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동서울대학교 UI.svg|width=25]] {{{#006476,#fff '''동서울대학교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전문대학)] [include(틀:경기도의 전문대학)] [include(틀:성남시의 대학)] [include(틀:링크3.0 사업단(전문대))] }}} || ---- ||<-3>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1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43D47, #006476, #006476, #043D47)" '''{{{#fff {{{+1 동서울대학교}}}[br]東서울大學校[br]DONG SEOUL UNIVERSITY}}}''' }}} || ||<-3><#fff,#191919> [br] [[파일:동서울대학교 UI.svg|width=263]] [br][br] || ||<-3><#006476> {{{#fff '''대학 정보'''}}} || ||<|3> '''모토''' || '''건학이념''' ||'''인격과 기술이 겸비된 전인교육''' || || '''교훈''' ||'''진실(眞實), 창의(創意), 봉사(奉仕)''' || || '''슬로건''' ||'''FILL YOUR DREAMS''' || ||<-2> '''설립 연도''' ||[[1978년]] [[3월 15일]] {{{-1 ([age(1978-03-15)]주년)}}} '''대유공업전문학교''' || ||<-2>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분류''' ||[[사립대학]], [[전문대학]] {{{-1 (2/3/4년제)}}} || ||<-2> '''설립자''' ||유래윤 || ||<-2> '''총장''' ||유광섭[* 유래윤 설립자의 3남. 유용부 이사장의 동생] || ||<-2> '''이사장''' ||유용부[* 유래윤 설립자의 장남] || ||<-2> '''재단 및 법인''' ||학교법인 학산학원 || ||<-2> '''주소'''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로 76 ([[복정동]]) || ||<-2> '''재학생''' ||8,266명 {{{-2 (2022년)}}} || ||<-2> '''교직원''' ||439명 {{{-2 (2022년)}}}[* 전임교원 164명, 기타교원 275명] || ||<-2> '''대학기본역량진단''' ||'''일반재정지원 선정대학''' {{{-2 (2021년)}}} || ||<|2> '''링크''' || '''웹사이트''' ||[[https://www.du.ac.kr/main.do|[[파일:동서울대학교 UI.svg|width=25]] {{{#006476,#white '''공식 홈페이지'''}}}]] || || '''SNS''' ||[[https://ko-kr.facebook.com/dsc1978/|[[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dongseoul.university/?hl=k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channel/UCBLac80saErri-wSn2N8Jp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3> '''위치''' || ||<-3><#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동서울대학교,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10px; margin-top:-5px; margin-bottom:-6px" [[파일:동서울대학교 전경.jpg|width=100%]]}}} || ||<:> {{{#FFFFFF '''동서울대학교 전경'''}}}||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uJVOz1ImNU, width=100%)]}}} || || {{{#ffffff '''동서울대학교 홍보영상 (2022)'''}}} || 동서울대학교는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위치한 [[전문대학]]이다. 1977년 학교법인 제석학원이 대유공업전문학교([[大]][[宥]][[工]][[業]][[專]][[門]][[學]][[校]])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8년 3월 개교한 전문대학이다. 1979년 대유공업전문대학으로 개편했고 1998년 동서울대학으로 교명을 바꾸었다, 그리고 2011년 11월, 동서울대학교로 교명을 바꾸었다. 바뀐 교명 덕분에 인지도가 올랐다는 듯 하다. 여담으로 1992년에 법인명을 학산학원으로 변경했다. 학교 명칭에 '서울'이 들어가 있지만 서울에 없다. 이는 [[남서울대학교]]도 마찬가지지만 남서울대는 서울과는 한참 동떨어진 [[충청남도]] [[천안]]에 소재하고 있다. 동서울대는 그나마 서울과 가까운 곳에 있어서 남서울대보다는 양심적(?)인 작명이다. 다만 이름과 달리 서울 동쪽에 위치한 것은 아니며, 그렇다고 서울 동부랑 가까운 것도 아니다. 동서울대학교가 있는 성남은 지리상 서울 남부랑 가까운 지역이다. 동서울대학교는 비서울권 대학들중 서울에서 가장 가까운 대학이다.[* 4년제 종합대학 중에서는 [[가천대학교/글로벌캠퍼스]]가 서울에서 가장 가깝지만, 동서울대학교보다는 멀다.] 2018년 6월, [[대학기본역량진단]]에서 예비 자율개선대학으로 선정되었고, 2018년 9월 3일[* 가결과는 2018년 8월 23일 통보] 최종적으로 자율개선대학으로 선정되었다. 또한 2021년 8월 17일, 가결과 통보로 일반재정지원 선정대학에 선정되었고, 2021년 9월 3일 최종적으로도 일반재정지원 선정대학으로 선정되었다. == 특징 == [[http://infor.sahak.or.kr/portal_main.asp]] [[파일:5OAaJq0.jpg]] 학교재단 소유. 수익용 재산 토지나 건물은 하나도 없다. 흔히 말하는 땅한평 없다. 오로지 예금 16억 있는게 재단 수익용 재산의 전부이고 1년 수입액도 여기서 나오는 이자 4천여만원이 전부다. 등록금 의존도가 상당히 높은 편이다. 거의 모든 지방 4년제 전문대중 등록금이 높은 학교들이 재단이 형편없고 그래서 학생들의 등록금으로 의지한다. 대개 이런 학교들은 부실대가 많고 설령 부실대가 아니더라도 장학금을 많이 못준다. 물론, [[대학기본역량진단]]에서 자율개선대학으로 선정되었기에 동서울대학교는 부실대가 아니며, 자금도 다른 데서 지원을 많이 받아서 그런지는 몰라도 장학금은 생각보다 많이 주는 편. 2019년도 기준으로 110억을 지원받았다고 한다. 학교 부지는 가까이 있는 [[가천대]]에 비하면 비좁지만, 그 작은 부지 내에 오밀조밀하게도 10개의 건물을 지어놨다. 게다가 본관 옆쪽에 [[골프]]연습장을 지었으며, 학교 운동장에는 인조 잔디가 깔리고, 지하는 주차장이 되었다. [[복정역]]에서 학교를 가는 버스와 복정역으로 가는 [[스쿨버스]]를 운행중이다. 게다가 공짜라서 간혹 가다가 동네 주민이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http://www.du.ac.kr/KR/cms/CM_CN01_CON/index.do?MENU_SN=644|운행 시간표]] 참고로 복정역 출구명중 동서울대학이라는 출구명이 있는데 주의해야 될 것이, 그건 동서울대학으로 가기 위한 [[스쿨버스]]를 타는 버스정거장으로 가는 출구. 일반 버스로 가기 위해서는 횡단보도 건너에 있으니 주의. (지하철 복정역 2번 출구 환승장 3번 베이, 교내에서는 1호관 앞) 처음오는 사람들은 학교 방향으로 가는 버스가 없어서 당황하기도한다. 또한 스쿨버스 오는 주기가 10분 간격이고, 설령 탄다 해도 동네주민이 아닌 이상 학생들 사이에서 눈치가 보일 수 있으니(...)[* 근데 사실 학생들은 그리 신경을 쓰지 않는다. 단 아침에, 특히 등교시간 대인 9시에서 10시 사이는 피하자. 학교가기 바쁜데 웬 생판 관계 없는 사람이 탄다고 생각해 보자. 가뜩이나 붐비는 버스 안이 더 붐빌 수 있으니...고로 이용하고 싶다면 오후시간대를 이용하고 그중 하교시간인 4시 정도의 시간대에는 피하자.] 일반 버스로 가고 싶다면 역에서 나올땐 반대편 출구를 이용하자. 2020년부터 2022년까지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운영하지 않았고, 2023년부터 운행 재개를 할 예정이라고 한다. 신식 건물 및 8호관을 제외한 모든 건물에 엘레베이터가 없다. 몸이 불편한 사람들은 산을 오르는데 좀 힘든 편이다. 학산관이라고 불리는 기숙사는 2022년부터 운영되기 시작했다. 기숙사 건물 자체는 이미 2022년 되기 한참 전에 완공은 됐으나[* 국제교류센터(13호관) 7~10층], 몇년이 지난 지금도 아직까지 개방을 안 하고 있다가 2022년 돼서야 모집한다고 밝혔다. 인원은 200여명 조금 안 되게 모으는 편이다. 층별로 7,10층은 여자 기숙사, 8,9층은 남자 기숙사이며, 점호시간은 밤 11시이다. 기숙사 규정은 타 대학대비 깐깐한 편이며, 식당이 따로 없어 외부식당을 이용해야한다. 점심이야 2호관 구내식당을 통해 학식으로 가능하다고는 쳐도, 저녁은 학식이 안 되기 때문에 식비가 많이 나간다. 또한 2022년 2학기까지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백신|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자[* 2차까지 맞아야된다. [[부스터샷|3차 접종]]은 권고사항이기는 하지만 의무사항은 아니라 2차 접종만 한 경우에도 기숙사 이용이 가능하다.]여야 했었다. 이후 2023학년도 1학기 기숙사생 모집때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백신|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자 규정 언급이 없는 것으로 보아 해당 규정은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예전에는 MT를 갔었다고는 하지만, 2010년대 중후반부터[* 들리는 소문에 의하면 2016~2017년부터로 추정] 공식적으로 진행되는 MT가 없어졌다.[* 물론 공식적인 MT가 없어진 것이지, 비공식적으로 하는 경우는 간간히 있었다. 그러나 이마저도 코로나로 인해 몇년 동안 교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비공식적으로도 MT가 사라진 학과들이 많다.][* [[카더라]]에 의하면 MT때 일어난 성추행, 한 학생의 사망 등 여러 가지 사건들이 생기면서 학교 내에서 말이 많아져서 공식적으로는 더 이상 진행을 안 한다는 소리가 있다.] 신입생 OT때도 어디 여행을 가는것이 아니라 학교 내에서만 진행된다고 한다. 그래서 MT를 가고싶으면 개인이 친구들을 모아서 비공식적으로 가야된다. [[평점]] 비율은 2019년도까지는 A학점[* '''A+'''~'''A0'''] 35%, B학점[* '''B+'''~'''B0'''] 35%이다. 참고로 '''4.5점 만점'''이다. 이를 참고해서 학점관리 잘하자. 참고로 재수강은 2017년도까지는 '''C+'''~'''F'''학점까지 가능했으나, 2018년도부터 '''D+'''~'''F'''학점만 재수강 가능하게 교칙이 변경돼서 어정쩡하게 C학점은 맞는 일은 가급적이면 피하도록 하자. 재수강시에는 B+까지 올릴 수 있다. 2020년과 2021년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A학점 50%, B학점 50% 이하[* C학점 이하는 안 줘도 상관없다. 물론 교수 재량으로 C학점 밑으로 줄수는 있다.]였고, 2022년에는 A학점 40%, B학점 40%으로 한시적으로 평점 규정을 완화해서 주고 있다. 대부분의 [[전문대학]]처럼 이 학교도 대부분 시간표가 중고등학교 시절처럼 짜여져나온다. 신입생 첫 학기는 무조건 학교에서 정해준대로 수강해야하고 이후 학기도 수강신청하기는 하나, 개설과목이 학년/학기별로 정해져 있어 사실상 고등학교 과목선택이나 마찬가지다. 즉, [[수강신청]] 전쟁이란게 없으며, 수강신청하는 이유가 그냥 들을지 말지 결정하는 것뿐이다.[* 단, 전공필수로 분류된 강의는 무조건 들어야된다. 전공필수 역시 자동으로 신청되는게 아닌 수강신청때 신청해야되므로 만일 전공필수가 있다면 빼먹지 말고 무조건 수강신청을 해야된다. 전공필수는 한개라도 수강신청 안 할시에는 졸업이 안 된다.] 다만, 한 학기당 최소 15학점 이상, 최대 20학점[* 20학점 초과시에는 학점초과사유서를 작성해야되며, 최대 24학점까지 가능하다.]까지 신청(재수강 포함)해야한다.[* 단, 마지막 학기(졸업 학기)는 경우에 따라 최소 10학점 이상이기만 하면 가능하다. 몇몇 학과는 졸업학기때 아예 10~12학점 정도로 시간표를 짜기도 한다.] 성적 장학금을 노리는 학생은 무조건 17학점 이상 신청해야된다. 그 외,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은 한 학기당 최소 6학점 이상 들어야 하며, 한 학기당 최대 학점은 1년제는 14학점, 2년제는 18학점까지 가능(재수강 포함)하다. 일반휴학은 1년 단위이며, 15학번까지는 3번 가능하나 16학번부터는 1번만 휴학이 가능하다. 만일 휴학을 준비하는 학생이라면 이 점을 참고하자. [[엇학기복학]]이 안 되기 때문에 한 학기 단위로 휴학하는거는 불가능하다.[* 한 학기 휴학하고 학교 포털시스템에 가면 복학신청 버튼 자체가 아예 못 누르게 조치되어있거나, 복학신청 버튼이 활성화되어있더라도 누르면 다음날에 승인거부가 난다. 하지만 관리자가 제대로 확인을 못 할 경우에는 한 학기 휴학하고 복학이 승인되는 경우도 있다. 만일 한 학기만 휴학했는데 복학신청 버튼을 누르고 복학이 승인되어버리면 바로 휴학/복학 관련 부서로 전화해서 실수로 누른거라고 사유를 밝히자. 그러면 학교측에서 바로 승인취소해준다. 학교측에 전화를 안 할시에는 미등록제적으로 등록될 수 있으니 반드시 전화해서 해결하자.][* 학기 포기원서를 제출해도 졸업유예로 되지, 한학기만 하고 [[엇학기복학]]은 안 된다.] 이는 군휴학도 마찬가지이며, 보통은 복무기간이 18~21개월인만큼 2년(4학기)단위로 휴학하게 되며, 일부 복무기간이 짧은 경우나 3년치의 길고 긴 복무기간도 있는만큼 군휴학이라고 무조건 2년인것은 아니며, 1년 혹은 3년 이상도 가능하다. 조기취업 제도가 있다. 물론 동서울대학교 묻고답하기 답변에 의하면 조기취업 제도가 없는 학과가 있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자세한거는 학과사무실 혹은 학과기재실에 먼저 해당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지 확인한 후에 조기취업 제도를 이용하는게 좋다. 어쨋든 계속 설명하자면 졸업학기[* 당해년도 졸업하는데 문제없다는 전제하에 2년제는 2학년 2학기, 3년제는 3학년 2학기에 해당. 학사학위 과정은 야간수업인 경우 애초에 회사 다니면서 학업을 가능하게끔 시간표를 짜주며, 주간수업인 경우 학과마다 조기취업 가능 여부가 다 다르므로 해당 학과사무실이나 학과기재실에 문의해야된다.]에 취업을 하게 되면 학교출석을 하지 않아도 출석으로 처리된다.[* 비대면 수업 관련은 DU일자리센터나 기재실 조교한데 물어봐도 출석인정 관련해서 명확하게는 알려주지는 않으나, 비대면 수업은 수업을 참가하도록 권장한다고만 안내하고 있다.] 조기취업시 자동으로 출석으로 처리된다. 또한 정규직이 아니더라도 인턴[* 체험형 인턴(정규직 전환 안 되는 인턴) 역시 가능하다. 단, 학기 도중에 퇴사하면 퇴사 다음날부터 학교를 나와야 되며, 제출해야될 서류도 많아져서 복잡해지므로 체험형 인턴일 경우 6개월 할 것을 권장한다.], 비정규직, 계약직, 파견직 등도 4대보험만 가입된다면 상관없다.[* 단, [[아르바이트]]처럼 산재보험만 가입되면 안 되며, 반드시 4개 보험이 다 가입되어있어야된다.] 전공하고는 관련없어도 되는 학과도 있고, 반드시 전공하고 관련된 직종만 인정되는 학과도 있으니 이 점은 참고하고 조기취업 제도를 알아보는게 좋다. 다만, 비대면 수업인 경우 과제물이 나오면 과제물을 제출해야되고, 중간고사 및 기말고사 역시 봐야되기 때문에 조기취업시에는 마지막 학기의 성적이 좋게 나오기에는 재학중인 사람에 비하면 난이도가 높은편.[* 중간고사, 기말고사 보는 방식은 학과마다 다르므로 각 학과사무실에 문의해야 한다. 어떤 학과는 일반 재학생처럼 중간고사때 나오고, 기말고사때 나오는 학과도 있고, 어떤 학과는 기말고사 기간때 중간고사랑 기말고사를 한번에 같이 보게 하는 학과도 있다. 또한 같은 학과 내에서도 과목에 따라 다르다. 기말고사 기간때 중간고사랑 기말고사를 같이 보게 된다면 시간대는 낮 또는 저녁 6~10시 둘 중에 가능한 시간대에 선택해서 보게 하는 편이며, 대체시험으로 간주되므로 B+이 최대 평점이 된다.] 또한 졸업학기(마지막 학기)에만 가능한 제도다.[* 졸업학기가 아니면 회사에 취칙한다고 출결을 인정해주지 않는다. 예외적으로 전공교수 연계 혹은 학과사무실 공고를 통해 취업에 성공한 경우에는 졸업학기가 아니더라도 출결을 인정해주는 경우가 있다.] 졸업학기 도중에 취업했을 경우에는 4대보험가입확인서[* 재직증명서도 가능은 하나, 원칙은 4대보험가입확인서이다.]를 지참해 조기취업 확인서랑 같이 각 학과사무실 혹은 학과기재실[* 학과마다 학과사무실 담당인곳도 있고, 학과기재실 담당인곳도 있다.] 조교한데 제출하면 된다. 만일 학교를 올 수 있으면 학교와서 지도교수와 면담 후 조기취업 확인서를 작성해 기재실 조교한데 제출하면 되고, 학교를 오는게 불가능한 상황인 경우에는 조기취업 확인서를 기재실 조교한데 카톡이나 이메일 등으로 양식을 다운받고 양식 작성 후 학생 서명란에만 서명하고 PDF 파일로 스캔떠서 기재실 조교한데 카톡이나 이메일로 제출하면 된다.[* 지도교수한데 다이렉트로 보내도 되지만, 그런 경우 역시 기재실 조교한데도 같이 보내주는게 좋다.] 그리고 나서 종강 이후에 지정된 기간 내에 출력한 4대보험가입확인서를 다시 한번 더 제출하면 된다.[* 2022년 기준 12월 16일~20일내에 출력한 4대보험가입확인서를 제출기한인 21일 낮 12시까지 제출해야된다. 출력일자가 반드시 학교에서 지정해준 날짜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해당 학기동안 회사를 제대로 다니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만일 해당 학기 도중에 퇴사하였을 경우 바로 학교측에 연락을 해서 퇴사 증명서 등 별도 서류를 제출한 다음, 퇴사한 다음날부터 바로 학교 수업을 들으러 와야된다.] 행사 관련해서는 1학기때는 [[운동회|복정체전]]을 개최하며, 주로 5월달에 개최된다.[*예외 2020년과 2021년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개최되지 않았으며, 2022년에는 10월에 개최되었다.] 1학년만 참여하며[* 1학년 역시 의무는 아니다. 학과장이 3일동안 매번 출석체크를 부르기는 하는데, 결석해도 출결점수에서 까이지 않는다. 간혹 복정체전에 안 나오면 출결점수에서 깍겠다고 협박하는 학과장이 있는데, 출결점수에서 점수를 깍을려고 해도 어떤 강의에 출결점수를 깍을지 정할수 없고, 애초에 정규 수업 출결관리는 교수님 고유 권한이기 때문에 출결점수가 깍일수가 없다. 그러니까 협박에 넘어가지 말자.], 2~4학년[* [[간호대학|간호학과]]가 없는 전문대에 왠 4학년이 있냐고 생각할수도 있지만, 4학년은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을 듣는 사람을 지칭하는 말이다.]은 [[총학생회|학생회]]가 아니면 참여하지 않는다. 하루도 아닌 무려 '''3일'''이나 개최한다.[* 스포츠학부를 제외한 모든 학과가 토너먼트 형태로 참여하는거라 어쩔수 없기는 하다.] 개최종목은 남자는 '축구, 농구, 족구, 100m 달리기'를 하며, 여자는 '피구, 발야구, 100m 달리기'를 한다. 혼성경기는 600m 릴레이 달리기를 하며, 단체경기로는 '인간징검다리, 단체줄넘기'를 한다.[* 치어리더도 단체경기 항목에 있기는 하지만, 치어리더는 서로 대결하는것도 아닌 맨 마지막에 행사 마무리로 하는 것이고, 무엇보다 춤을 잘 추는 사람만 뽑아야되기 때문에 사실상 지원할 사람만 지원한다.] 2학기때는 축제를 열고, 10월달쯤에 개최하며, 보통 2일정도 하는 편이다. 축제때는 연애포차라고 대학교 주점을 오픈하기도 하나, 규모가 타 대학교에 비해 작은 편이라 자리가 금방 찬다. 2019학년도 입학생부터는 졸업학점 요구사항이 낮아져서 조금 더 편해졌다.[* 2년제 80학점 이상(전공 51학점 이상, 교양 12학점 이상)→74학점 이상(전공 51학점 이상, 교양 8학점 이상), 3년제 120학점 이상(전공 80학점 이상, 교양 14학점 이상)→110학점 이상(전공 75학점 이상, 교양 10학점 이상)][* 다만, [[학사|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은 기존과 똑같이 1년제는 20학점, 2년제는 60학점 그대로이다.] 참고로 2018학년도 이전 입학자들도 재입학생, 편입학생, 복학생(학기취소자 포함)의 경우에는 사유발생 학년도 수강신청 교육과정표 기준으로 적용이 된다.[* 2019학년도에 1학년으로 복학 시 '2019학년도 이후 신입생' 기준 적용이 된다.] == 졸업 조건 == ||<-3> 전문학사과정(공통) || || 년수 || 2년제 || 3년제 || || 공통사항 ||<-2> 전공필수강의 전부 다 이수[* 한 강의라도 미신청 혹은 수강신청했는데 F인 경우 재수강 필수] || || 총 요구학점 || 74학점 이상 이수 || 110학점 이상 이수 || || 전공 요구학점 || 51학점 이상 이수 || 75학점 이상 이수 || || 교양 요구학점 || 8학점 이상 이수 || 10학점 이상 이수 || || 강의 이수 기준 ||<-2> 평점이 P 또는 D0 이상[* 즉, F학점만 아니면 이수로 처리된다.] || ||<-3>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공통) || || 년수 || 1년제 || 2년제 || || 공통사항 ||<-2> 전공필수강의 전부 다 이수[* 한 강의라도 미신청 혹은 수강신청했는데 평점이 F인 경우 재수강 필수][br]전문학사과정에서 이수한 학점 포함 130학점 이상 이수 || || 총 요구학점[* 전문학사과정에서 이수한 학점 제외] || 20학점 이상 이수 || 60학점 이상 이수 || || 강의 이수 기준 ||<-2> 평점이 P 또는 D0 이상[* 즉, F학점만 아니면 이수로 처리된다.] || 여기 나와있는거는 모든 학과에 적용되는 공통 학칙만 나와있다. 즉, 학과 재량으로 졸업 조건을 추가할수도 있으니 여기에 나와있지 않은 졸업 조건에 대해 알고싶으면 각 학과사무실로 문의해야된다. 4.5만점이며, 이수되는 평점 중에서 P를 제외하면 D0(1.0/4.5)가 가장 낮은 점수이다. P는 PASS를 의미하며, 애초에 시험이 없어서 평점이라는 개념이 없고[* 즉, P 또는 F 둘 중에 하나다.] 오직 졸업학점만 채워지는 강의이다. 전공필수 강의는 한 강의라도 빼먹지 말고 반드시 수강신청을 해야하며, 수강신청을 한 이후에도 절대로 성적이 F가 뜨면 안 된다. 전공필수 강의를 한 강의라도 수강신청을 안하면 졸업여건 미충족으로 졸업이 안 되며[* 다만, 전공필수 강의를 한 강의라도 수강신청 안할시에는 학과사무실 조교 재량으로 해당 학생한데 따로 연락해서 강제로 수강신청하게끔 조치한다. 뭐가됐든 전공필수 강의는 무조건 수강신청해야된다.], 역시 수강신청을 하더라도 F가 뜰시에는 미이수로 간주되어 졸업여건 미충족으로 졸업이 안 된다. 그러니 전공필수라고 나와있으면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무조건 수강신청을 하고 수업을 잘 들어야된다. 그 외, 학생들이 자주 물어보는 것 중에 하나가 현장실습을 의무로 해야되는가인데, 일단 현장실습은 졸업학기때 진행되며, 학과에 따라 현장실습이 전공필수면 의무로 해야되지만 전공선택인 경우에는 본인이 현장실습을 하고 싶은 경우에만 수강신청하면 된다. 아예 현장실습이 없는 학과도 있다. 즉, 학과에 따라 의무 이수 여부가 다르므로 각 학과사무실에 문의하면 된다. 졸업 여건을 충족했으면 따로 학생들한데 졸업이 확정되었다는 식의 연락을 하지 않으며[* 우회적으로는 확정된 거를 알수있긴 하다. 동서울대학교 공식 톡으로 학위수여식 관련 공지를 받았다던가, 군필자인 경우에는 예비군동대가 변경되었다는 연락을 받으면 졸업이 확정되었을 확률이 높다.], 졸업유보생인 경우에 한해서만 해당 학생한데 따로 개인적으로 연락한다고 한다. == 14주차에 기말고사를 보는 학교 == 한 학기 학사과정이 15주차인데, 기말고사 시험을 항상 14주차에 봐서 기말고사를 마쳐도 한 주는 더 나와야 한다. --동서울고등학교-- 전국의 어떤 대학교에서도 보기 힘든 광경이다. 마지막 주 강의도 출석점수가 들어가기 때문에 학점 깎이기 싫으면 시험 끝나고 나와야된다.[* 다만, 교수님에 따라 일부 강의는 마지막주에 출석 안 해도 전부 다 출석처리로 해주겠다는 교수님도 있다.] 마지막 주는 '''향상심화교육''' 주간으로 불리는데, 보통은 출석체크하고 시험점수 알려주고 바로 종강을 시키는 편이지만, 몇몇 강의는 아예 인생에 관해서 교수님 자체 특별수업을 하거나, 시험점수 보강을 위한 일일과제를 내주기도 한다.[* 실제로 일일과제 잘하면 학점이 0.5 올라가는 경우가 간혹 있다.] 단,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2020년부터는 15주차에 기말고사를 보고 바로 종강으로 처리한다. 2023년 기점으로 향상심화주간을 복구시킬지는 미지수인 상태이다. 왜냐하면 2023년을 기점으로 총학생회 부활, 셔틀버스 운행 재개, 학산관(기숙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백신|코로나19 백신]] 의무 접종 규정 삭제 등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전으로 아예 학칙 자체를 원상복구 하고 있어서 어쩌면 향상심화교육 주간도 부활 가능성이 있다. 일단 2023년도에는 향상심화교육 주간 편성에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교가 == [[파일:동서울대학교 교가.png]] >겨레의 높푸른 정기 이어받아 >바르고 참되게 익힌 거룩한 얼 >갈고 닦은 슬기로 드높은 횃불 >진리의 그 빛이 온누리에 비치네 >동서울대학 우러높은 그 이름 >빛나라 영원히 뻗어라 세계로 >영광의 우리요람 동서울대학교 > >하늘로 솟구치는 기상넘치고 >젊음을 펄럭이는 창조의 기잇발 >이 나라 이끄는 빛나는 그 보람 >크고 큰 뜻 골고루 메아리치네 >동서울대학 우러높은 그 이름 >빛나라 영원히 뻗어라 세계로 >영광의 우리요람 동서울대학교 [[http://www.du.ac.kr/KR/cms/CM_CN01_CON/index.do?MENU_SN=593|출처]] == 캠퍼스 == [[파일:동서울대학교 캠퍼스 지도.png]] [[http://www.du.ac.kr/KR/cms/CM_CN01_CON/index.do?MENU_SN=643|출처]] [[파일:동서울대 본관.png|width=500]] * 1번(본관): 위 사진이 동서울대학교 본관이다. 사무국, 기획처, 학사지원처, 대대본부, 총장실, 이사장실, 부속실, 체육관이 있다. * 2번(학산도서관): 동서울대학교 도서관이며, 도서관 뿐만 아니라 스터디룸, 시네마홀, 산학취업처, 편의점, 커피점, 상담센터 등이 다 있다. 동서울대 내에서 시설이 좋은 편이라 재학중이면 꼭 이용해보고 가자. * 3번(학생회관): 동서울대학교 학생회관이며, 학생회들이 주로 이용하는 시설이며, 그 외에 양호실과 여학생휴게실 등이 있다. 7호관이라고도 한다. 여담으로 남학생휴게실은 실내흡연 문제로 인해 폐쇄되었다. * 4번(1호관): --게임콘텐츠과--[* 2019년 2학기에 5호관으로 이동], 호텔관광경영학과, 컴퓨터소프트웨어과, 중국비즈니스과, 컴퓨터정보과, 외식조리테크과, 항공서비스과가 사용하는 건물이다. * 5번(2호관): 컴퓨터정보과랑 패션디자인과,무대미술과가 사용하며, 1층에 학생식당이 있다. 학식의 평은 케바케인 편이다. * 6번(3호관): 시각디자인학과, 디자인융합학과, 비주얼콘텐츠디자인과, 실내디자인과, 건축학과가 사용하는 건물이다. * 7번(5호관): 스포츠학부, 게임콘텐츠과가 사용하며, 산학협력단과 창업지원단이 있다. * 8번(6호관): 뷰티코디네이션과가 사용한다. * 9번(8호관): 공연예술과, 전기정보제어학과, 정보통신과, 디지털전자과, 디지털방송콘텐츠과가 사용하는 건물이다. * 10번(9호관): 항공자동차기계공학부, 시계주얼리학과, 사회복지학과, 경영학부가 사용하는 건물이다. * 11번(10호관): 강의실과 실습실, 서점이 있는 건물이다. 여담으로 10호관쪽에 후문이 있다. * 12번(국제교류센터): 주차장이 있으며, 그 외에도 체육관, 대강당, 연회장, 골프장이 있으며, 4층에는 아동보육과, 7~10층에는 학산관(기숙사)이 있다.[* 층별로 남자/여자 기숙사기 나뉘어져 있다.] 이쪽을 통해서도 학교 밖을 나갈 수 있다. 2019년 들어서 평생교육원도 국제교류센터 3층(13호관)으로 이전했다. 13호관이라고 하면 국제교류센터를 의미한다. * 13번(상징탑) * 14번(대운동장) * 15번(테니스장) * 16번(농구장): 현재는 셔틀버스 정류장으로 쓰인다. 농구장은 대운동장 쪽에 설치해놓았다. * 17번(정문)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 [[하남 버스 30]] (하남시 ~ '''동서울대''' ~ 남한산성) * [[성남 버스 100]] (성남시.사기막골 ~ '''동서울대''' ~ 가락시장역) * [[성남 버스 357]] (상대원차고지 ~ '''동서울대''' ~ 삼부아파트) * [[경기광주 버스 32]] (광주시 ~ '''동서울대''' ~ 잠실역) * [[경기광주 버스 119]] (용인시.오산리 ~ '''동서울대''' ~ 군자역) * [[경기광주 버스 500-1]] (광주시.동원대학교 ~ '''동서울대''' ~ 잠실역) * [[경기광주 버스 500-2]] (광주시.동원대학교 ~ '''동서울대''' ~ 삼성역) * [[경기광주 버스 1117]] (용인시.외국어대학교 ~ '''동서울대''' ~ 강변역-테크노마트앞) * [[서울 버스 302]] (성남시.상대원 ~ '''동서울대''' ~ 상왕십리역) * [[서울 버스 303]] (성남시.상대원 ~ '''동서울대''' ~ 신설동역.서울풍물시장) * [[서울 버스 452]] (송파차고지 ~ '''동서울대''' ~ 흑석역) * [[서울 버스 4425]] (성남시.상대원 ~ '''동서울대''' ~ 삼성역) * [[서울 버스 9403]] (성남시.구미동 ~ '''동서울대''' ~ 중곡역) === 지하철 === * 직접적으로 연계되는 역 : '''없음''' * 간접적으로 연계되는 역 * [[서울 지하철 8호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복정역]][* 2023년부터 통학버스 운행 재개]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가천대역]] == 사건, 사고 == === [[송파 버스사고]] 관련 === [[2014년]] [[3월 19일]]에 발생한 [[송파 버스사고]]의 피해자 3명이 이 학교 신입생으로 알려져 안타까움을 주고 있다. 그런데 학교측의 부적절하고 부도덕한 어이상실의 행태가 유가족에 의해 밝혀져 네티즌의 공분을 샀다.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40410000176&md=20140410084521_BG|관련 기사]] 일단 사고 당시 유가족의 연락을 일절 받지 않았다고 한다. 게다가 총장이라는 자는 학교 공식 행사인 신입생 환영회를 친목모임이라고 격하하고, 학교 측은 법적책임이 없다는 어이상실의 발언이나 하고 있었다. 심지어 피해자들의 삼우제 때 제적통보를 하고, 홈페이지에는 몇주간 아무런 언급도 없다가 갑자기 유족측과 상의도 없이 피해학생들의 본명을 까발리는 보여주기식 추도문을 올려 더욱 비판받았다. === 2015년 시각디자인학부 [[똥군기]] 사건 === 2015년 시각디자인학부에서 [[똥군기]]를 잡는 행태가 포착되어 언론에 보도되면서 대중의 비난을 받았다. 학회장이 단체 카톡방에 올린 글이 화근이었는데 신입생들에게 회장인 자신과 대의원을 부를 땐 학회장'''님''', 대의원'''님'''이라 깍듯이 부를 것을 강요[* 회장과 대의원도 신입생이고 그러므로 동기들에게 존칭을 쓸것을 요구한 것이다.]함과 동시에 학교 근처에서 술을 마실 때는 반드시 자신에게 보고하라는 내용이었다.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arcid=0009186622&code=41121111&cp=nv|기사]]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5022715565896820&outlink=1|기사2]] [[https://news.joins.com/article/17244484|기사3]] 머니투데이쪽에선 직접 학생회장과 통화를 시도했으나 그쪽에서 끊어버렸다고 한다. 이 사건뿐만 아니라 해마다 [[똥군기]]가 있는 학과 얘기가 간간히 들려오고는 있다. === [[워마드]] 자진 워밍아웃 사건 === [[https://m.facebook.com/story.php?story_fbid=1619071181535495&id=1109458042496814&__tn__=%2As%2As-R|#]][[http://archive.is/R0P85|@]] 한 교수의 수업에서 [[워마드 홍익대 누드 크로키 수업 도촬 사건]]을 [[남성혐오]] 사례라 소개한 조별과제 발표가 진행되었는데, 발표가 끝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시간에 [[페미니스트]] 재학생이 홍대 몰카남이 공연 음란죄 의혹이 있고 여성 가해자가 자기 잘못을 인정했으니 가해자 및 피해자 선후관계를 바꿔서 인식하는 것이 낫다고 대놓고 의견을 제시했다가 논리정연한 꾸짖음을 받은 자신의 사례를 페이스북 계정 '여혐별곡 대나무숲'에 올려, [[래디컬 페미니스트]]들에게 교수를 성차별주의자라고 [[조리돌림]]하게 유도한 사건이다. == 학부/학과소개 == === 전문학사 === [[2021년]]도부터 야간에 수업듣는 학과가 죄다 주간으로 변경되었다.[*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은 제외] 즉, 야간에 수업듣는 학과는 없다는 뜻이다. 2022년과 2023년 역시 마찬가지로 전문학사 과정에서는 야간에 수업듣는 학과가 없다. ==== 2년제 ==== * 항공기계과 * 미래자동차학과 * 자유전공학과 * 럭셔리워치주얼리학과 * 산업디자인학과 * 시각디자인학과 * 시각디자인전공 * 시각영상디자인전공 * 패션디자인학과 * 뷰티코디네이션과 * 게임콘텐츠과 * 콘텐츠크리에이터과 * 메타버스게임디자인과 * 세무회계과 * 마케팅과 *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호텔외식조리과 * 호텔외식조리전공 * 카페베이커리전공 * 호텔관광경영학과 * 항공서비스학과 * 중국비즈니스과 * 레저스포츠학과 * 경호스포츠과 * 엔터테인먼트경영과 * 무대미술과 * 스마트드론과 * 사회복지상담과 * --테크노경영과--[* 2023년 신규모집 중단. 물론 재학생은 아직 남아있다.] ==== 3년제 ==== * 전기공학과 * 전자공학과 * 컴퓨터통신과 * 컴퓨터소프트웨어학과 * 컴퓨터정보과 * 건축학과 * 실내디자인학과 * 디지털방송콘텐츠학과 * 보건의료행정과 * 아동보육과 * 사회복지학과[* 2023년부터 3년제로 전환] * 연기예술학과 * 연극전공 * 뮤지컬전공 * 방송연예전공 * 실용음악학과 * 보컬 * 일렉기타 * 베이스기타 * 건반 * 드럼 * 작곡 * EDM프로듀싱 * 음향 * K-POP과 === [[학사|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 일단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은 모든과가 다 있는게 아니다.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은 희망자 중에서 전문학사 졸업여건을 다 충족했다는 전제하에 평균 평점이 높은 순으로 뽑는다. 그러나 모든 학과가 다 있는게 아니다보니 타 학과, 간혹 타 전문대학에서도 지원이 들어오기 때문에 커트라인이 평균 평점 3.5 이상이다.[* 물론 해당 학과에서 인원미달인 경우 평점이 2점대라도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을 들을 수 있다.] 또한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에 들어갔다고 하더라도, 평점이 비교적 높은 학생들로 이루어져있다보니 높은 평점을 얻기에는 전문학사때 대비 더 어려운 편이다. 산업체 경력은 원래 요구하는 학과는 없었으나, 2023년에 신설될 예정인 AI융합소프트웨어학과는 관련 분야로 10개월 이상 경력을 필수로 요구하며, ICT융합학과랑 ICT보안학과는 산업체 경력이 필수는 아니지만, 만일 경력이 있을시 입학 평가때 약간의 플러스 점수를 부여한다. 그 외 다른 학과는 여전히 산업체 경력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또한 야간학과는 회사 다니면서 수업을 듣는게 가능하다.[* 월~금요일, 9시 출근, 18시 퇴근 기준] 주간학과는 학과마다 조기취업 가능 여부가 다 다르므로 해당 학과사무실이나 학과기재실에 문의해야된다. 아래는 2022년도 기준 학과가 존재하는 리스트 목록이다. 2023년부터 신규모집이 중단되는 학과는 2년제일 경우 2023년 2학기 기말고사가 끝난 시점 쯤에 해당 목록에서 삭제하도록 한다.[* 신규모집이 중단된거지, 학과 자체는 아직 1년 더해야 학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학과는 남아있는 상태이다.] * 공학사 * 미래자동차학과[*2년][*주간] * 전기공학과[*1년][*야간] * 전자공학과[*1년][*야간] * ICT융합학과[*1년][*야간][*산업체경력_우대 입학 선발 기준 세부 평가 항목에서 융합학과는 10%(10점), 보안학과는 5%(5점) 비율 차지. 물론 산업체 경력이 있으면 평가 요소에 플러스가 된다는거지, 산업체 경력이 없다고 서류 탈락 되지 않는다.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또는 국민연금가입증명서 1부가 필요하며, 원서접수일 기준 관련 산업체 재직한 이력이 있으면 된다.] * ICT보안학과[*1년][*야간][*산업체경력_우대] * 컴퓨터소프트웨어학과[*1년][*주간] * AI융합소프트웨어학과[*2년][*야간][*산업체경력_필수 입학 선발 기준 세부 평가 항목에서 30%(30점)을 차지. 유일하게 산업체 경력을 필수조건으로 요구하는 학과이며, 산업체 경력이 없을시 자동으로 서류 탈락이다.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국민연금가입증명서 또는 재직증명서 1부가 필요하며, 원서접수일 기준 '''10개월 이상 경력''' 필수에 재직(이직)회사의 경력개발고도화사업 참여확약서 1부를 요구한다.](2023년 신설) * 건축학과[*1년][*주간] * 디지털방송콘텐츠학과[*1년][*주간] * --럭셔리워치주얼리학과--[*2년][*야간](2023년 신규모집 중단) * --디자인공학사-- * --디자인융합학과--[*2년][*야간](2023년 신규모집 중단) * 디자인학사 * 실내디자인학과[*1년][*주간] * 산업디자인학과[*2년][*야간] * 시각디자인학과[*2년][*야간] * 부동산학사 * 도시계획부동산학과[*2년][*야간] * --호텔관광외식학사-- * --호텔관광외식학과--[*2년][*주간](2023년 신규모집 중단) * 사회복지학사 * 사회복지학과[*2년][*주간] * 관광경영학사 * 항공서비스학과[*2년][*주간] * 체육학사 * 레저스포츠학과[*2년][*야간] * 연극학사 * 연기예술학과[*1년][*주간] * 예술학사 * 실용음악학과[*1년][*주간] == 출신 인물 == 가나다 순으로 정렬할 것. * [[공명(배우)|공명]] 연기예술학과(전문학사) * [[김경주(1998)|엘라]] 연기예술 실용음악과 실용음악전공(휴학) * [[김재현]] 정보통신학과 학사 졸업[* [[당근(플랫폼)|당근]] 공동 대표] * [[김영인(1997)|김영인]] 연기예술학과(졸업) * [[김종서(가수)|김종서]] 기계학과[* 대유공업전문대학 시절 출신이다.] * [[박소현(tripleS)]] 실용음악학과(휴학) * [[방민수]] * [[서강준]] 연기예술학과 * [[송용준(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송용준]] (어느 학과인지는 밝혀지지 않음.) * [[승후]] 연기예술 실용음악과 실용음악전공(재학) * [[신현수(배우)|신현수]] 연기예술학과 * [[안일권]] 광고디자인과 * [[빵먹다살찐떡|양유진 (빵먹다살찐떡)]] 연기예술학과(졸업) * [[에드머]] 경영학과 * [[영빈]] (중퇴) * [[영제이]] * [[옹성우]] 연기예술학과(졸업) * [[우겸]] 연기예술학과(재학) * [[유영혁]] * 이경아 디자인과[* 지오반노니의 뒤를 잇는 명실상부 한국, 세계최고의 상업디자이너이다. 기아자동차 부사장을 지냈던 피터 슈라이어가 초임디자이너 시절에 이경아를 우상으로 삼았다고 한다.(출처 필요)] * [[이정하]] 시각디자인학과(2023년 현재 재학중) * [[정다래]] 스포츠레저학과 * [[정찬우]] 전기공학과[* 대유공업전문대학 시절 출신이다.] * [[정용국]] 디자인학과 * [[정일훈]] (연기예술학과) * [[차웅기]] 연기예술학과(중퇴) * [[최원희]] 연기예술학과 졸업 * [[현수에요]] 컴퓨터정보과 (졸업) * [[허영생]] 공연예술학과(재학) * [[달쑤|황수원 (달쑤)]] 연기예술학과(졸업) * [[홍샛별|홍샛별 (코딩의 달인)]] 세무회계학과(졸업) * [[혜찌]] 연기예술학과(졸업) == 기타 == * 전국 4년제, 2/3년제 중 유일한 럭셔리워치주얼리학과가 존재한다. 다만, 럭셔리워치주얼리학과라서 뭔가 특수한 학문이 아니라 금속공예, 귀금속공예로 보면 적은 수지만 그럭저럭 많은 학교가 보유하고 있다. 이전에 쓰이던 학과 명칭은 시계주얼리학과. 허나 이름과는 달리 주얼리는 거의 배우지 않으며 수박 겉핥기 식으로 가볍게 배운다. 대부분 워치 위주로 배우고 취업도 사실상 시계 판매원 위주로 보내기 때문에 보석 세공이나 시계 수리 등을 생각하고 온 사람이라면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주의. * 평균적으로 입결이 제일 높은 학과는 항공기계과로 알려져 있다. 기계자동차공학과도 유명한 편이다. * 웹메일은 한번 만들면 2년 동안 유지되며, 만든 지 2년이 지나면 마지막 로그인 기간이 언제인지 상관없이 웹메일이 삭제된다. 그러므로 3년제 학과에 다니는 재학생이거나 휴학생인 경우에는 웹메일은 2번 만들게 되며, 웹메일에는 장기적으로 보관해야되는 중요파일 같은 경우에는 단독으로 보관해서는 안 된다. * 웹메일 비밀번호를 홈페이지를 통해서 변경하려고 할 시, 자꾸만 비밀번호를 정확히 입력하라는 창만 뜨면서 비밀번호 교체가 안 된다. 웹메일 비밀번호를 교체하려면 전산정보센터에 연락해서 바꿔야 한다. * 학생회관쪽에 남학생휴게실이 원래는 있었으나, 하도 휴게실에서 [[담배]]를 많이 피워서 현재 폐쇄되었다. 그래서 현재는 여학생휴게실만 남은 상태. * [[학생증]] 겸 [[체크카드]]를 사용하는데, 그 은행이 2018년까지는 [[하나은행]]이었으며, 2019년부터는 [[KB국민은행]]으로 바뀌었다. 다만, 국제학생증은 여전히 하나은행을 쓴다. * 신입생 OT 때 플래시몹에 의무적으로 참여해야한다. 이에 대해서 왜 강제로 플래시몹을 해야되는가에 대해서 약간의 논란거리는 있기는 하지만, 대강당에서 딱 한 번만 전체로 모여서 추게하는 거라 딱히 참여 안 해도 뭐라하지는 않는다. * 한동안 학교 IP를 통해서 [[NTX 위키]]를 제외한 [[엔하계 위키]] 계열 사이트 접속시에는 로딩이 상당히 느리거나 아예 무한로딩만 되다가 접속이 안 되었던 적이 있었다. 다른 해외 사이트들은 조금 느리긴해도 접속은 잘 되는 편인데 희한하게도 엔하계 위키 계열에 한해서만 접속이 상당히 느리거나 무한로딩만 떴었다. 이후 이 사례를 가지고 학교에 문의했으며, 문의한 이후로는 관리자의 확인 후 다시 접속이 원활하게 되고 있다.[* 사실 동서울대학교의 인터넷 자체가 문제가 있는 편이다. 그나마 예전에는 와이파이라도 신호가 강했으나, 최근들어 와이파이 신호 역시 상당히 약해진 편. 간혹 정말로 말썽인 날에는 공유기 바로 밑에서조차 와이파이가 연결이 안 된다. 재학생 말에 의하면 2018년 2학기부터 인터넷 품질이 상당히 안 좋아졌다고 한다.] * 입구 근처에 동서울대학교 LED간판이 양쪽에 존재하는데 가끔씩 [[서울대학교|'동'이 불이 나가기도 한다.]][* 농담으로 서울대학교 성남캠퍼스 라고 부르는 학생들도 있다.] * 과거 영화 '공즉시색'에서 학교가 나왔다. 극중 학교이름은 신라대학교[* 실제 [[신라대학교]]는 부산에 소재한 4년제 사립대학이다.]. * 학교에 고양이가 3마리 살고 있다. 검은색과 흰색, 갈색이 섞인 고양이 1마리(삼색이)와 갈색 고양이 2마리(한 마리는 뚠뚠이)가 있다. 일단 한 마리의 이름은 '''삼색이'''[* 털 색깔이 3개라서 삼색이]로 주로 불리고 있으며, 학교에서 공식적으로 이름을 지어준 고양이는 '''뚠뚠이'''이다.[[https://youtu.be/LAi6bI3XA14|유튜브 브이로그]] 참고로 삼색이랑 뚠뚠이는 서로 다른 고양이다. 그 외 나머지 한 마리는 정해진 이름이 없고, 소수의 학생들이 '''나비'''라고 부르는 편이다. * 23학년도 총학생회장의 당선으로 20년도 이후 총학생회가 부활하였다. 총학생회 이름은 "동화"이다. * [[2023년]]부터 [[에타]]의 새내기 게시판에 [[신천지]]로 강력히 의심되는 무리들이 '''에타에서 설문조사를 가장한 포교활동'''을 하고 있으니 '''주의'''할 것. ~학회, ~인공지능, ~영화제작사 운운하면서[* 이들이 게시글에서 언급하는 단체는 그 어디에도 나오지 않으며, 댓글로 [[개새끼 해봐|신천지 신도검증]]을 시킬 경우 글삭튀 했다가 몇시간 뒤 다시 같은 글을 올린다.] 설문조사 링크를 남기는데 여기에 '[[사은품]]을 줄테니 [[전화번호]]를 적어달라'고 적혀있다. 정체를 알 수 없는 사람들한테 사은품 하나 받으려고 전화번호를 적는 것은 위험하니 절대 적지 말자. [[분류:동서울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