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아프리카 연합 의장)] [include(틀:역대 콩고공화국 대통령)]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83021 0%, #363F2E 20%, #363F2E 80%, #283021)" '''[[콩고 공화국|{{{#efbd02 콩고 공화국 제5·7대 대통령}}}]] [br] {{{#efbd02 {{{-1 Army General}}}}}} [br] {{{#efbd02 {{{+1 Denis Sassou Nguess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드니 사수 응게소.jpg|width=100%]]}}} || ||<-2> {{{#fff '''{{{+1 Denis Sassou Nguesso}}}[br]{{{+1 드니 사수 응게소}}}'''}}} || ||<|2> '''{{{#efbd02 출생}}}''' ||[[1943년]] [[11월 23일]] ([age(1943-11-23)]세) ||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 에두[br]([[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width=28]] 現 [[콩고 공화국]]) || || '''{{{#efbd02 학력}}}''' ||Dolisie Normal College {{{-2 ([[졸업]])}}}[* 1960년 졸업.] [br] 셰르셸 장교후보생학교 {{{-2 ([[석사]])}}} || || '''{{{#efbd02 배우자}}}''' ||앙투아네트 사수 응게소 [br] 슬하 3남 8녀 || || '''{{{#efbd02 약력}}}''' ||[[콩고 공화국|콩고 공화국 제5, 7대 대통령]] || || '''{{{#efbd02 재임기간}}}''' ||1기 : [[1979년]] [[2월 8일]] – [[1992년]] [[8월 31일]] [br] 2기 : [[1997년]] [[10월 25일]] – '''현재''' || || '''{{{#efbd02 정당}}}''' ||''' [[콩고 노동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C241F; font-size: .8em" {{{#ffffff '''콩고 노동당'''}}}}}}]]''' || || '''{{{#efbd02 종교}}}''' ||[[가톨릭]] || [목차] [clearfix] == 개요 == [[콩고 공화국]]의 제5, 7대 [[대통령]]이자 [[독재자]]. 현존하는 장기집권자 중 한손에 꼽을 정도로 오랫동안 집권한 [[독재자]]중 하나며 '''39년'''째 집권하고있다. == 상세 == [[1943년]] [[11월 23일]] 출생. 1960년 [[알제리]]에 있는 셰르셸 장교후보생학교[* 본래 프랑스에 있던 생시르 육군사관학교가 나치독일의 점령으로 인해 페쇄되었기 때문에 당시 [[샤를 드골]] 프랑스 대통령은 알제리를 비롯 여러식민지에 사관학교를 세웠다. 그 중 대표적인 사관학교였으며 사수응게소 대통령은 다시 본토로 이전되기 이전 마지막 후보생으로 임관했다.]에 입학하여 중위로 임관하였다. 1977년 당시 콩고 노동당 군사위원회 위원장이었던 [[조아킴 욤비오팡고]] 육군 참모가 대통령이 되면서 부통령직에 올라섰다. 1979년 2월 8일에 쿠데타로 당시 대통령이였던 [[조아킴 욤비오팡고]]를 실각시키고 집권했으며, 1992년 8월 31일에 국민투표를 실시해 재집권을 노렸지만 낙선했다. 이에 응게소 대통령은 물러났지만 5년 후인 1997년 8월 쿠데타를 일으켜 동년 10월 25일에 재집권한 이후 현재에 이르고 있다. 재임기간 동안 외국의 원조금을 포함한 정부의 공금을 빼돌려서 외국 부동산을 사들이기도 했다.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제4대 [[아프리카 연합]] 의장을 지냈다. 의장 시절 비정상적으로 6개월 정도를 더 지내서 의장 선출달이 완전히 바뀌었다. === 장기 집권 === 응게소는 낙선한 기간을 제외하면 실각 전후를 합해 2023년 6월 현재 '''39년'''이나 집권 중이며, 특히 2023년 5월 22일에는 정확히 39년 1개월 20일 동안 집권하여 39년 1개월 19일을 기록한 [[프란시스코 프랑코]]의 기록을 넘기고 역대 최장기 집권 독재자 순위 '''10위'''에 오르게 된다. 실제로 응게소보다 오랜 기간 집권한 현역 독재자는 [[적도 기니]]의 [[테오도로 오비앙 응게마 음바소고]](44년)와 [[카메룬]]의 [[폴 비야]](40년) 2명밖에 없고, 아프리카의 역대 독재자 중에서는 응게마, [[무아마르 카다피]](42년), [[오마르 봉고]](41년), 비야에 이어 5번째로 오래 집권했다. 심지어 [[이승만]](11년 9개월) + [[박정희]](18년 5개월) + [[전두환]](7년 6개월)의 재임 기간(37년 8개월), 즉 '''대한민국의 독재적인 통치 기간 총합'''이 응게소 1명의 통치 기간보다도 짧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통령 및 총통 일람)] [각주] [[분류:1943년 출생]][[분류:아프리카의 독재자]][[분류:콩고 공화국의 군인]][[분류:콩고 공화국 대통령]][[분류:아프리카 연합]][[분류:군인 출신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