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해역]][[분류:일본의 해역]][[분류:러시아의 해역]]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뜻, rd1=동해(동음이의어))] [include(틀:다른 뜻1, from=일본해, other1=동해의 표기 문제에 대한 서술, rd1=동해/명칭 문제)]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FortunateMomentousVerdantScale, 합의사항1=일본해 문서를 동해 문서로 리다이렉트, 토론주소2=FortunateMomentousVerdantScale, 합의사항2=동해의 표기 문제에 대한 서술에 대한 내용은 동해/명칭 문제 문서를 참조하라는 내용의 틀을 동해 문서에 표시하기, 토론주소3=UptightDeafeningHaltingBlood, 합의사항3=프로필 표 최상단에 표기되는 언어는 '한국어'(동해) '한자어'(東海) '영어'(East Sea)로 제한한다. 영어 부분에 각주를 추가한다.)] [include(틀:수권 - 바다)] ||<-2>
{{{+2 '''동해'''}}}[br]'''East Sea'''[* 국제적 표기로 일본 외무성은 'Sea of Japan(일본해)' 단독 사용을 제시하고 있으며[[https://www.kr.emb-japan.go.jp/major_policies/maritime/index.html|#]], 대한민국 외교부는 'East Sea(동해)'와 병기를 제시하고 있다. [[https://www.mofa.go.kr/www/wpge/m_3838/contents.do|#]]] | '''東海'''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해.png|width=100%]]}}}|| ##토론 https://namu.wiki/thread/AnUnarmedAndMomentousLook의 합의(예시: '파일:동해일본해병기지도.png')에 따라 상기에 동해, 하기 괄호 안에 일본해가 병기된 지도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000,#ddd 동해의 범위.[* 대한민국의 경우 기관별로 조금씩 다르지만 대개 [[부산광역시]]의 [[오륙도]]를 기점으로 동해와 남해를 구분하며, 국제적으로는 남해는 [[동중국해]]의 일부이고 [[1953년]] 《해양과 바다의 경계》(Limits of Oceans and Seas)에서 제주도 동쪽까지를 동해로 구획한 바 있다.]}}}^^ || ||<-2> ''' 지도'''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East sea of korea&zoom=4, 너비=100%, 높이=100%)]}}}|| || '''위치''' ||[[동아시아]][br]동경 135° 북위 40° 일대 || || '''면적''' ||{{{#000,#ddd 1,007,300 km²}}}[* 대한민국 국립해양조사원, 2021년 확인.] || || '''수심''' ||1,684m {{{-2 (평균)}}}[* 대한민국 국립해양조사원, 2021년 확인.][br]3,742m {{{-2 (최대)}}}[* 일본 홋카이도 오쿠시리지마(奥尻島) 인근 해역.] || || '''염도''' ||33.9 ‰ - 34.3 ‰ {{{-2 (동계)}}}[* 대한민국 해양수산부, 2019.]|| || '''쾨펜의 기후 구분''' ||[[온난 습윤 기후]]{{{#000,#ddd {{{-2 (Cfa, 남부 해안)}}}}}}[br][[서안 해양성 기후]]{{{#000,#ddd {{{-2 (Cfb, 먼 바다)}}}}}}[br][[냉대 습윤 기후]]{{{#000,#ddd {{{-2 (Dfa, Dfb, 북부 해안)}}}}}}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언어별 명칭 펼치기・접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어'''||<:>동해{{{-2 (東海)}}}, 한국동해{{{-2 (韓國東海)}}}[br]조선동해{{{-2 (朝鮮東海, 문화어)}}}|| ||<:>'''영어'''||<:>East Sea[br]Sea of Japan|| ||<:>'''일본어'''||<:>[ruby(日本海, ruby=にほんかい)] · [ruby(日本海, ruby=にっぽんかい)] || ||<:>'''러시아어'''||<:>Японское море|| }}}}}}}}}|| |||| ||[[파일:동해의 위치.png|width=100%]]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동해'''는 [[대한민국]], [[북한]], [[러시아]], [[일본]]에 둘러싸여 있는 [[바다]]이다. [[한반도]]의 동쪽, [[일본 열도]]의 서쪽, 러시아 [[프리모리예 지방]]의 남쪽에 있다. 동해는 크게는 [[서태평양]]의 연안해로 볼 수 있으며, [[동아시아]]의 동쪽에 끝에 위치한다. 전체적으로는 [[육지]]에 둘러싸인 [[내해]]의 형태지만, 대륙으로 완전히 막힌 [[황해]]와 달리 [[태평양]]으로 나가는 해협 길목이 여러 방면으로 트여 있는 바다라 전세계 선박의 주요 항로가 형성되어 있다. 북동쪽으로는 [[쓰가루 해협]]이 있는데, [[서태평양]]과 연결되며 북쪽의 [[타타르 해협]]과 [[라페루즈 해협]] 등을 통해 동절기에는 [[오호츠크 해]]의 [[한류]]성 [[해류]]가 유입되며, 서남쪽으로는 하절기에는 [[대한해협]]을 통하여 [[남해]] 및 [[동중국해]]연결되어 [[남태평양]]의 [[난류]]성 [[해류]]가 유입된다. [[타타르 해협]]이 거의 러시아의 [[영해]]인 점을 제외하고,나머지 동해 해협 전역이 인근 그 나라의 [[영해]]여야 하지만, [[동남아시아]]나 [[중국]] 쪽에서 올라와 [[대한해협]]을 통해 동해를 거쳐서 [[태평양]]을 지나 [[미국]] 등지로 가는 선박을 위해 국제수역으로 못박았기 때문에 한일 양국이 모두 육지에서 3해리씩만 영해로 설정하였다. 이에 제3국 배들도 국제수역을 이용해 자유롭게 통행이 가능하다. 동쪽 끝에 있는 [[쓰가루 해협]]도 일본이 영해를 축소시켜서 선박이 자유로이 지나갈 수 있다. == 특징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해수역.png|width=100%]]}}}|| || {{{#000000,#e5e5e5 동해의 지형.}}} || 전반적으로 깊고 푸르다.[* 누렇고 탁한 물빛의 정반대 위치의 [[황해#s-1|황해]]와 대조적이다. 이로 인해 '청해'(靑海)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평균 수심은 1,530m로, 46m인 황해(서해)나 101m인 남해와는 [[넘사벽]]의 차이. 제일 깊은 지점은 수심 3,742m이며 [[홋카이도]] [[세타나초]] 서쪽 약 140km 지점에 있다. 깊고 맑은 물빛 때문에 한국에서는 [[해수욕장]]으로 단연 인기가 많다. 괜히 [[서울특별시]] 거주자들이 가까운 [[인천광역시]] 놔두고 일부러 멀리 [[강원도]]나 [[부산광역시]]까지 가는 게 아니다.[* [[해양수산부]] 자료에서 [[https://www.kmi.re.kr/web/trebook/view.do?rbsIdx=292&page=3&idx=7|한국인이 많이 찾는 해수욕장 TOP 10]] 중에서 2위인 [[대천해수욕장]]을 제외한 모든 해수욕장이 동해안에 위치해있다.][* 다만 서울 수도권에서 부산까지는 너무 멀기 때문에 주로 강릉으로 동해 보러가고 충청도 이남 사람들이 주로 부산으로 간다.] [[북한]]에서도 [[원산시]] 앞바다 등 동해안 바다가 서해 쪽보다 해수욕장으로 훨씬 인기있다. 또한 한반도의 동쪽에 위치하고 있어서 매년 [[1월 1일]]이 되면 새해 첫 [[일출]]을 보기 위해 동해안 해수욕장에 인파가 붐비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동해 연안[* 일본 입장에서는 서해안이고 '니혼카이가와(日本海側)'라고 부른다.] 지역이 해수욕장으로서의 인기가 없는 것은 아니나, 한국처럼 이쪽으로 몰리지는 않는다. 이는 동해에 면하는 지역이 태평양에 면하는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인프라가 떨어지는 것도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오모테니혼-우라니혼]] 문서를 참조할 것.] 섬나라다보니 굳이 동해 연안이 아니더라도 시코쿠, 킨키라면 세토 내해, 도호쿠, 간토라면 태평양 등 가까운 바다로 가는 경우가 많다. 다만 스쿠버다이빙을 즐기는 이들에게는 동해의 인기가 높다. 물론 니가타, 돗토리 등 아예 동해 연안이 더 가까운 지역 거주자들은 대개 동해로 온다. 동해 [[해저]]지형의 대표적인 특징으로는 심해성 분지와 좁은 [[대륙붕]]들을 들수 있으며, [[황해]]와 상반된 특징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동해의 대륙붕의 폭은 평균 18km로써 남쪽으로는 넓은 남동부 대륙붕까지 연결되고, 북쪽으로는 대한대지까지 연결된다. 동해의 면적은 130만km2이며, 그 중에 대륙붕은 전체의 약 1/5(28만km2)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대륙봉의 용적은 211만km3 이며, 평균수심은 1,543m, 최고수심은 4,049m 이다. [[중국]]은 [[청나라]] 때는 동해가 막혀있지 않았으나, 19세기 [[베이징 조약]]으로 [[외만주]]를 완전히 [[러시아 제국]]에 빼앗겼다. 현대 중국에서 동해에 가장 가까운 지역은 중국-북한-러시아 [[삼합점|3국 국경이 만나는]] [[훈춘시]]인데, 바다에서 불과 15km 떨어진 방천전망대 망해각에 오르면 동해가 보이기 때문에, '잃어버린 바다'를 멀리 바라보기 위해 찾아오는 중국인들의 관광지가 되었다. 난류와 한류가 만나는 조경 수역이 동해 중간쯤에 위치하며, 이 덕분에 어획량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석유]]는 항공유로 쓰이는 초경질유가 [[천연가스]]와 함께 [[울산광역시]] 앞 바다에서 소량 채굴된다. 때문에 흔히 알려진 바와 달리 대한민국은 [[산유국]]이다. [[독도]] 수역 인근에는 [[메탄 하이드레이트]]도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미래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일본이 독도를 탐내는 까닭이 이것 때문이란 의견이 있기도 하다. 대한민국의 지형이 부분적 융기 운동으로 동고서저의 형태를 보이기 때문에 대한민국에 있는 강 중 동해로 유입되는 것은 많지 않다.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강 중 동해로 흐르는 강은 8개뿐이다.[* [[두만강]], [[성천강]], [[남강#s-2|남강]], [[남대천]]([[강릉남대천]], [[양양남대천]] 포함), [[전천(하천)|전천]], [[형산강]], [[태화강]], [[회야강]], [[수영강]], [[왕피천]], [[냉천]], [[좌광천]]. 근데 남대천은 동명의 여러 하천을 동시에 소개하는 문서라 실제로 항목이 있는 강은 14곳이다.] 대한민국 쪽 해안선은 적은 조석간만의 차 등의 이유를 더해 섬이 적고 직선적으로 이어지며, [[갯벌]]이 적고 암석 해안이 많다. 동해안의 단조로운 해안선에서 드문 예외를 꼽자면 북한의 [[동한만]][* 북한에서는 동조선만이라고 부른다. [[흥남]]([[함흥시]])과 [[원산시]]가 있는 부분.]과, 한반도의 [[꼬리]] 부분에 해당하는 [[영일만]]과 [[호미곶]] 부분. 동해와 [[남해]]의 경계에 대해서는 국내외 및 기관에 따라 기준이 상이하지만, [[해양수산부]] 산하 국립해양조사원에서는 [[부산광역시]] [[남구(부산)|남구]]에 있는 [[오륙도]]와 승두말(오륙도에서 가장 가까운 육지)을 잇는 가상의 선을 경계로 채택하고 있으며 대부분 이를 주로 채택하나, 대한민국 해양수산부에서는 1997년 발표한 울산광역시 [[태화강]] 하구와 일본의 [[이즈모]]를 동서로 이은 직선(N 35° 28')을 기준으로 한다. 국립해양조사원 기준으로 하면 [[광안리해수욕장]]을 시작으로, [[해운대해수욕장]], [[송정해수욕장]] 등 부산의 대표적인 해수욕장 대부분도 동해안 해수욕장에 속하지만, 해양수산부의 태화강 하구를 표준으로 잡으면 [[울산광역시]]의 [[진하해수욕장]]까지는 남해로 친다. 다른 공공기관에서는 울산 일대를, 혹은 부산 [[해운대구]]와 [[기장군]], [[동구(부산)|동구]]와 [[영도구]] 의 경계를 동해와 남해의 기준점이라고도 한다.[* 특히 태종대가 유명하기에 오륙도가 아닌 태종대의 동,서를 각각 동해,남해로 알고있는 부산시민도 많은 편이다.] 한국 내에서도 기준이 중구난방이나 이들 기준이 아예 틀렸다고는 하기가 힘든데, 광안리해수욕장은 동해안과 남해안 해수욕장의 특성이 섞여 있으며, 최소한 [[송정해수욕장]]이나 [[일광해수욕장]]은 넘어가야 동해안 해수욕장의 특성이 강해지게 된다. 해파리 역시 최소 [[일광해수욕장]]이나 [[임랑해수욕장]]은 넘어가야 수온차이로 인해 안보이기 시작하니 태화강 하구 기준도 아주 틀린 말도 아니다.[* 동해안이라고 해서 해파리가 아예 없는게 아니지만, 동해안은 서해,남해에 비해 상대적으로 해파리 개체수가 적으며, 독성 해파리 수도 그만큼 적은 편이다. 해파리를 심심치 않게 발견가능한 해운대에서 해수욕을 하다 문무대왕릉이 있는 경주의 봉길해수욕장, 감포읍의 해수욕장들에서 해수욕을 해보자. 사막에서 바늘찾는 정도로 보기 어렵다.] 남해를 동해의 일부로 보는 국제 수로 기구 기준으로는 [[전라남도]] [[진도군]]부터 [[제주도]]의 서쪽 끝을 잇는 선의 동쪽은 동해, 서쪽은 황해로 본다. [[오대양]] (ocean)에 비해서는 작은 바다이지만, 매우 깊고 표층, 중층, 심층이 자체적으로 형성되며 대양순환이라고 불리는 심층수와 표층수의 순환이 있는 등 대양이 가진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다. 대양의 순환은 1000~2000년에 걸쳐 일어나지만 동해에서는 100년 정도의 짧은 기간에 순환이 일어나기 때문에 동해를 연구하면 대양의 특성을 알 수 있다. 또한 육지와 가까워서 연구하기에 매우 수월하며, 남쪽은 아열대 기후대에, 북쪽은 아한대 기후대에 있어서 그야말로 지구 규모 대양의 축소판이다. 이로 인해 세계의 선진국들에서는 동해를 연구하는데 자금과 장비를 투입하고 있다.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로 대양과 생태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동해를 연구해 미리 예측할 수 있다고 한다. 해양학자들 사이에서는 '작은 대양'이라고 불리기도 한다고. 겨울철 [[날씨폭탄]]의 주 형성 지역 중 하나이기도 하다. 동해상의 저기압이 15분의 1 확률로 날씨폭탄으로 진화(?)하게 되며 대부분 [[홋카이도]] 쪽으로 향한다. 이로 인해 [[울릉군]]과 일본의 [[호쿠리쿠]], [[도호쿠]], 홋카이도 지역은 겨울만 되면 폭설이 자주 내린다. 이렇게 일본을 통과한 날씨폭탄은 [[오호츠크해]]와 [[캄차카 반도]]를 지나 [[베링해]] 까지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날씨폭탄은 지나가는 바다에서도 파고 5m 이상의 풍랑을 일으킨다.] == 지질과 자연사 == 동해는 [[신생대]]에 만들어졌다. 본디 일본 열도는 한반도와 붙어 있던 대륙의 일부였으나, 대략 5천만 년 전쯤부터 일본 열도가 분리되면서 한반도와 일본열도 사이의 크게 형성된 분지에 바닷물이 채워져 만들어졌다. 넓이가 넓이인 만큼 오늘날의 동해 모습으로 열리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렸으며 이때 작용한 지질학적 과정이 꽤나 복잡하여 최근에서야 형성 모델이 그 모양새를 갖추어 가고 있다. 동해라는 분지를 만들어내는 열개 구조가 모조리 바닷속에 있는 관계로, 동해 형성을 다루는 연구는 일본열도와 한반도의 연안을 따라 대부분 이뤄져 왔으며 바닷속 암석 조각을 끄집어내거나, 탄성파와 음향 탐사를 실시하거나, 동해 확장 때 만들어진 해산과 섬을 연구하는 방식이 함께 이뤄져 왔다. [[https://ko.wikipedia.org/wiki/%EB%8F%99%ED%95%B4#%ED%98%95%EC%84%B1_%EA%B3%BC%EC%A0%95|위키백과에 이에 대한 정보가 있다.]] 기본적으로 동해는 현재 일본이 위치한 일본 호상 열도(Japan arc)의 배호분지(back-arc basin)의 확장으로 여겨진다. 비록 교과서적으로는 [[섭입대]]는 압축력이 작용한다고 하지만, 사실 많은 화산호 뒤쪽에는 국부적이든 전체적이든 인장력이 작용하고 있다. 예컨대 알프스 충돌대에서도 뒤쪽, 즉 프랑스-독일-체코에 걸친 넓은 지역에 인장력이 작용해 국지적인 열곡 지구대(graben)가 발달했다. 마찬가지로 한반도의 동편도 과거 강한 인장력이 가해지면서 한반도와 일본 열도를 찢었다. 어떻게 찢었는냐에 대해서는 학자들간에 의견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세 분지의 벌어짐이 핵심이다. 가장 북쪽에 놓인, 그리고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일본 분지와, 포항 동쪽에 넓게 펼쳐져 있는 울릉 분지, 그리고 그 너머에 일본 열도 쪽에 붙어 있는 야마토 분지가 그것이다. 일본 분지의 특징은 대칭으로 기록되는 고지자기이며 이 때문에 열개축이 있는 해양 지각 형성 지역이었다고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곳은 대칭적인 쐐기 모양으로 벌어졌다고 생각되며 그 축은 동서 방향으로 놓여 있다. 반면에 울릉 분지와 야마토 분지는 그 북쪽 경계에 줄줄이 늘어선 신생대 화산체들이 나열돼 있는 것이 특징이며 그들의 남쪽으로 깊은 분지가 발달해 있다. 이들 분지의 형성 과정은 아직 모르는 것이 많지만, 남북 방향으로 벌어져 갔다고 생각되고 있다. 지질학적으로 최근에 벌어진 바다임에도 불구하고, 동해는 오늘날 더 이상 확장하지 않는다. 이는 약 1500만 년 전쯤부터 동해 주변의 지구조 환경이 변해 갔기 때문이다. 특히 500만 년 전쯤 되면 한반도와 한반도 동쪽은 완전히 압축력을 받는 지역으로 변모해서, 오늘날 동해는 더 이상 확장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이 변화는 남쪽에서 북상한 필리핀 판이 일본 남쪽에 머리를 들이민 것과, 태평양 판의 섭입각이 낮아지는 현상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을 것이라 추측하고 있다. 비록 1500만 년 전후로 동해의 확장에 제동이 걸렸으나, [[울릉도]]는 5천 년 전까지 화산 활동을 했던 기록이 있으며, 울릉도 주변으로 젊은 화산체(예컨대 독도)와 해산들이 늘어서 있다. 또한 분지들 사이에 놓여 있는 수심이 얕은 지역들은 일본 열도가 떨어져 나갈 때 함께 떨어져 나간 대륙 지각의 파편들에 해당한다. 동해가 열리기 위해서는 다양한 단층대가 필요하며, 실제로 동해 분지 이곳 저곳에 여러 커다란 단층대가 늘어서 있다. 이름이 잘 알려진 물 속의 단층들로는 [[https://ko.wikipedia.org/wiki/%ED%9B%84%ED%8F%AC_%EB%8B%A8%EC%B8%B5|후포 단층]]이나 [[https://ko.wikipedia.org/wiki/%EC%9A%B8%EB%A6%89%EB%B6%84%EC%A7%80|울릉 단층]] 등이 있으며 이들은 대륙 연변부 대륙붕 끄트머리를 따라 남북으로 발달해 있다. 이 단층에서 [[https://ko.wikipedia.org/wiki/%ED%95%9C%EB%B0%98%EB%8F%84%EC%9D%98_%EC%A7%80%EC%A7%84#%EB%8F%99%ED%95%B4|지진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군사적 특성 == 동해는 수심이 깊어서 잠수함이 활동하기에는 최적의 환경이다. 때문에 주변국인 러시아, 중국, 일본, 북한 심지어 미국의 잠수함도 활발히, 은밀하게 동해에서 활동하고 있다. 그 중에는 러시아의 [[아쿨라급]], [[보레이급]] 핵잠수함도 자주 드나들고 있다. 동해는 전세계에서 잠수함 밀도가 제일 높은 곳이다. 잠수함이 가장 많이 활동하는 해역 중 한 곳이다. 동해에서 활동하는 해군으로는 주변국인 대한민국 해군의 1함대와 일본 해상자위대 제3 호위대군 그리고 한일양국에 주둔중인 미 해군의 7함대가 있으며, 러시아 해군의 태평양 함대도 동해까지 남하하는 경우가 있다. == [[/명칭 문제|명칭 문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동해/명칭 문제)] == 관련 문서 == * [[독도]] * [[동해 가스전]] * [[동한 난류]] * [[한반도 동해안]] * [[고래사냥(가요)|고래사냥]][* [[송창식]]의 노래로 유명한 '고래사냥' 의 가사에서 동해가 언급된다. 이 가사의 실제 배경은, [[강원도]] [[양양군]]의 남애항이다.[[https://m.kwnews.co.kr/page/view/2022082314472285227|#]]]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