|석어당]] 등 네 곳을, AR로 재현한 [[판다]] · [[고양이]] · [[웰시코기]] 등과 인증샷을 찍을 수 있게 만든 AR 포토존으로 지정했다. 자세한 내용은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200324010014967|기사]] 참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조전 음악회.png|width=100%]]}}} || || {{{#683235 '''2016년 석조전 음악회[* [[https://news.v.daum.net/v/20170117094005889|사진 출처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 2015년부터 매년 3월부터 11월까지 마지막 주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마다 중앙홀에서 음악회가 열린다. 시간은 오후 7시부터 8시까지이다. 무료이지만 반드시 [[예약]]을 해야 한다. 자세한 것은 [[http://www.deoksugung.go.kr/c/schedule/info/SD|덕수궁 홈페이지]]나 02-751-0740로 전화하면 된다. * 《[[조선중앙일보]]》 1933년 12월 15일자 기사에 따르면 당시 [[주한영국공사관|영국총영사관]]에서 이왕직[* 李王職.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에서 [[이왕가]](구 [[대한제국 황실]])의 의전 및 관련 사무 담당을 위해 설치한 기구.]에 '석조전 2층에서 자신들의 공사관이 내려다보인다'며 항의했다고 한다. 그 무렵 [[일본 제국|일제]]가 [[덕수궁]]을 공원으로 개방하여 일반인들이 자연스레 석조전에 들어갈 수 있었는데, 석조전 뒤편과 영국총영사관은 바로 마주보는 위치였기 때문에 일반인들에게 자신들의 외교공관이 노출되는 것에 불만을 가진 것이다. 그래서였는지는 몰라도 [[주한영국대사관]](구 영국총영사관)과 덕수궁 사이에는 나무가 대량으로 심어져있어 덕수궁에서 영국대사관을 바로보기 힘들다.[[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content_id=cp071001760001|#]] * [[일본]]과 [[중국]]에도 각각 [[아카사카 이궁]]과 [[위만황궁]]이라는 서양식 궁전이 있다. *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궁전목적으로 지었으나 궁전로 활용되지 못한 궁전이다. == 대중매체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명성황후 석조전.png|width=100%]]}}} || || {{{#683235 '''〈명성황후〉에서 등장한 석조전'''}}} || [[KBS 2TV|KBS2]] [[드라마]] 〈[[명성황후(드라마)|명성황후]]〉에서는 81 ~ 124회 오프닝 후반부 장면[* 주인공 [[명성황후]] 역의 [[이미연(배우)|이미연]]이 하차하고 대신 [[최명길(배우)|최명길]]이 캐스팅되면서 오프닝 역시 바뀌었다.]에 나오고 본편에서는 123회에 딱 한 번 등장한다. [[고종(대한제국)|고종]]([[이진우(배우)|이진우]] 분)이 [[주한러시아공사관|러시아공사관]]에서 [[경운궁]]으로 돌아온 뒤, [[대한제국]]을 선포했다는 [[내레이션]]이 깔릴 때 [[배경]]으로 나온다. 그런데 석조전을 준공한 해는 1910년이기에 저 장면은 [[창작물의 반영 오류|재현 오류]]이다. 단, [[근대]] [[국가]]로 국체(國體)가 바뀌었다는 것을 [[시청자]]들에게 쉽게 각인시키기 위한 극적 허용으로 볼 수도 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덕혜옹주 석조전 포스터.png|width=100%]]}}} || || {{{#683235 '''석조전 로비에서 촬영한 〈덕혜옹주〉 포스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덕혜옹주 석조전 로비.png|width=100%]]}}} || || {{{#683235 '''석조전 로비를 재현한 세트장에서 촬영한 영화 속 장면'''}}} || [[영화]] 〈[[덕혜옹주(영화)|덕혜옹주]]〉 [[포스터]] [[배경]]이었다. 극에서는 딱 한 번만 나온다. 바로 [[:파일:1918년 석조전 로비에서 황실가족.png|위에 나온 사진]]을 찍는 모습을 재현한 장면이다. [[포스터]]는 석조전에서 찍었지만 [[영화]]에 나온 [[장면]]은 남양주종합촬영소에 재현한 세트장에서 촬영했다. 제작진들이 여러 해에 걸쳐 [[고증]]한 끝에 실제와 상당히 비슷하게 재현하여 고증작업에 도움을 준 [[문화재청]] [[학예사]]들마저 놀랐다는 후문이다.[[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1600&key=20160804.22023190359|#]]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0gQp4fhk1E)]}}}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5_kpzqUErA)]}}} || || {{{#683235 '''〈차이나는 클라스〉 34회 예고편'''}}} || {{{#683235 '''〈차이나는 클라스〉 152회에 나온 석조전'''}}} || [[JTBC]]에서 방송한 〈[[차이나는 클라스]]〉 34회(강연자: [[유홍준]])[* 2017년 11월 1일 방송.]와 152회(강연자: 임석재[* [[이화여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교수]].])[* 2020년 4월 8일 방송.]에 등장했다. 차이가 있다면 34회에서는 역사적 관점에서, 152회에서는 건축적 관점에서 다루었다는 것.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zmSe5s93IY)]}}} || || {{{#683235 '''석조전 입구에서 촬영한 〈기쁜 우리 젊은 날〉의 한 장면'''}}} || 영화 〈[[기쁜 우리 젊은 날]]〉에서 [[안성기]]가 [[황신혜]]보고 나와달라고 해서 둘이 만난 장소로 나왔다. 1980년대의 석조전과 주변부의 모습을 볼 수 있다. * [[대체역사물|대체역사소설]] 《[[대통령 각하 만세]]》에서는 대통령 집무실로 쓰이며, 석조전이란 단어가 [[청와대]]와 같은 의미로 쓰인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주한영국공사관, version=6)] [[분류:덕수궁]][[분류:근대건축물]][[분류:1910년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