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유튜버 보물섬의 콘텐츠 '드립프트', rd1=드립프트, other2=카트라이더 시리즈의 게임, rd2=, rd2_1=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목차] == 개요 == 드리프트(Drift)는 표류나 이동을 의미하는 명사이자 동사다. == 자동차를 미끄러트려 컨트롤하는 기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드리프트(운전))] == 교통에 쓰이는 일종의 조어 == [[철도]], [[고속도로]] 노선이나 [[시내버스]] 노선 중에 '''급격한 커브나 방향전환'''이 있는 경우에 쓰는 조어. 어원은 항목 1이다. 이러한 도로의 선형을 '[[헤어핀#s-5]]'이라고 부른다. 도로가 머리띠처럼 방향 전환이 심한 모양임을 뜻한다. === 철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드리프트/철도)] === 버스 === ==== 서울 ==== * [[서울 버스 402]] * [[서울 버스 8003]] * [[서울 버스 용산01]] * [[서울 버스 종로02]] * [[서울 버스 종로03]] * [[서울 버스 종로05]] * [[서울 버스 TOUR01]] * [[서울 버스 TOUR04]] ==== 부산 ==== * [[부산 버스 186]] * [[부산 버스 190]] * [[부산 버스 203]] * [[부산 버스 22]] * [[부산 버스 38]] * [[부산 버스 40]] * [[부산 버스 52]] * [[부산 버스 70]] * [[부산 버스 86]] * [[부산 버스 87]] * [[부산 버스 금정1]] * [[부산 버스 중구1]] ==== 대구 ==== * [[대구 버스 가창2]] ==== 경기 ==== * [[가평 버스 15-4, 50-4]] * [[가평 버스 15-5, 50-5]] * [[가평 버스 40-2]] * [[가평 버스 74-1, -3]] * [[남양주 버스 330-1]] * [[동두천 버스 60]] * [[양주 버스 16]] * [[연천 버스 39-8]] * [[연천 버스 67]] * [[용인 버스 29-1]] * [[포천 버스 57-1]] * [[포천 버스 87-1]] ==== 경상 ==== * [[문경 버스 80]] * [[칠곡 버스 38]] === 도로 === * --'''대부분의 [[나들목]]'''-- * [[경부고속도로]] [[구미IC|구미 나들목]]과 [[남구미IC|남구미 나들목]] 사이에 90도 드리프트가 존재한다. 특히 서울 방향 도로의 4차로에서 이 드리프트의 각도를 실감할 수 있다. * [[영동고속도로]] [[대관령IC|대관령 나들목]] - [[강릉JC|강릉 분기점]]구간. 지도로 보이듯 선자령을 따라 크게 돌아가는 형태인 탓에 기존 [[경강로]]를 통해 [[대관령]]을 관통하는 것과 소요시간이 별 차이가 안난다. 하나 어쩔 수가 없는 게 그냥 직선으로 고속도로를 만들었다간 대관령의 급경사 때문에 엄청난 롤러코스터가 탄생하기 때문에 선자령을 따라 내려가도록 하여 경사를 줄인 것. 운전자들도 돈을 조금이라도 아끼려 하는 게 아닌 이상 경강로[* 참고로 경강로의 456번 지방도를 포함한 일부 구간은 2001년에 준공한 선형 개량 전에 구 영동고속도로로 쓰였던 곳이다. 이 구간의 구불구불한 선형을 겨우 고친게 현재의 영동고속도로 대관령~강릉 구간 되시겠다.]를 따라 [[이니셜D]]를 찍기 보단 어차피 시간도 거기서 거기겠다 그냥 고속도로를 이용한다. * [[중앙고속도로]] [[http://map.daum.net/?map_type=TYPE_MAP&urlX=863900&urlY=883620&urlLevel=9|예천 드리프트]]가 있다. [[예천군]]의 편의를 위한 결정이었지만 정작 예천에선 [[중부내륙고속도로]]나 중앙고속도로의 [[영주IC|영주 나들목]], [[서안동IC|서안동나들목]]을 더 이용하기 때문에 사실상 쓸모없게 되었고 [[영주시]] - [[안동시]] 간의 소요시간은 증가하고 표정속도[* 국도는 79.4km/h, 고속도로는 70.8km/h이다.]는 하락하게 되었다. * [[호남고속도로]] [[서순천IC|서순천 나들목]] - [[동광주TG|동광주 요금소]] 구간에도 매우 크고 아름답게 돌아가는 드리프트가 존재한다. * [[내부순환로]] *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동명동호IC|동명동호 나들목]] 부근 [[칠곡경대병원역]] 앞 구간은 2022년에 개통한 급커브 구간이다. 거의 v를 뒤로 돌린것 만큼 드리프트가 존재한다. 개통 이후에는 전국의 모든 순환선 중 가장 깊은 드리프트 구간으로 자리잡게 될 것이다. * [[15번 국도]] [[광주광역시|광주]]에서 [[고흥군|고흥]]/[[벌교읍|벌교]] 방향으로 갈 때 전통적으로 이용되던 15번 국도는 지역주민들로부터 희대의 멀미코스로 유명했다. 주암호 호반과 [[순천시]] 송광면, 외서면의 산골짜기를 매우 정직하게(?) 따라가는 흠좀무한 코스. 그래서 도로 사정이 더 열악했던 옛날에는 광주에서 시외버스를 타고 가면 석거리재 정상에서 잠시 쉬게 해줬을 정도. 사평에서 타고 내려오면 서재필공원에서 좌회전하고서부터 [[보성군]] [[벌교읍]]에 이르기까지 무한 드리프트를 체험할 수 있다. 그나마 [[순천시]] 송광면에서 [[보성군]] 벌교읍 구간은 왕복 4차로로 확장되었고 그 악명높았던 석거리재 구간은 터널을 뚫어 예전보다 비교가 안될정도로 선형이 좋아졌다. 2020년 주암면에서 송광면까지 도로도 현재 왕복 4차로로 확장 공사중이며 2027년에 개통 예정이다. * [[17번 국도]] [[곡성군]] - [[순천시]] 구간의 전통적인 17번 국도는 [[구례군]]을 전혀 거치지 않고 [[섬진강]]과 [[전라선]]을 따라 순천시 황전면에서 [[구례구역]] 앞쪽으로 직진하는 선형이었다. 그러나 [[남원시]] - 순천시 구간의 17번 국도 대신 거리가 더 짧고 지형이 상대적으로 평탄한 [[19번 국도]]가 확장되면서 17번 국도의 순천-구례 구간이 19번 국도와 연계 확장되어 두 도로가 구례읍에서 직결되게 되면서 17번 국도의 노선 일부가 변경되어 확장된 도로를 타고 구례읍 북쪽으로 가서 입체 교차로에서 [[18번 국도]]와 합류, 구례읍을 들어갔다 섬진강을 건너 구례구역 앞으로 나와 기존의 17번 국도 곡성방향 도로와 합류하는 [[http://dmaps.kr/95m5y|구례 드리프트]] 구간이 생겼다. * 소태IC 드리프트 광주 [[제2순환도로|제2순환로]]중 가장 심한 드리프트 구간이다. 바로 옆의 소태터널은 400m의 매우 짧은 터널이지만 굴곡이 심해 입구에서 끝이 보이지 않는다. * [[38번 국도]]의 [[정선군]] 고한읍 - [[태백시]] 옛 구간:다음 지도를 이용하여 "두문동재"를 검색해보자. 이니셜D가 현실이 되어 있다. * 기타 [[대관령]], [[한계령]], [[구룡령]], [[미시령]], 성삼재등 고갯길. == [[트랜스포머 시리즈]] == [[드리프트(트랜스포머)]] 문서 참고 == 웹소설 용어 [[장르 이탈/웹소설|장르 드리프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장르 이탈/웹소설)] [[분류:동음이의어]][[분류: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