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부산광역시의 버스 터미널]] ||<-5> [[7번 국도|{{{#white 7번 국도}}}]] {{{#ffffff 직행 시외버스 정류장}}} || || 기점 || ← || '''동래''' || → ||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종합]] || [include(틀:부산광역시의 버스 터미널)] [[파일:external/blogfiles13.naver.net/%B5%BF%B7%A1%C1%A4%B7%F9%BC%D2_%C7%A5%C1%F6.png|width=600]] 사진속의 경남고속은 뉴그랜버드 선샤인으로 대차되었다. [목차] == 개요 == [[부산광역시]] [[동래구]] [[중앙대로(부산)|중앙대로]]1325번길 24 ([[온천동(부산)|온천동]])에 있는 [[버스 정류장]].~~이라 쓰고 동래슈퍼라 읽는다~~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건너편에 있는 [[경남은행]] 옆 골목에 있다.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이나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에서 [[남해고속도로]] 방면으로 가는 버스에 탈 수 있는 정류소다. 여기서는 승차만 가능하다. 하차는 노포동 부산종합버스터미널로 가는 차를 탔다면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앞에서, 해운대로 가는 차를 탔다면 [[메가마트]] 동래점 맞은편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장에서 내려준다. == 상세 == [[2001년]]에 [[명륜역]] 앞에 있던 부산동부시외버스터미널이 [[부산종합버스터미널|노포동으로 이사가면서]] 남해안권 노선의 이용 대안으로 이 정류소가 중간 승하차장으로 신설되었다. 참고로 [[부산광역시청|부산시청]]에서는 [[중앙대로(부산)|중앙대로]]의 정체를 이유로 폐쇄를 시도하고 있지만 버스회사와 이용객의 반발로 번번이 무산되고 있다. [* 부산시 행정이 이러니 고속버스 중간정류장 정식 인허가 등은 꿈도 꿀 수 없다. 이론상으로는 동래에 정차한다고 해서 거리가 100 km 이하이거나, 국도 구간이 너무 길다거나, 중간 정류장이 너무 많지 않는 한 고속버스 인가조건을 상실하여 [[전환시외]]로 되지는 않고, 시외버스 업체들도 얼마든지 [[전환고속]]으로 운영할 수는 있다. 신복로터리를 시외버스뿐 아니라 고속버스 중간정류장으로도 육성하고 정비하는 [[울산광역시]]와는 대조적. 그렇다고 [[중앙고속도로지선]]에 [[부산대양산캠퍼스역]]과 연계되는 [[EX-허브]] 설치 등 양산 쪽으로 육성하지도 않고 있다. 부산대양산캠퍼스역에 EX-허브를 조성하여 그곳에 정차한다면 고속도로상 정차가 되므로 고속버스 조건을 상실하지 않기도 하고.] 이 정류장 때문에 [[부산종합버스터미널|노포동터미널]]에서는 남해안권 승객이 거의 타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는 반면, 동래정류장에서 자리를 다 채워 가는 일도 허다하다.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터미널]]은 [[마산시외버스터미널|마산터미널]], [[창원종합버스터미널|창원터미널]], [[진주시외버스터미널|진주터미널]]행 노선과 같이 빗자루질하는 노선들이 많아 [[가축수송(교통)|출퇴근 시간대엔 배차간격이 5분 아래로 떨어질때도 있을]] 정도로 수요가 많아 버스 타기 힘들고, 또 사상에서 동래지역으로 시내버스나 도시철도로 이동한다 쳐도 거리가 제법 있어 소요시간 메리트가 저하될 수밖에 없다. 반면 시내 외곽 끄트머리에 위치한 노포동터미널에만 직통 운행하기에도 수요가 너무 없다 보니 수요를 채우기 위한 균형잡힌 방안으로 터미널 이전 이후에도 이 중간 정류장이 필요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부산시도 할 말이 없는 게, 한때 대박 노선으로 불리던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 - [[진주고속버스터미널|진주]] [[고속버스]] 노선은 노포동으로 고속터미널을 이전하고 몇 년있다가 폐지되는 일도 발생했다. 물론 당시 고속도로 상황이 좋지 않아 동래를 경유하는 것하고 시간 차가 없어서 그럴수도 있겠지만, 그만큼 동래 쪽에 수요가 많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다. 그리고 동래 쪽으로 이미 수요가 자리잡은데다 웬만한 경남 남해안 지역은 국도 구간이 많다던지, 거리가 짧다던지 등으로 인해 고속버스 기준에 부합하지 않아 (노포동 ~ 진주가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경유로 114.7 km다. 동래를 경유하게 되면 117.4 km가 되고. 이것도 사상 출발이면 102.9 km라서 고속버스 인가기준에 겨우 맞추는 수준이다.) [[부산종합버스터미널|노포동터미널]]발 남해안 직통노선의 신설은 힘들어 보인다.][* 실제로 부산외곽고속도로가 완전 개통해서 노포동에서도 바로 남해안쪽으로 갈 수 있게 되었지만 여전히 거의 모든 노포동발 남해안권 노선들은 동래를 경유하고 있다. 동래터미널을 경유하지 않는 노선도 해운대터미널에서 출발하여 [[광안대교]], [[동서고가로]]를 타고 남마산으로 가는 노선 뿐이다. 게다가 부산시에서도 노포동터미널에 크게 신경을 쓰고 있는 분위기는 아니기 때문에 앞으로도 이런 상황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원래는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바로 앞에 있었으나 지금의 골목길 자리로 이전했다. 동래역 1번 출구에서 횡단보도를 건넌 후 골목길로 들어가면 샌드위치 판넬로 된 조립식 건물이 바로 동래시외버스터미널이다. 건물 내부에는 앉을 벤치 몇 개와, 매점, 그리고 매표소와 승차권 자동발매기 1대뿐. [[SK텔레콤]]의 T wifi zone과 [[KT]]의 Olleh WiFi 이용도 가능하다. 여담으로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방면에서 오는 버스는 '''[[명륜역]]'''까지 간 뒤 다시 '''U턴'''해서 이 정류장에 들어오거나 동래전화국→동래중학교 맞은편 경로를 거쳐 들어온다. 아니면 '''메가마트 동래점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장'''에서 승하차한다. 다만 울산행 심야를 제외한 모든 시외버스 노선들은 노포동과 해운대 방면으로의 시내구간 승차가 불가능하다. 비공식적으로 [[고속버스 순천-부산]], [[고속버스 여수-부산]] 노선이 부산행 심야시간대에 한하여 이곳에 정차하기도 했지만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개통 이후에는 다른 고속버스처럼 두실역에 정차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고속버스 서울경부-부산]] 노선도 한때 [[통영대전고속도로]]로 다니던 시절에는 주간에도 일부 동래를 경유했고 이후로도 심야시간에는 꽤 오랜기간 동래역 정차를 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후 부산시에서 제재를 가했는지 두실역 중간하차만 해고있다. == 주변 교통 == 1, 4호선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이 있다.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을 타고 온 경우 5번 출구로 나가서 한국건강관리협회 건물 뒷편으로 가면 바로 나온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을 타고 온 경우 1번 출구로 나와 횡단보도를 건넌 후 마찬가지로 한국건강관리협회 건물을 찾아가면 된다. == 노선 == === 영남권(경남) === * 노포동과 해운대 방면으로의 시내구간 승차는 불가능하다. 동래역에서 도시철도를 이용하자. 해운대 방면은 [[부산 버스 31|31번]], [[부산 버스 200|200번]] 등을 이용해도 된다. 그리고, 경주-포항행도 다니지만[* 1일 1회 [[시외버스 포항-광양|광양에서 출발한다.]]] 동래에서 경주, 포항까지의 구간승차 역시 안된다. 동래에서 경주,포항으로 갈거면 부산 1호선을 이용해 노포동에서 [[시외버스 부산-포항]]이나 [[시외버스 경주(고속)-부산]](경주가 목적지일때) 이용하자. * 하차는 동래터미널 건너편에서 하는 것이 아니라 노포동 방면은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3번출구에서 실시하기 때문에 유의바람. 해운대행 역시 별도의 다른 정류장에서 하차를 실시한다. * 코로나로 인해 수요가 줄어들어 운행 횟수가 많이 감축되었고 변동되었으며 계속해서 시간표가 바뀌고 있다. 하단의 시간표는 감축 이전의 시간표이기 때문에 현재 운행시간을 알고 싶으면 다음의 시간표를 보는 것이 좋다. [[https://m.dcinside.com/board/station/46887|#]] ||
<-3> '''{{{#ffffff 영남권(경남)}}}'''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0062bc> '''[[시외버스 해운대-창원|{{{#ffffff 창원}}}]]''' || 일 44회 || [[거제현대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울산·부산종합·해운대발 창원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남산시외버스정류소|{{{#ffffff 남산}}}]]''' || || ₩ 5,500[br] || ||<#0062bc> '''[[창원종합버스터미널|{{{#ffffff 창원}}}]]''' || || ₩ 5,700[br]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6:05, 06:35, 07:05, 07:20(부산노포발), 07:35, 08:15, 08:45, 09:25, 09:50(부산노포발), 10:05, 10:35, 10:50(부산노포발), 11:00, 11:20(부산노포발 진해행), 11:30, 12:00, 12:40, 12:55(부산노포발), 13:05, 13:45, 14:10(부산노포발), 14:15, 14:35, 14:50(부산노포발), 15:00, 15:35, 15:50(부산노포발), 16:05, 16:25, 17:05, 17:20(부산노포발 진해행), 17:35, 17:50, 18:10, 18:30(부산노포발), 18:45, 19:15, 19:30, 19:45(부산노포발), 20:25, 21:25, 21:30(부산노포발), 22:30(심야), 23:50(심야) || ||<-3><(>비좌석제 노선으로 예매가 불가능하다. 일 1회는 [[울산시외버스터미널|울산]]에서, 일 10회는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종합]]에서 출발하고, 나머지 시간대는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에서 출발한다.|| }}} || ||<#0062bc> '''[[시외버스 마산-동래-부산|{{{#ffffff 마산}}}]]''' || 일 24회 || [[거제현대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부산종합발 마산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마산시외버스터미널|{{{#ffffff 마산(시외)}}}]]''' || 0:50 || ₩ 4,400[br]₩ 4,800(심야)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6:10, 06:50, 07:20, 07:55, 08:45, 09:25, 10:05, 10:45, 11:25, 12:05, 12:45, 13:25, 14:25, 15:25, 16:25, 17:05, 17:45, 18:25, 19:05, 19:45, 20:25, 21:00, 22:20, 23:40(심야) || ||<-3><(>비좌석제 노선으로 예매가 불가능하다.|| }}} || ||<#0062bc> '''[[시외버스 부산•동래-진주|{{{#ffffff 진주}}}]]''' || 일 30회 || [[경남고속뉴부산관광]]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부산종합·동래발 진주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진주시외버스터미널|{{{#ffffff 진주(시외)}}}]]''' || 1:30 || ₩ 8,800[br]₩ 11,400(우등)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6:20, 06:50(우등), 07:20(우등), 07:50, 08:15(우등), 08:50(동래발), 09:25(동래발), 09:55(동래발), 10:25(동래발/우등), 10:55(우등), 11:25(우등), 11:55, 12:25(동래발), 13:25(동래발), 13:55(우등), 14:25(동래발/우등), 14:55(동래발),15:35, 16:05(동래발/우등), 16:35(동래발/우등), 17:05, 17:25(우등), 18:05, 18:35, 19:05(동래발/우등), 19:35(우등), 20:05, 20:35(우등), 21:00|| ||<-3>일 13회는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종합]]까지 가지 않고 동래 - [[진주시외버스터미널|진주]]만 오간다. 이는 과거 [[남해고속도로]] 확장 전 엄청난 정체로 인해 발생했다. 상대적으로 가까운 [[마산시외버스터미널|마산]], [[창원종합버스터미널|창원]] 등은 정체되어도 배차를 그나마 맞출 수 있었지만 [[진주시|진주]]는 남해고속도로가 한 번 정체되면 3시간이 걸릴 정도로 도로 상황이 심히 좋지 않았기에 배차를 맞추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생긴 현상이다.|| }}} || ||<#0062bc> '''{{{#ffffff 김해}}}''' || 일 18회 || [[해운대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해운대발 김해·장유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김해여객터미널|{{{#ffffff 김해}}}]]''' || 0:30 || ₩ 2,700[br]₩ 2,900(심야)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6:50(장유행), 07:40, 08:50, 09:20(장유행), 10:20, 11:50, 12:20(장유행), 13:20, 14:20, 15:20, 16:20, 16:50, 17:20(장유행), 18:20, 19:20, 20:20(장유행), 22:00, 24:00(심야행)|| ||<-3><(>비좌석제 노선으로 예매가 불가능하다.|| }}} || ||<#0062bc> '''[[시외버스 부산-통영|{{{#ffffff 고현(거제)[br]통영}}}]]''' || 일 16회 || [[경남고속뉴부산관광]][br][[경원여객(경남)|경원여객]]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부산종합발 통영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고현버스터미널|{{{#ffffff 고현(거제)}}}]]''' || || ₩ 10,200[br]₩ 13,300(우등) || ||<#0062bc> '''[[통영종합버스터미널|{{{#ffffff 통영}}}]]''' || || ₩ 14,100[br]₩ 18,400(우등)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7:30, 08:20, 09:00, 09:40, 10:50, 11:50, 12:50, 13:40, 14:30, 15:30, 16:20, 17:20, 18:20, 19:20, 20:20, 21:20|| ||<-3><(>일 2회(09:50, 18:50) 운행하는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마산남부]]·[[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고성]]·[[장승포시외버스정류장|장승포]]행 노선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2시간 이상 우회하고 운임도 더 비싸다.|| }}} || ||<#0062bc> '''{{{#ffffff 마산남부}}}''' || 일 12회 || [[경원여객(경남)|경원여객]]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울산·부산종합발 마산남부·장승포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ffffff 마산남부}}}]]''' || 1:20 || ₩ 5,700[br]₩ 6,800(우등)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7:10, 09:30, 11:10, 14:40, 16:30, 18:50(장승포), 19:50, 21:30 || ||<-3><(>[[장승포시외버스정류장|장승포]]행 노선은 비좌석제 노선으로 예매가 불가능하다. 대부분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종합]]발 노선이며, 일 1회는 [[울산시외버스터미널|울산]]에서 출발한다.|| }}} || ||<#0062bc> '''{{{#ffffff 장유(김해)}}}''' || 일 10회 || [[해운대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해운대발 장유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김해여객터미널|{{{#ffffff 김해}}}]]''' || 0:30 || ₩ 2,200 || ||<#0062bc> '''[[장유시외버스정류장|{{{#ffffff 장유(시외)}}}]]''' || || ₩ 2,300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7:00(김해 미경유), 08:00(김해 미경유), 08:40, 11:10, 12:20, 13:40, 15:50, 16:50, 18:30(김해 미경유), 20:00(김해 미경유)|| ||<-3><(>비좌석제 노선으로 예매가 불가능하다.|| }}} || ||<#0062bc> '''{{{#ffffff 진해}}}''' || 일 4회 || [[경원여객(경남)|경원여객]]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울산·부산종합발 진해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창원종합버스터미널|{{{#ffffff 남산}}}]]''' || || ₩ 5,500 || ||<#0062bc> '''[[창원종합버스터미널|{{{#ffffff 창원}}}]]''' || || ₩ 5,700 || ||<#0062bc> '''[[진해시외버스터미널|{{{#ffffff 진해}}}]]''' || 1:30 || ₩ 7,600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7:20, 11:20, 17:20|| ||<-3><(>비좌석제 노선으로 예매가 불가능하다. 창원행 버스가 진해까지 연장운행하는 형태라 시간도 오래걸리고 요금도 비싸며 운행횟수도 적은 편이다. 이 때문에 창원행 버스를 타고 남산정류장에 내려 진해행 시내버스를 타는게 더 좋을수도 있다.남산동 정류소에서 150,151,155,155-1,757번 버스를 타면 진해까지 약 20분만에 도착하므로 차가 안 막히고 버스가 바로 있다면 동래에서 약 1시간만에 진해까지 도착할수 있다. 사상이나 하단에서 [[동아여객]]의 진해행 시외버스를 탑승할 수도 있지만 웅천,웅동,용원을 거치고 돌아가는데다가 [[창렬|요금도 비싸기 때문에]] 그렇게 할 필요는 없다. || }}} || === 호남권(전남, 전북) === ||
<-3> '''{{{#ffffff 호남권(전남)}}}'''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039b43> '''{{{#ffffff 중마(동광양)[br]광양}}}''' || 일 1회 || [[금아여행]]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포항발 광양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39b43> '''[[중마버스터미널|{{{#ffffff 중마(동광양)}}}]]''' || || ₩ 15,000({{{#0000ff 우등}}}) || ||<#039b43> '''[[광양터미널|{{{#ffffff 광양}}}]]''' || || ₩ 16,600({{{#0000ff 우등}}}) || ||<#039b43>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12:10}}} || ||<-3><(>[[시외버스 포항-광양]] 참고. 동래 유일의 경상북도 업체 진출 노선이다.|| }}}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039b43> '''{{{#ffffff 순천[br]여수}}}''' || 일 4회 || [[금호고속]][br][[해운대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해운대발 여수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39b43> '''[[순천종합버스터미널|{{{#ffffff 순천}}}]]''' || 2:20 || ₩ 19,400({{{#0000ff 우등}}}) || ||<#039b43> '''[[여수종합버스터미널|{{{#ffffff 여수}}}]]''' || 3:00 || ₩ 25,900({{{#0000ff 우등}}}) || ||<#039b43>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9:25, 12:25, 14:55, 17:25}}} || ||<-3><(> [[시외버스 해운대-여수]]문서 참조. 2023년 9월 22일부터 운행을 개시했다. 2018년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개통으로 인해 여수행이 폐지된 이후 5년만에 부활하게 되었다. 현재 [[금호고속]]의 유일한 동래시외버스정류소 경유 노선이다. || }}} || == 발권이 불가능한 행선지 == * [[경주시외버스터미널|경주]], [[포항터미널|포항]] : 1일 1회 [[시외버스 포항-광양|광양발 포항행]]이 동래를 경유하지만 정작 동래-경주,포항간 승하차는 불가능하다. === 폐지 노선 === * [[전주시외버스공용터미널|전주]] 2019년 7월 25일에 개통되었다가 부산서부-전주 노선을 운행하는 [[부산교통]]의 엄청난 압박 및 견제로[* 무려 경찰이 와서야(...) 출발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9월 3일 부터 [[김해여객터미널|김해]]를 경유한다. ||
<-3> '''{{{#ffffff 영남권(경남)}}}'''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 '''{{{#ffffff 울산 (심야)[br]방어진(울산) (심야)}}}''' || 폐지 직전 일 2회 || [[푸른교통]]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3>
'''{{{#ffffff 동래역발 울산·방어진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 '''[[온천장역|{{{#ffffff 온천장}}}]]'''[br]{{{-2 {{{#ffffff '''금정롯데마트'''}}}[br]'''[[두실역|{{{#ffffff 두실}}}]]'''}}} || || || || '''[[부산종합버스터미널|{{{#ffffff 부산동부}}}]]''' || || || || '''[[덕계정류소|{{{#ffffff 덕계동}}}]]''' || || || || '''[[서창정류소|{{{#ffffff 서창}}}]]''' || || || || '''[[웅촌정류소|{{{#ffffff 웅촌}}}]]''' || || || || '''[[무거정류소|{{{#ffffff 무거}}}]]''' || || || || '''{{{#ffffff 법원[br]공업탑}}}''' || || || || '''[[울산시외버스터미널|{{{#ffffff 울산(시외)}}}]]''' || || || || '''[[남목정류소|{{{#ffffff 남목}}}]]''' || || || || '''{{{#ffffff 현대백화점[br]동울산우체국}}}''' || || || || '''[[방어진시외버스정류장|{{{#ffffff 방어진}}}]]''' || || || || '''{{{#ffffff 운행시각표}}}''' ||<-2>(폐지 직전) 00:35 (방어진), 01:35 (울산) || ||<-3>[[시외버스 부산-울산]] 참조. 비좌석제 노선으로 예매가 불가능 하다. 다른 노선과는 달리 동래역 3번출구에서 승차한다. 이로 인해 정류소에서 발권이 불가능하며, 교통카드나 현금으로 승차한다. [[온천장역]]에서 이용해도 운임은 동래 출발과 동일하다. 주간 시간대에는 도시철도를 이용하여 부산종합버스터미널로 이동한 뒤 이 시외버스를 이용하거나, 시내버스로 환승하여 이동해야한다. 아니면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로 이동하여 해운대발 시외버스 노선을 이용해도 된다. 과거에는 운행 횟수가 많았으나, 코로나 시국으로 인해 동래역 착발은 일 2회로 줄었다가 2023년 5월 1일에 폐지되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