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덴마크 국왕)]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b0022 0%, #d00c33 30%, #d00c33 70%, #ab0022);" [[파일:덴마크 왕실 대형 문장.svg|width=40]][br] '''{{{+1 {{{#fff 덴마크 국왕}}}}}} [br] {{{#fff Dronning af Danmark}}}[br] {{{#fff Queen of Denmark}}}'''}}}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ronning_margrethe_2020_medium.jpg|width=100%]]}}} || || {{{#fff '''현직'''}}} || '''[[마르그레테 2세|마르그레테 알렉산드리네 토릴두르 잉리드]]''' || || {{{#fff '''즉위일'''}}} || '''[[1972년]] [[1월 14일]]''' || || {{{#fff '''지위'''}}} || '''[[덴마크|덴마크 왕국의]] [[국가원수]]''' || || {{{#fff '''관저'''}}} || '''[[코펜하겐]] [[아말리엔보르 궁전]]''' || [목차] [clearfix] == 개요 == 덴마크 국왕은 [[덴마크 왕국]]의 국가원수다. 936년 즉위한 것으로 추정되는 역사적으로 실재가 확인되는 가장 오래전 덴마크 국왕인 [[고름 가믈리]] 왕부터 현재 재위 중인 [[마르그레테 2세]] 여왕까지 1000년 넘게 왕위를 계승해 온 덴마크 왕가는 21세기 현대까지 남아있는 [[군주국]]의 왕가들 중에서는 [[일본 황실]]에 이어 2번째로 역사가 긴 계보를 가지고 있다.[* 사실 21세기 현대까지 남아 재위하고 있는 왕실들 상당수는 근현대 들어서야 왕위에 오른 신흥 왕가들이 많고 덴마크나 일본처럼 매우 오래된 왕가가 지금 현대까지 국가의 군주로서 재위하고 있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현대의 군주국인 사우디아라비아의 [[사우드 왕조]]나 요르단의 [[하심 왕조]] 등도 가문 자체는 이전부터 있었지만 이들이 '왕'이 된 것은 20세기 이후이다. 즉 '왕실로서의 역사'는 상당히 짧은 것. 예를 들어 하심 가문은 아랍의 유서깊은 명문가이긴 했으나 이들이 아랍 반란으로 오스만 제국에서 독립을 선포하고 [[헤자즈 왕국]]을 수립하여 왕위에 오른것은 [[1916년]]이고 그 이전의 하심 가문은 독립국의 군주가 아니라 어디까지나 오스만 황제에게 [[메카]]의 [[태수]]로 임명받은 지방관일 뿐이었다. 역사가 오래된 유서깊은 왕가들([[합스부르크 왕조]], [[오스만]] 황실, [[솔로몬 왕조]] 등)은 [[혁명]] 등 격동의 역사 속에서 대부분 폐위되어 왕위를 상실했다.] 물론 [[왕조]]가 바뀐 적은 많으나 덴마크의 왕조 교체는 방계 계승이나 모계 계승으로 인해 성씨만 바뀐 것일 뿐이기 때문에 왕가의 혈통은 유지되어 내려왔다.[* 덴마크 이외에도 유럽의 왕조 교체는 대체로 이런 형태인데, 직계가 단절되어 기존 왕가의 분가로 왕위가 넘어가거나 여계 계승이 이루어지면서 왕조의 이름이 바뀌는 식이다. 가령 [[영국 왕실]]도 분가로 왕위가 넘어가거나 여계 계승이 이루어지면서 왕조의 이름은 여러 번 바뀌었지만, 왕통 자체는 1066년 [[윌리엄 1세|노르망디 공작 윌리엄]]의 잉글랜드 정복 이래로 계속 이어져오고 있으며 모계로는 [[알프레드 대왕]]의 [[웨식스 왕조]]도 잇고 있다.] 즉, 왕가의 혈통 자체는 1000년 넘게 계승되어 오고 있다. '''[[https://en.wikipedia.org/wiki/Family_tree_of_Danish_monarchs|덴마크 왕실 계보도]]''' 또 일본 황실처럼 신화상으로 '''신의 후손'''인 왕가이기도 하다. [[시구르드]] 문서 참조.[* 어디까지나 신화이긴 하지만 [[고름 가믈리]]의 외가 쪽 고조할아버지가 시구르드이고, 시구르드의 고조할아버지가 [[오딘]]의 아들이다.] 다만 일본 황실과 달리 기독교로 개종한 지 오래라 신화에 신경 쓸 이유가 없긴 하다. 역사적으로는 코펜하겐 대성당(Vor Frue Kirke)과 [[힐레뢰드]]의 프레데릭스보르 성(Frederiksborg Slot)의 예배당에서 [[대관식]][* [[코펜하겐]]이 [[수도(행정구역)|수도]]가 되기 전 에스트리드 왕조는 현재 [[스웨덴]] [[스코네]]의 [[룬드]] 대성당에서 주로 대관식을 치렀다.]을 치렀으나, 1840년 [[크리스티안 8세]] 이후로는 대관식을 하고있지 않다. 1523년 [[프레데리크 1세]] 이래 남성 국왕의 이름으로는 프레데리크와 크리스티안을 번갈아 사용하는 것이 관행이다.[* 앞에 [[크리스티안 2세]]도 있긴 하나 [[크리스티안 2세]]는 [[프레데리크 1세]]의 조카이고, 자신의 아들 이름을 부왕 [[한스(덴마크)|한스]]의 이름을 따 한스로 지었다.] 현 국왕인 마르그레테 2세는 여왕이므로 해당 사항이 없지만, 여왕의 장남은 [[프레데리크 안드레 헨리크 크리스티안|프레데리크]], 장손은 [[크리스티안 발데마르 앙리 욘|크리스티안]]이므로 이러한 왕가의 전통은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 역대 덴마크 국왕 == === 크누트 왕조 === ||<#dcdcdc> 대수 ||<#dcdcdc> 이름 ||<#dcdcdc> 재위 || || '''-''' || [[크누드 1세]][* 그는 고름의 아버지였다고는 하나 그 실체가 확실하지는 않다. 덴마크에서 실존이 확실한 최초의 왕은 그 아들인 고름이다.] || ?~934? || || '''1''' || [[고름 가믈리]] || 934? ~ 958년 || || '''2''' || [[하랄 1세 블로탄]] || 958년 ~ 986년 || || '''3''' || [[스벤 1세]] || 986년 ~ 1014년 || || '''4''' || [[하랄 2세]] || 1014년 ~ 1018년 || || '''5''' || [[크누트 대왕|크누드 2세]] || 1018년 ~ 1035년 || || '''6''' || [[하레크누드]][* 또는 크누드 3세.] || 1035년 ~ 1042년 || === 호르파그레타 왕조 === ||<#dcdcdc> 대수 ||<#dcdcdc> 이름 ||<#dcdcdc> 재위 || || '''7''' || [[망누스 1세]][* [[노르웨이 국왕]]으로는 1035~1047년] || 1042년 ~ 1047년 || === 에스트리드 왕조 === ||<#dcdcdc> 대수 ||<#dcdcdc> 이름 ||<#dcdcdc> 재위 || || '''8''' || [[스벤 2세 에스트리드센]] || 1047년 ~ 1074년 || || '''9''' || [[하랄 3세]] || 1074년 ~ 1080년 || || '''10''' || [[크누드 4세]] || 1080년 ~ 1086년 || || '''11''' || [[올루프 1세]] || 1086년 ~ 1095년 || || '''12''' || [[에리크 1세]] || 1095년 ~ 1103년 || || '''13''' || [[닐스(덴마크)|닐스]] || 1103년 ~ 1134년 || || '''14''' || [[에리크 2세]] || 1134년 ~ 1137년 || || '''15''' || [[에리크 3세]] || 1137년 ~ 1146년 || || '''16''' || [[발데마르 1세]][* [[스벤 3세]], [[크누드 5세]] 공동 즉위, 1146년 ~ 1157년] || 1146년 ~ 1182년 || || '''17''' || [[크누드 6세]] || 1182년 ~ 1202년 || || '''18''' || [[발데마르 2세]] || 1202년 ~ 1241년 || || '''19''' || [[에리크 4세]] || 1241년 ~ 1250년 || || '''20''' || [[아벨(덴마크)|아벨]] || 1250년 ~ 1252년 || || '''21''' || [[크리스토페르 1세]] || 1252년 ~ 1259년 || || '''22''' || [[에리크 5세]] || 1259년 ~ 1286년 || || '''23''' || [[에리크 6세]] || 1286년 ~ 1319년 || || '''24''' || [[크리스토페르 2세]] || 1319년 ~ 1326년 || || '''25''' || [[발데마르 3세]] || 1326년 ~ 1330년 || || '''26''' || [[크리스토페르 2세]] || 1330년 ~ 1332년 || || '''27''' || [[발데마르 4세]] || 1332년 ~ 1375년 || || '''28''' || [[올루프 2세]] || 1375년 ~ 1387년 || === [[칼마르 연합]] === ||<#dcdcdc> 대수 ||<#dcdcdc> 이름 ||<#dcdcdc> 재위 || || '''29''' || [[마르그레테 1세]] || 1387년 ~ 1412년 || || '''30''' || [[에리크 7세]] || 1397년 ~ 1439년 || || '''31''' || [[크리스토페르 3세]] || 1439년 ~ 1448년 || === [[올덴부르크 왕조]] === ||<#dcdcdc> 대수 ||<#dcdcdc> 이름 ||<#dcdcdc> 재위 || || '''32''' || [[크리스티안 1세]] || 1448년 ~ 1481년 || || '''33''' || [[한스(덴마크)|한스]] || 1481년 ~ 1513년 || || '''34''' || [[크리스티안 2세]] || 1513년 ~ 1523년 || || '''35''' || [[프레데리크 1세]] || 1523년 ~ 1533년 || || '''36''' || [[크리스티안 3세]] || 1533년 ~ 1559년 || || '''37''' || [[프레데리크 2세]] || 1559년 ~ 1588년 || || '''38''' || [[크리스티안 4세]] || 1588년 ~ 1648년 || || '''39''' || [[프레데리크 3세]] || 1648년 ~ 1670년 || || '''40''' || [[크리스티안 5세]] || 1670년 ~ 1699년 || || '''41''' || [[프레데리크 4세]] || 1699년 ~ 1730년 || || '''42''' || [[크리스티안 6세]] || 1730년 ~ 1746년 || || '''43''' || [[프레데리크 5세]] || 1746년 ~ 1768년 || || '''44''' || [[크리스티안 7세]] || 1768년 ~ 1808년 || || '''45''' || [[프레데리크 6세]] || 1808년 ~ 1839년 || || '''46''' || [[크리스티안 8세]] || 1839년 ~ 1848년 || || '''47''' || [[프레데리크 7세]] || 1848년 ~ 1863년 || === [[글뤽스부르크 왕조#s-4|글뤽스부르크 왕조]] === ||<#dcdcdc> 대수 ||<#dcdcdc> 이름 ||<#dcdcdc> 재위 || || '''48''' || [[크리스티안 9세]] || 1863년 ~ 1906년 || || '''49''' || [[프레데리크 8세]] || 1906년 ~ 1912년 || || '''50''' || [[크리스티안 10세]] || 1912년 ~ 1947년 || || '''51''' || [[프레데리크 9세]] || 1947년 ~ 1972년 || || '''52''' || [[마르그레테 2세]] || 1972년 ~ 현재 || == 둘러보기 == [include(틀:덴마크 관련 문서)] ---- [include(틀:군주 일람)]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덴마크/역사, version=130)] [[분류:덴마크 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