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대기업)] ||<-2>
{{{+1 '''두나무'''}}}[br]'''Dunamu''' || ||<-2> [[파일:두나무 로고.svg|width=60%]] || ||<-2> [[파일:두나무 로고 영문.svg|width=60%]] || || '''기업명''' ||두나무 주식회사[br]Dunamu Inc.|| || '''설립일''' ||[[2012년]] [[4월 3일]]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4길 14[br](4층, 5층, 14층, 15층) || || '''규모''' ||[[준대기업]]|| || '''이사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33d8d; font-size: 0.75em" {{{#fff '''의장'''}}}}}} 송치형 || || '''경영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33d8d; font-size: 0.75em" {{{#fff '''CEO'''}}}}}} [[이석우(업비트)|이석우]][br]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33d8d; font-size: 0.75em" {{{#fff '''COO'''}}}}}} 정민석[br]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33d8d; font-size: 0.75em" {{{#fff '''CSO'''}}}}}} 임지훈 || || '''상장 거래소''' ||[[비상장 기업]]|| || '''매출''' ||1조 2,194억 원 ^^(2022년)^^[*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31003960|#]]] || || '''영업 이익''' ||8,114억 원 ^^(2022년)^^ || || '''순이익''' ||2,709억 원 ^^(2022년)^^[* 순이익의 25.8%인 700억 원을 배당금 지급에 사용했다.] || || '''부채''' ||3조 9,438억 원 ^^(2023년 6월)^^[*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31003960|#]]] || || '''자본''' ||3조 5,186억 원 ^^(2023년 6월)^^ || || '''고용 인원''' ||596명 ^^(2023년 6월)^^ || || '''링크''' ||[[https://www.dunamu.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post.naver.com/dunamupr|[[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width=20px]]]] | [[https://www.linkedin.com/company/dunamu/|[[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2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두나무는 대한민국의 [[블록체인]] 가상자산거래소 [[업비트]] 및 증권거래 정보 서비스인 [[증권플러스]]를 운영하는 기업이다. 암호화폐 거래소인 [[업비트]]는 가상자산거래 시장점유율 1위를 달리고 있다. 2021년에는 매출 3조 7046억원, 영업이익 3조 2714억원을 기록하며 영업이익률이 무려 88%에 이르렀다. 2012년 설립된 후 10년만인 2022년에 자산총액이 10조원이 넘어서며 [[대기업]]에 지정되었었다. 공정위가 공시대상 기업집단(준대기업)과 상호대출제한 기업집단(대기업)을 나누어 지정한 2017년 이래 준대기업 지정을 건너뛰고 단숨에 대기업으로 지정된 것은 두나무가 첫 사례다. 또한 [[암호화폐]] 기업이 대기업에 지정된 것도 처음이다.[[https://m.mk.co.kr/news/economy/view/2022/04/374573/|#]] 다만 2023년 재계 순위가 지난해 44위에서 61위로 큰 폭으로 떨어져 [[준대기업]]에 지정되었다. 두나무의 경우 고객 예탁금도 자산으로 보는데, 가상자산 시장이 위축되어 고객 예탁금이 감소한 것이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29/0000213589?sid=101|#]] 2022년 12월 기준으로 현금성 자산이 3조 원을 넘길 정도로 유동성이 매우 풍부한 비상장기업이기 때문에 가상자산 시장의 불황이 장기간 이어지지 않는 이상 상장할 가능성은 떨어지는 편이다.[* 여유로운 현금성 자산 덕에 자본 조달이 급한 편이 아니며, 상장시 규제 문턱이 높아지며 투자자들을 위해 매분기 가시적 성과를 보여주어야 하기 때문.] == 지배 구조 == ||
{{{#fff '''주주명'''}}} || {{{#fff '''지분율'''}}} || {{{#fff '''비고'''}}} ||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송치형 || 25.62% || [* 두나무 창립자이자 현직 회장이다. 2022년 81억 원의 보수와 180억 원의 배당금을 수령했다.] ||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김형년 || 13.16% || ||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카카오인베스트먼트]] || 10.62% || [* 업비트 출시 이전인 2013년부터 케이큐브1호벤처투자조합으로 2억 원의 초기 투자를 진행한 뒤 꾸준히 추가 투자하여 지분 20%를 넘겼으나 지분을 매각하기 시작하여 3대주주로 내려섰다.] ||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우리기술투자 || 7.23% || [* 2015년 퀄컴벤처스와 함께 투자했다.] ||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한화투자증권]] || 5.96% || [* 2021년 2월 582억 원에 [[퀄컴]]벤처스의 지분 6.2%를 전량 인수했다.] ||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HYBE|하이브]] || 2.5% || [* 2021년 11월 제3자 유상증자를 통해 지분 2.5%를 5,000억 원에 취득했으며 합작 법인 '레벨스'를 설립하여 [[NFT]] 사업 진출 계획을 밝혔다.] || ||<-3> 2023년 6월 30일 기준[[https://dart.fss.or.kr/navi/searchNavi.do?naviCrpCik=01310241&naviCrpNm=두나무&naviCode=C001|#]] || == 서비스 == * [[업비트]] - [[암호화폐]] 거래소 * [[증권플러스]] - 증권 정보 앱 * [[https://ustockplus.com/|증권플러스 비상장]] - [[비상장 기업]] 거래 서비스 * [[https://apps.apple.com/kr/app/%EC%84%B8%EC%BB%A8%EB%B8%94%EB%A1%9D-%EB%AA%A8%EB%91%90%EC%9D%98-%EB%A9%94%ED%83%80%EB%B2%84%EC%8A%A4/id1594823780|세컨블록]] - [[메타버스]] 서비스이다. == 계열사 == * [[https://www.futurewiz.co.kr/|(주)퓨쳐위즈]] * (주)이지스네트웍스 * 두나무투자일임(주) * 두나무앤파트너스(주) * [[https://www.luniverse.io|람다256(주)]] * (주)디엑스엠 * (주)오토매닉스 * [[http://viver.co.kr|(주)바이버]] [[VIVER]] * (주)르 * 이지스제303호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회사 * [[https://zuzu.network/|(주)코드박스]] * Levvels [[분류:대한민국의 IT 관련 기업]][[분류:대한민국의 기업집단]][[분류:2012년 기업]][[분류:스타트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