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독일 관련 문서)] [include(틀:독일의 지상파 방송국)]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ARD 로고.svg|height=50]]||{{{#12337b '''{{{+1 ARD}}}'''[br]{{{-1 '''A'''rbeitsgemeinschaft der öffentlich-rechtlichen '''R'''undfunkanstalte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br]{{{-1 독일연방공화국 공영방송협회}}}}}}[* 좀 더 직역에 가깝게 번역하면 '독일연방공화국 공법상 방송영조물 작업공동체'.]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2337b, #12337b, #12337b, #12337b)" {{{#fff '''Wir sind eins.'''}}}}}} || ||<-2> {{{#fff '''국가'''}}}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독일]] || ||<-2> {{{#fff '''개국'''}}} ||[[1950년]] [[6월 5일]] || ||<-2> {{{#fff '''기업형태'''}}} ||[[공기업]], [[공영방송]] || ||<-2> {{{#fff '''시청권역'''}}} ||[[독일]] || ||<-2> {{{#fff '''홈페이지'''}}} ||[[https://www.ard.de]] || [목차] [clearfix] == 개요 == >'''Wir sind eins.''' [[독일]]의 [[공영방송]]. 이름 뜻풀이를 하면 '독일연방공화국 공영방송협회' 정도가 된다. 창립 멤버는 아니지만 [[유럽방송연맹]] 정회원이다. 자매 방송사로 같은 [[공영방송]]인 [[ZDF]]가 있다. 사실 원래 ZDF는 ARD2로 개국했지만, ARD가 방송을 독점하면 안된다는 [[고위층]]들의 생각 때문에 분리되었다. [[http://de.wikipedia.org/wiki/ARD_2|#]] 이 '전파 독점 우려'는 [[BBC]]-채널 4 같은 유럽식 2공영체제의 전형적 형태이다.[* 한편 [[프랑스]]에서도 [[독일]]처럼 ORTF를 TF1, A2, FR3, 라디오 프랑스로 분할하다가 [[1980년대]] 민영방송의 출범과 [[TF1]]의 [[민영화]](당시 [[프랑스 총리]]였던 [[자크 시라크]]가 시행했다. 물론 민영방송 출범은 [[프랑수아 미테랑]]이 시행한 거지만.)로 인한 방송시장 경쟁의 격화로 인해 부작용이 심화되자 A2, FR3, L5(민영방송이었는데 TF1, M6와 경쟁을 벌이다가 버티지 못하고 파산했다.)를 [[프랑스 텔레비지옹]]으로 통합했다. 다만 라디오 부문은 그대로 두고 있다.] 다만 [[BBC]]든 ARD든 모두 공공재인 [[전파]]를 정부가 독점하고, 공익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형태에서 출발한 것이다. 특히 ARD는 지방 라디오국들의 연합체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독일 정부]]로서는 전 연방을 포괄하는 단일 조직망을 하나 만들 필요가 있었다. 주 재원은 [[수신료]]로 충당하고 있다. 총 매출액에서 수신료가 차지하는 비율은 80%를 넘으며 이는 국내 채널에 상업 광고를 전혀 편성하지 않는 [[영국]] [[BBC]]가 수신료에 의존하는 비율까지도 '''넘어선 것이고''' BBC보다도 매출액이 '''많다'''. 또한 [[ZDF]]와 수신료 수입을 나눠 먹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신료로 얻는 수익은 BBC를 제치고 유럽 제일을 기록하고 있다.[* 인구 수나 TV 시청 가구수는 [[러시아]]가 더 많지만 러시아는 TV 수신료 제도가 없다.] 매출액은 60억 유로 초중반 정도의 수준으로 [[일본]] [[NHK]]보다도 많은 수준이다.[* NHK 매출액은 6000억엔 정도의 수준이다.] 상업 [[광고]]도 편성하고 있지만 광고 규제가 워낙 엄격하다. [[1950년대]]에 제정된 광고 규제를 현재도 큰 틀에서 지키고 있다. 1일 평균 20분만 광고 가능, [[일요일]]과 [[공휴일]]에 광고 금지, 오후 8시 이후에 광고 금지 규정을 준수하고 있다. 이 규제 덕분에 광고 수익은 ARD 전체 매출액의 1-2%에 불과하다. 광고수입으로 얻는 수익은 1년에 1억 유로를 넘는 수준. 다만 원래부터 광고 수입의 비율이 낮았던 건 아니고 사실 [[1950년대]]부터 [[1980년대]] 중반 공영 독점 시절에는 주 재원에서 광고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지는 않았지만 꽤 되었다. 그러나 [[프랑스]]나 [[네덜란드]]와는 다르게 공영 방송 광고 규제가 완화되지 않았고 그 대신에 수신료를 물가에 맞추어서 지속적으로 올리면서 광고가 재원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극히 낮아지게 된 것이다. [[독일]]이 [[프랑스]]나 [[네덜란드]], [[이탈리아]] 등 다른 국가들처럼 [[공영방송]] 광고규제를 완화했었으면 ARD 매출액이 이보다 10%는 더 많았을 것이라는 말도 나올 지경이다. 다만 이렇게 수신료로만 매출이 엄청난건 수신료 자체가 높은것도 있지만(17.50유로). '''TV, 라디오가 있든 없든 무조건 한가구당 징수'''한다는 규정 덕분에 가능한것이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cc1335&logNo=220883860328&proxyReferer=https%3A%2F%2Fm.search.naver.com%2Fsearch.naver%3Fsm%3Dmtb_hty.top%26where%3Dm%26query%3D%25EB%258F%2585%25EC%259D%25BC%2Btv%2B%25EC%2588%2598%25EC%258B%25A0%25EB%25A3%258C%26oquery%3D%25EC%2584%25B8%25EA%25B3%2584%2Btv%2B%25EC%2588%2598%25EC%258B%25A0%25EB%25A3%258C%26tqi%3DTVGG%252BdpySA4ssuH8VKsssssst%252B8-214819|이 규정은 독일 내에서도 논란이 많은 편이라고 한다]]. ARD 뉴스에서는 [[2000년대]] 중반까지도 [[뉴스]]의 필수품인 [[프롬프터]]를 쓰지 않아서 [[아나운서]]들이 [[원고]]를 들고 나와서 [[생방송]] 중에 그걸 뒤적거리면서 보고 읽어줬다. 때문에 종종 [[방송사고]]가 터지기도 했는데, 2000년대 후반에 프롬프터를 도입한 뒤로는 더 이상 원고 때문에 방송사고가 날 일은 없어졌다. 프롬프터 외에도 독일 공영 방송은 뉴스 스타일이 굉장히 옛날식이라 [[컴퓨터 그래픽]] 같은 건 보기도 힘들고, 단신 같은 건 기자 취재 영상 같은 거 없이 아나운서가 다 해버린다. 심지어 [[일기예보]]는 [[기상 캐스터]] 없이 그래픽이랑--사실 그래픽이라 하기에도 좀 민망하다-- [[성우]] 목소리로 처리한다(...)--사실 성우라기도 민망한게 목소리 퀄리티가 진짜 [[TTS]]급이다.-- 그래서인지 아나운서도 둘씩 나오고 [[인터뷰]]도 [[스튜디오]]에서 찍는 [[한국]]이나 [[미국]] 뉴스를 보다가 독일 뉴스를 보면 재미가 없을 정도. 심지어 가끔씩 일기예보 직전에 알려주는 [[로또]] 번호도 목소리에 추임새도 넣고 이리저리 기타 정보를 알려주는 한국과 다르게 번호 6개 말하고 끝난다. 경쟁 [[민영방송]]으로는 독일 최대 규모의 [[RTL]], Sat. 1, Prosieben이 있다. 특히 RTL은 시청률로 [[Das Erste]]와 경쟁하는 사이. 그런데 2021년 자료에 따르면 두 채널 모두 시청률이 [[ZDF]]에게 [[https://m.dwdl.de/a/85947|밀린다.]] == 역사 == || [[파일:ARD 로고(2003-2019).svg|width=100%]] || [[파일:ARD 로고.svg|width=100%]] || || (2003~2019) || (2019~) || [[제2차 세계 대전|2차대전]] 이전까지 독일의 공영방송이었던 제국방송(Reichs-Rundfunk-Gesellschaft, RRG)(1925~1951)은 1923~1924년 사이에 세워진 다음의 9개 방송국을 모체로 하여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 체신부 산하로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이었다. * Funk-Stunde AG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방송|방송시간]], [[베를린]]) : 베를린·브란덴부르크·서부[[포메른]]을 가청권으로 하였다. * Nordische Rundfunk AG ([[북부독일방송|북부방송]], [[함부르크]]) : * Ostmarken Rundfunk AG (동부방송, [[쾨니히스베르크]]) : [[동프로이센]]·동부포메른·[[단치히]]를 가청권으로 하였다. * Südwestdeutsche Rundfunk AG ([[헤센 방송|남서독일방송]],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 Westdeutsche Funkstunde AG ([[서부독일방송]], [[뮌스터]]) * Süddeutsche Rundfunk AG ([[남서독일방송|남부독일방송]], [[슈투트가르트]]) * Deutsche Stunde in Bayern GmbH ([[바이에른 방송]], [[뮌헨]]) * Mitteldeutsche Rundfunk AG ([[중부독일방송]], [[라이프치히]]) * Schlesische Funkstunde AG ([[슐레지엔]]방송, [[브레슬라우]]) 하지만 [[아돌프 히틀러]]가 집권한 이후 [[괴벨스]]가 제국방송을 장악하면서 '대독일방송'(Großdeutscher Rundfunk)으로 이름이 바뀌고 [[나치즘]] 선전의 한 축을 담당했었다. 종전 이후 제국방송의 지국도 정리할 겸 분단된 대[[동독]] 선전 매체로도 활용할 겸 해서 미·영·불 연합군정이 각지에 방송사를 세우면서 ARD가 시작되었다. 실제로 냉전 시기 대동독 선전 매체로의 기능이 뛰어나서, [[동서독 국경]] 지역과 '''[[베를린|서베를린]]'''에서 전파를 쏘면 [[동독]]의 상당히 넓은 지역(80% 이상)을 커버할 수 있었으며 동독 주민들이 서독 소식을 접하는 주요 통로가 되기도 했다. 하도 주민들이 서독 방송을 받아보는 바람에 동독이 SECAM만 수신할 수 있는 수상기를 제작하는 것을 포기하고 SECAM/PAL 겸용 수상기를 만들기 시작하기도 했고, ARD와 [[ZDF]] 방송에 나온 내용을 [[취향입니다 존중해주시죠|당의 입맛에 맞게]] 해석해주는 TV 해설 방송 프로그램을 국영 TV 채널인 DFF에서 방송하기도 했다. == 방송 채널 == 주요 채널은 인터넷 스트리밍으로 [[한국]]에서도 볼 수 있지만 [[위성방송]]은 [[동아시아]]나 미주에서 시청할 수 없다. * [[Das Erste]] * Das Erste HD: [[HD]] 전용 채널. Das Erste는 [[SD]]다. 과거에는 [[BBC]]도 이런 형식으로 BBC HD가 따로 있었으나 BBC는 현재 전 지상파 채널(ONE, TWO) HD화를 완료했고 기존 BBC HD는 다른 채널로 전환되었다. * 각 지역국별 채널: 채널 3번. [[지역방송]] 전용 채널로, [[북부독일방송|NDR]]처럼 가청권이 넓은 방송국에서는 여기서 또 지역별로 나눠 프로그램을 제작하기도 한다. 이름은 보통 각 지역국 약칭+fernsehen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헤센 방송의 지역국 채널 이름은 hr-fernsehen 이런 식. 오후 5시나 6시에는 대체로 지역 뉴스를 방영하고, 저녁 8시에는 [[Das Erste]]의 메인 뉴스인 [[타게스샤우|tagesschau]]를 릴레이 송출하는 것이 [[불문율]]로 되어있다. ~~2번 틀면 [[ZDF|다른 거]] 나온다.~~ * 3sat: [[독일어권]] 3개국[*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공영방송]]이 합작한 문화 채널. ARD 지역국 산하 교향악단의 실황 연주 영상을 가끔 틀어준다. 동일 언어권 방송국이 합작한 채널이라는 점에서 [[TV5MONDE]]와 비슷하긴 하지만 시청권이 독일어권에 한정돼있기 때문에 하위 채널 중에서는 TV5MONDE FRANCE BELGIQUE SUISSE에 가깝다. 지역제한이 걸려있어 라이브 스트리밍은 볼 수 없으나, 극히 일부의 컨텐츠를 열람할 수는 있다. * arte: [[ZDF]], [[프랑스 텔레비지옹]]과의 합작 문화 채널. 뉴스 프로그램인 Journal도 방송하는데 독불 합작 채널이다 보니 시간 별로 언어가 [[독일어]], [[프랑스어]]로 다르다. * Phoenix: [[ZDF]]와 합작한 [[시사교양]] 전문 채널. 인기 뉴스 프로그램인 Das Erste의 [[Tagesschau|타게스샤우]]와 ZDF의 [[Heute-Journal|호이테조날]]이 [[수어]]버전으로 방송된다. * KiKA: 어린이 채널. 특이하게 로고 밑에 von ARD und ZDF(ARD와 ZDF가 보내드리는)라고 쓰고 있다. [[EBS]]에 [[KBS 2TV]]를 섞어놓은 듯한 느낌이다. 예전 이름은 Kinder Kanal(어린이 채널)이었는데 줄여서 KiKA가 되었다. * BR-alpha: [[바이에른 방송]]에서 송출하는 채널. 교육, 과학, 문화 등등 지역국 방송에서 못 내보낸 것들을 내보낸다. === 디지털 방송 === [[디지털 방송]] 전용 채널도 여러 개 가지고 있다. * One(구: EinsFestival): [[서부독일방송]]에서 관리하는 디지털 채널. 평소에는 시사교양과 음악 위주의 재방송으로 굴러가다가 [[올림픽]], [[FIFA 월드컵]], [[UEFA 유로]]처럼 큰 스포츠 행사가 열리면 겹치는 시간대의 다른 경기를 [[Das Erste]]나 [[ZDF]]가 아닌 여기서 틀어준다. HD로도 송출한다. [[2016년]] 9월에 채널명을 One으로 바꾸었다. * EinsPlus: [[남서독일방송]]에서 관리하는 디지털 채널. * tagesschau24: [[타게스샤우]]를 제작하는 [[북부독일방송]]에서 관리하는 디지털 채널. [[연합뉴스TV]]나 [[YTN]]같은 뉴스 전용 채널이다. 물론 저녁 8시에 타게스샤우도 나온다. 이런 뉴스 채널은 지역제한 없이 보게 하는 국가가 많은 편인데 여기는 지역제한이 걸려있다. 이곳 외에 뉴스채널에 지역제한을 걸어놓은 방송국은 [[영국]]의 BBC NEWS이다. == 프로그램 == === [[Das Erste]] === [[Das Erste]] 문서 참조. === KI.KA === * Spongebob Schwammkopf: [[네모바지 스폰지밥]]. 미국 Nick 방영분의 더빙판이다. * Sandmännchen [[http://www.sandmann.de/|#]]: [[스톱 모션]] 방식으로 만든 [[애니메이션]]. 독일이 분단되어 있던 시절에 [[서독]]과 [[동독]]이 각자 제작했는데, 통일이 되자 오히려 서독판이 사라지고 동독판이 계속해서 제작 중이다. 원조가 서독의 자유 베를린 방송인데도 불구하고. 구 동독 주민들에게는 동독에 대한 향수로도 남아 있는 듯. 주인공은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의 동화에서 따왔다. 제작은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방송]]에서, 송출은 KiKa와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방송, [[중부독일방송]]에서 하고 있다. == 참여사 목록 == [include(틀:ARD의 지역 방송국)] [[파일:ARD 가맹국.svg|width=600]] 텔레비전 방송은 ARD로 채널을 맞추면 지역에 해당하는 방송국의 방송이 나온다. 라디오 방송은 지역별로 주파수가 다르다. || 이름 || 약칭 || [[방송권역]] || 홈페이지 || || [[도이체 벨레]][br]Deutsche Welle || DW || 전세계[br]([[BBC 월드 서비스]]나 NHK World같은 채널이다. [[본(독일)|본]]에서 송출.) || [[http://www.dw.de]] || || [[남서독일방송]][br]Südwestrundfunk || SWR || [[라인란트팔츠]], [[바덴뷔르템베르크]] || [[http://www.swr.de]] || || [[라디오 브레멘]][br]Radio Bremen || RB || [[브레멘]] || [[http://www.radiobremen.de]] || || [[바이에른방송]][br]Bayerischer Rundfunk || BR || [[바이에른]] || [[http://www.br.de]] ||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방송]][br]Rundfunk Berlin-Brandenburg || RBB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http://www.rbb-online.de]] || || [[북부독일방송]][br]Norddeutscher Rundfunk || NDR || [[함부르크]], [[니더작센]],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http://www.ndr.de]] || || [[서부독일방송]][br]Westdeutscher Rundfunk || WDR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http://www.wdr.de]] || || 자를란트 방송[br]Saarländischer Rundfunk || SR || [[자를란트]] || [[http://www.sr-online.de]] || || [[중부독일방송]][br]Mitteldeutscher Rundfunk || MDR || [[작센]], [[작센안할트]], [[튀링겐]] || [[http://www.mdr.de]] || || 헤센 방송[br]Hessischer Rundfunk || HR || [[헤센]] || [[http://www.hr-online.de]] || == 관련 문서 == * [[바이에른 방송 교향악단]] - BR 산하의 [[관현악단]] * [[슈투트가르트 남서독일 방송 교향악단]] - SWR 산하의 관현악단 * [[바덴바덴과 프라이부르크 남서독일 방송 교향악단]] - SWR 산하의 관현악단 * [[북독일 방송 교향악단]] - NDR 산하의 관현악단 * 북독일 방송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NDR 산하의 관현악단 * [[쾰른 서부독일 방송 교향악단]] - WDR 산하의 관현악단 * 자르브뤼켄 카이저슬라우테른 도이치 방송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SR/SWR 산하의 관현악단 * 중부독일 방송 교향악단 - MDR 산하의 관현악단 * [[프랑크푸르트 방송 교향악단]] - HR 산하의 관현악단 * '''[[5.18 민주화운동]]''' - 5.18의 참상이 처음으로 송출된 방송이 [[타게스샤우]]다. * [[위르겐 힌츠페터]] * [[헤닝 루모어]] * [[김사복]] [[분류: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