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HBO/드라마 목록|[[파일:HBO 로고.svg|width=7%]] {{{#000 오리지널}}}]]'''[br]'''{{{+1 디 아이돌}}}''' (2023)[br]'''The Idol''' || ||<-6>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46c12cbf603e4c63897aed974a7d7bc9_345244118_1906199636382487_8730647614748033387_n.jpg|width=100%]]}}} || ||<-2> '''장르''' ||<-4>[[드라마]] || ||<-2> '''방송 기간''' ||<-4>[[2023년]] [[6월 4일]] ~ [[2023년]] [[7월 2일]] || ||<-2> '''방송 횟수''' ||<-4>5부작 || ||<-2> '''채널''' ||<-4>[[HBO|[[파일:HBO 로고.svg|width=40&theme=light]][[파일:HBO 로고 화이트.svg|width=40&theme=dark]]]] || ||<-2> '''제작사''' ||<-4>[[A24]], 브론 크리에이티브, 리틀 램, HBO 엔터테인먼트 || ||<|4> '''제[br]작[br]진''' || '''제작''' ||<-4>[[The Weeknd|에이블 테스페이]], 레자 파힘, 샘 레빈슨 || || '''연출''' ||<-4>샘 레빈슨[* [[유포리아(드라마)|유포리아]]의 연출을 맡기도 했다.] || || '''극본''' ||<-4>[[The Weeknd|에이블 테스페이]], 레자 파힘, 샘 레빈슨 || || '''음악''' ||<-4>[[The Weeknd]], [[Mike Dean]] || ||<-2> '''출연''' ||<-4>[[The Weeknd|에이블 테스페이]], [[릴리로즈 뎁]] ,,외,,|| ||<-2> '''스트리밍''' ||<-4>[[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맥스(스트리밍)|[[파일:맥스 로고.svg|width=70&theme=light]][[파일:맥스 로고 화이트.svg|width=50&theme=dark]]]][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정 || ||<-2> '''[[영상물 등급 제도|{{{#df1a1a 시청 등급}}}]]''' ||<-4>[[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TV-MA'''[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정 || ||<-2> '''링크''' ||<-4>[[https://www.hbo.com/the-ido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https://www.instagram.com/theido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목차] [clearfix] == 개요 == 2023년 6월 4일부터 [[HBO]]에서 방영한 드라마이다. 여러 혹평과 저조한 반응으로 인하여 시즌 1을 끝으로 종영했다. [[https://twitter.com/FilmUpdates/status/1696304193282465888|#]] == 방영 전 정보 == * 2021년 6월 29일, [[The Weeknd|에이블 테스페이]]는 자신이 주연으로 출연할 [[HBO]] 드라마를 레자 파힘, 샘 레빈슨과 함께 제작하고 각본을 공동으로 집필할 예정이라 발표했다. [[https://deadline.com/2021/06/the-weeknd-pop-star-cult-drama-the-idol-sam-levinson-hbo-1234783685/|#]] 또한 애슐리 레빈슨, 조셉 엡스타인이 총괄 프로듀서로 발표되었고, 엡스타인은 각본과 쇼러너도 맡는다고 한다. 그외에도 Mary Laws가 각본과 총괄 프로듀서를, [[The Weeknd|에이블 테스페이]]의 매니저인 와심 슬레이비와 La Mar Taylor도 총괄 프로듀서로 합류했다. [[https://variety.com/2021/tv/news/the-weeknd-cult-series-the-idol-hbo-1235007926/|#]] * 에이미 세이메츠[* 미국 인디 영화쪽에서는 나름 알려진 배우로, 메이저에서는 [[에이리언: 커버넌트]]의 [[매기 패리스]]와 [[기묘한 이야기(미국 드라마)|기묘한 이야기]]로 유명하다. 2012년 Sun Don't Shine으로 감독 데뷔했다.]가 연출을 맡고, 총괄 프로듀서도 맡는다고 한다. [[https://variety.com/2022/tv/news/the-weeknd-hbo-the-idol-1235240109/|#]] * 2021년 9월 29일, [[릴리로즈 뎁]]이 [[The Weeknd|에이블 테스페이]]의 상대역으로 캐스팅되었다. [[https://deadline.com/2021/09/lily-rose-depp-joins-the-weeknd-in-the-idol-drama-series-in-works-at-hbo-1234846863/|#]] * 2021년 11월 22일, 수잔나 손, 스티브 지시스, [[트로이 시반]]이 주연으로 캐스팅되었고, 멜라니 리버드, 엘리자베스 버클리 등 조연들도 캐스팅되었다. [[https://pitchfork.com/news/the-weeknds-hbo-series-the-idol-casts-troye-sivan-and-tv-on-the-radios-tunde-adebimpe/|#]] 얼마 지나지 않아 첫 촬영을 시작했다. * 2021년 12월 2일, 줄리베스 곤잘레스, 마야 에셰, 타이슨 리터 등이 캐스팅되었다. [[https://deadline.com/2021/12/the-idol-hbo-music-industry-drama-series-cast-abel-the-weeknd-tesfaye-lily-rose-depp-1234883757/|#]] * 2022년 4월 25일, 에이미 세이메츠가 프로젝트에서 하차했다. [[https://variety.com/2022/tv/news/the-weeknd-hbo-the-idol-1235240109/|#]] 이미 80% 이상이 완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차한 것인데, 이에 대해 [[HBO]] 측은 "계속 제작 중이며 새로운 관점에 걸맞는 제작진과 배우들이 함께할 예정이다"라고 발표했다. [[https://deadline.com/2022/04/the-idol-director-amy-seimetz-exits-hbo-1235009540/|#]] 또한 캐스팅에 드라마틱한 변화가 있을 거라는 보도가 있었다. 이틀 뒤, 여러 언론에서 주요 배역들 중 일부[* 줄리베스 곤잘레스, 스티브 지시스가 대표적]가 합류하지 않을 것이라는 발표를 냈다. [[https://deadline.com/2022/04/the-idol-hbo-suzanna-son-1235010740/|#]] * 에이미 세이메츠의 하차 이후, 제작자였던 샘 레빈슨이 연출을 맡았다. 또한 이러한 하차 이유에는 제작자인 [[The Weeknd|에이블 테스페이]]가 '컬트적'인 요소들을 덜어내고 싶어했으며, '너무 여성적인 관점에서 제작된 것'에 우려를 표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https://www.indiewire.com/2022/04/the-weeknd-hbo-show-the-idol-sam-levinson-reshoots-1234719394/|#]] 레빈슨으로 연출이 교체된 이후 전면적인 각본의 수정과 재촬영에 들어가면서 그가 맡았던 전작 [[유포리아(드라마)|유포리아]]처럼 성적인 내용들을 비롯하여 나체에 중점을 둔 방향으로 바뀌었다. * 2022년 5월 말에 재촬영이 시작되었고, 7월에 잠시 중단되었다. 9월, [[The Weeknd|에이블 테스페이]]의 콘서트 현장에서 촬영을 하기도 했다. 관객들은 콘서트 시작 전에 촬영 사실을 안내받았다고 한다. * 2022년 7월, 레이첼 세노트, 하리 네프, [[제니(BLACKPINK)|제니]]가 캐스팅되었다. [[https://deadline.com/2022/07/blackpinks-jennie-the-weeknds-the-idol-hbo-series-lily-rose-depp-1235073029/|#]] 이후 8월에 첫 티저 예고편이 공개되며 다른 배역들의 캐스팅도 알려졌다. * 2023년 3월 1일, [[롤링 스톤]]에서 방영이 미뤄지고 있는 이유에 대해 폭로했다. [[https://www.rollingstone.com/tv-movies/tv-movie-features/the-idol-hbo-next-euphoria-torture-porn-the-weeknd-sam-levinson-lily-rose-depp-blackpink-jennie-1234688754/|#]] 이에 대해 주연배우이자 제작자인 [[The Weeknd|에이블 테스페이]]는 트위터에 드라마의 한 장면을 올리며 "(우리가 이런 씬을 찍어서) 화가 난거야?"라고 응수했는데, 반응은 좋지 못하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된 논란 및 사건 사고 문단 참조. * [[제76회 칸 영화제]] 비경쟁 부문에서 에피소드 두 편이 영화 형식으로 공개되었다. [[https://deadline.com/2023/04/cannes-festival-thierry-fremaux-2023-line-up-1235324785/|#]]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5trYh8m1vs)]}}}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4so_R1Htt8)]}}} || || '''공식 예고편''' || '''공식 예고편 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AaNq1txx1E)]}}}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Ivb1skN5BE)]}}} || || '''공식 예고편 3''' || '''공식 예고편 4''' || == 시놉시스 == >After a nervous breakdown derailed Jocelyn’s (Lily-Rose Depp) last tour, she’s determined to claim her rightful status as the greatest and sexiest pop star in America. Her passions are reignited by Tedros (Abel “The Weeknd” Tesfaye), a nightclub impresario with a sordid past. Will her romantic awakening take her to glorious new heights or the deepest and darkest depths of her soul? >---- >신경쇠약으로 지난 투어에서 실패한 후, 조슬린([[릴리로즈 뎁]])은 미국에서 가장 위대하고 섹시한 팝스타의 위치로 발돋움을 결심한다. 그녀의 열정은 지저분한 과거를 가진 나이트클럽 운영자 테드로스([[The Weeknd|아벨 "위켄드" 테스페이]])에 의해 재점화된다. 그녀의 로맨틱한 각성은 그녀에게 영광스럽고 새로운 전성기를 가져다줄까, 아니면 그녀를 내면의 가장 깊고 어두운 곳으로 데려갈까? >---- >출처: [[https://www.hbo.com/the-idol|HBO]] == 등장인물 == === 주연 === * [[릴리로즈 뎁]] - 조셀린 * [[The Weeknd|에이블 테스페이]] - 테드로스 * 수잔나 손 - 클로이 * [[트로이 시반]] - 잰더 * 제인 아담스 - 니키 === 조연 === * [[모제스 섬니]] - 아이작 * 댄 레비 - 벤자민 * [[일라이 로스]] - 앤드류 * 레이첼 세노트 - 레야 * 하리 네프 - 탈리아 * 드바인 조이 랜돌프 - 데스티니 * 램지 - 본인 * [[행크 아자리아]] - 채임 === 특별출연[* 카메오, 게스트 출연 등] === * [[제니(BLACKPINK)|제니]] - 다이앤 * [[알렉사 데미]] - [[유포리아(드라마)/등장인물|매디 페레즈]][* 감독의 [[유포리아(드라마)|전작]] 인기를 캐릭터 그대로 들고왔다.] * [[MIKE DEAN|마이크 딘]] * 칼 글루스만 - 밥 * [[앤 헤이시]][* 배우가 사고로 사망하면서 유작이 되었다.] == 방영목록 == ||<|2> '''EP.''' || '''방영일''' ||<-2> '''제목''' ||<|2> '''링크''' || || '''러닝 타임''' || '''연출''' || '''각본''' || ||<|2> 1 || 2023.06.04 ||<-2> ''Pop Tarts & Rat Tales'' ||<|2> || || 분 || {{{-2 샘 레빈슨}}} || {{{-2 각색: 샘 레빈슨[br]원안: [[The Weeknd|에이블 테스페이]], 레자 파힘, 샘 레빈슨}}} || ||<|2> 2 || 2023.06.11 ||<-2> ''Double Fantasy'' ||<|2> || || 분 || {{{-2 샘 레빈슨}}} || {{{-2 각색: 샘 레빈슨[br]원안: [[The Weeknd|에이블 테스페이]], 샘 레빈슨}}} || ||<|2> 3 || 2023.06.18 ||<-2> ''Daybreak'' ||<|2> || || 분 || {{{-2 샘 레빈슨}}} || {{{-2 각색: 샘 레빈슨[br]원안: [[The Weeknd|에이블 테스페이]], 샘 레빈슨}}} || ||<|2> 4 || 2023.06.25 ||<-2> ''Stars Belong to the World'' ||<|2> || || 분 || {{{-2 샘 레빈슨}}} || {{{-2 각색: 샘 레빈슨[br]원안: [[The Weeknd|에이블 테스페이]], 샘 레빈슨}}} || ||<|2> 5 || 2023.07.02 ||<-2> ''Jocelyn Forever'' ||<|2> || || 분 || {{{-2 샘 레빈슨}}} || {{{-2 각색: 샘 레빈슨[br]원안: [[The Weeknd|에이블 테스페이]], 샘 레빈슨}}} ||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드라마), code=the-idol-2023, critic=24, user=0.4)]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드라마), code=the_idol, tomato=18, popcorn=41)] [include(틀:평가/IMDb, code=tt14954666, user=5.0)]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드라마), code=4746003, user=5.6)] [include(틀:평가/Filmarks(드라마), code=13610/18683, user=3.1)]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5511486, user=3.7)] [include(틀:평가/야후! 키모, code=15304, user=2.6)] [include(틀:평가/왓챠, code=tEqZ8Gv, user=2.0)]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109692, light=, star=)] [[https://www.theguardian.com/tv-and-radio/2023/jul/03/the-idol-finale-review-one-of-the-worst-programmes-ever-made?CMP=twt_a-culture_b-gdnculture|가디언지 리뷰 (★)]] [[https://www.telegraph.co.uk/tv/2023/07/04/the-idol-finale-hbo-review/|텔레그래프지 리뷰 (★)]] [[제76회 칸 영화제]]에서 1,2화가 공개된 이후 평론가들의 평은 대체로 망작이란 반응. 감독의 전작에서 보였던 풍자와 비판은 사라지고 포르노그라피에 가까운 선정성만 남았다는 평들이 많다.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052/0001888671|#]] [[로튼 토마토]]의 경우, 11개의 리뷰에 9%로 시작하며 완전히 망작이란 낙인이 찍혔으며 국내외를 불문하고 조롱을 받고 있다. 이후 27%까지 올랐다가 점점 다시 하락세를 보이며 18%까지 떨어졌다. [[제76회 칸 영화제]]에서 열린 상영회에는 출연진 외에도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의 CEO인 [[데이비드 자슬라브]]도 참석했는데 만족했다는 반응이라 자슬라브는 또 까이고 있다. 주인공인 [[The Weeknd|에이블 테스페이]](위켄드)의 연기력도 많은 혹평을 받았다. 또한 그는 2022년 9월 4일 콘서트 도중 음정이 흔들리다 못해 완전히 목이 나가버려 공연을 중단 및 취소한 적 있었는데, 2023년 5월 24일 인터뷰에서 "당시 이 드라마를 찍으면서 노래할 줄 모르는 [[배역에 과몰입해]] 노래하는 법을 까먹었기 때문이었다"고 밝혀 비난을 받기도 했다. [[https://www.instiz.net/pt/7385348|#1]] [[https://hygall.com/544574014|#2]] [[https://theqoo.net/2835897145|정리글]] == 논란 == 2023년 3월 1일, [[롤링 스톤]]에서 '더 아이돌: [[HBO]]의 다음 '[[유포리아(드라마)|유포리아]]'가 어떻게 '[[고문 포르노]]'가 되었는가'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하며 논란이 시작되었다. [[https://www.rollingstone.com/tv-movies/tv-movie-features/the-idol-hbo-next-euphoria-torture-porn-the-weeknd-sam-levinson-lily-rose-depp-blackpink-jennie-1234688754/|#]] 기사의 주된 내용은 기존 연출자였던 에이미 세이메츠의 하차와 샘 레빈슨의 전면적인 재촬영, 그에 따른 제작지연과 기괴한 스토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래 [[HBO]]에서는 2021년 11월 방영을 목표로 하여 2021년 6월부터 제작을 시작했고, 에이미 세이메츠가 연출을 맡으며 어두운 테마의 심리 스릴러물을 잘 소화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지금까지 만든 세이메츠 감독작은 전부 스릴러/호러였다.] 그러나 세이메츠는 막상 촬영을 시작하자 총체적인 난국에 부딪혔는데 [[롤링 스톤]]과 인터뷰한 정보원들은 '[[HBO]]에서 세이메츠에게 쓰레기를 던져주었다'고 평했다. 기사에서 언급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 저예산+고비용 장소: [[HBO]]에서는 편당 9백만 달러, 총 5천 4백만 달러로 저예산 드라마[* [[유포리아(드라마)|유포리아]]의 경우 시즌 1은 4천 7백만 달러, 시즌 2는 9천 700만 달러, 시즌 3는 1억 1천만 달러의 제작비가 들었다. 게다가 유포리아는 특성상 비싼 장소가 필요한 드라마는 아니었다.]를 요구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촬영장은 값비싼 저택들과 클럽, 스타디움들을 배경으로 하길 원했다고 한다. * 빡빡한 스케줄: 2021년 말에 촬영을 시작하여 2022년 4월에 촬영을 종료했는데, 세이메츠는 [[넷플릭스]]의 드라마 [[스위트 투스: 사슴뿔을 가진 소년]]에 출연할 예정이라 스케줄 조정이 쉽지 않았고, 마지막화는 다른 감독이 연출할 예정이었다고 한다. 그 와중에 [[The Weeknd|에이블 테스페이]]는 7월 초에 월드투어를 앞두고 있었기 때문에 온전하게 촬영에 임하기 어려웠으며, 샘 레빈슨은 드라마 [[유포리아(드라마)|유포리아]] 시즌 2 후반작업으로 자리를 비웠다. * 미완성 각본: 각본도 반 정도만 완성되어 있어서 세이메츠는 [[HBO]]와 제작자들의 권유로 연출과 동시에 각본을 써야 했는데, 초안의 경우에만 20번 이상의 수정을 거치는 등 매일매일 촬영을 할 때마다 각본이 달라졌다고 한다. 흔히 말하는 [[쪽대본]]이었던 셈. 때문에 제작진들은 극심한 피로를 느꼈고, 자신들이 뭘 찍고 있는지조차 모르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한다. 결국 2022년 4월, 에이미 세이메츠는 전체 6부작 중 80%를 완성시키고 마지막 화를 촬영하기 직전에 하차하고 말핬다. 그러나 자발적인 하차라기 보다는 제작자인 [[The Weeknd|에이블 테스페이]]의 결정이 컸다고 한다. 그는 여주인공인 [[릴리로즈 뎁]]의 캐릭터의 비중이 더 크고, 이야기가 너무 '컬트적'이며, '너무 여성적인 관점에서 제작된 것'에 불만을 가졌다고 한다. 그러나 제작진들에 따르면 이야기를 [[The Weeknd|에이블 테스페이]]의 캐릭터를 중심으로 진행 시키기에는 그의 스케줄 때문에 불가능했다고 한다. 상술한 대로 [[The Weeknd|에이블 테스페이]]는 월드투어를 준비 중이었기 때문. 이에 대해 [[롤링 스톤]]과 인터뷰한 제작진들은 드라마가 한 편의 [[고문 포르노]]처럼 느껴졌으며, 세이메츠의 버전에서도 나체와 [[베드신]]이 포함될 예정이었지만 레빈슨이 연출을 맡으며 더욱 심해졌다고 한다. 결국 5월, 샘 레빈슨으로 감독이 교체되고 재촬영에 들어갔을 때, 대다수의 제작진은 합류하지 않았고 배우들도 마찬가지였다. [[HBO]]에서 제작자들에게 모든 걸 일임하고 간섭하지 않았기 때문에, 드라마의 제작 환경도 개선되지 않아 계속해서 [[쪽대본]] 상태로 제작진들은 촬영을 이어나갔고 과로에 시달렸다. 반면에 드라마의 방향성과 각본은 크게 달라졌다고 한다. 결과적으로 제2의 [[유포리아(드라마)|유포리아]]를 만들어내는 데에 너무 많은 시간과 예산[* [[HBO]]의 모회사인 [[워너 브라더스]]가 어마무시한 속도로 수익이 나지 않는 프로젝트들을 폐기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여러모로 대단한 프로젝트이다.]이 투입되었으며, 그런데도 완성도가 보장되지 못하는 작품이 탄생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기사에 따르면 2022년 9월까지도 추가 촬영이 이어졌지만 '''아직도 후반작업이 이뤄지지 않아 최종본이 안 나왔다'''고 한다.] 이 기사에 대해 주연배우이자 제작자인 [[The Weeknd|에이블 테스페이]]는 [[https://twitter.com/theweeknd/status/1631045507471605760|트위터]]에 드라마의 한 장면[* 롤링 스톤의 인스타그램 팔로워 수가 여주인공 조셀린의 팔로워 수보다 낮다며 커버 화보를 찍는 것을 거절하는 씬.]을 올리며 "(우리가 이런 씬을 찍어서) 화가 난거야?"라고 응수했는데, 반응은 좋지 못하다. 2023년 5월, [[제76회 칸 영화제]]에서 1~2화가 상영되며 상술한 폭로기사에서 밝혀진 줄거리가 사실이었음이 밝혀졌다. 현장에서도 반응이 심각하게 좋지 못하여 "드라마 버전의 [[클릭베이트]]"라는 [[https://twitter.com/RaminSetoodeh/status/1660777453483180034|평]]까지 나왔다고 한다. [[https://variety.com/2023/tv/news/the-idol-cannes-weeknd-standing-ovation-lily-rose-depp-nudity-1235621084/|#]] [[https://www.indiewire.com/news/festivals/the-idol-plot-details-revealed-the-weeknd-hbo-show-cannes-1234866422/|#]] == 프로젝트 종료 == 극소수의 긍정적인 지지에도 불구하고 워낙 총체적 난국이었던지라 2023년 8월 28일 HBO에서 [[https://v.daum.net/v/20230829120602941|시즌 제작 무산]]을 통지했다. 부정적인 화제성, 저조한 평점들, 각종 구설과 논란만 남긴 채 끝나게 되었다. == 여담 == * [[BLACKPINK]]의 [[제니(BLACKPINK)|제니]]가 출연한다는 소식이 전해져 화제를 모았다. * [[제76회 칸 영화제]]에서 기립 박수를 5분간 받았는데, 이때 [[제니(BLACKPINK)|제니]]의 손키스 등이 화제가 됐다. [[https://www.news1.kr/articles/?5055160|#]] * 한국 웹 한정으로 제작사에서 돈을 주고 칸 영화제에 상영하게 했다는 루머가 퍼지기도 하였는데 사실무근이며 공식 초청작이 맞다. 해외 유튜버, 블로거 등이 돈을 주고 칸 '레드카펫' 초청권을 구매하여 레드카펫에는 오를 수 있는 사실을 누군가 오해하여 퍼트린 듯하다. 칸 영화제 공식 초청 상영권을 돈주고 사고 파는 것은 어떤 전례도 없다. 일단 칸 영화제가 꾸준히 선호하는 [[A24]][* 2023년 기준으로 현재까지 칸 경쟁부문 본상 수상작만 해도 [[더 랍스터]], [[아메리칸 허니: 방황하는 별의 노래]], [[킬링 디어]], 정오의 별, [[더 존 오브 인터레스트]] 5편을 배출했다.]에서 제작했다는 점과 더불어서 본 드라마는 [[릴리로즈 뎁]] 출연작으로, 칸 구미에 맞는 작품이기에 공식 초청작으로 선정될 당위성은 충분하다. 당해 칸 영화제에 사생활 잡음이 있던 [[조니 뎁]]의 출연작이 영화제 공식 개막작으로 선정된 점, 프랑스 유명 배우 바네사 파라디의 딸인 점 등. 또, 혹평이긴하나 일단 초청작이 화제가 되고 바이럴이 되면 베니스 영화제와 베를린 영화제를 견제해야하는 칸 입장에서는 손해볼 것이 없다.[* 비슷한 사례로 2022년 베니스 영화제 비경쟁으로 초청된 영화 [[돈 워리 달링]]이 있는데, 감독과 배우의 불화가 담긴 영상들이 온라인에서 수백만 조회수를 기록했다.] 경쟁부문에서도 꾸준히 혹평만 받는 감독들을 칸 측이 계속하여 초청하는 사례도 얼마든지 있다. 무엇보다 칸 영화제 집행위원장인 티에리 프리모가 영화제 개막전 진행된 인터뷰에서 본 드라마를 좋게 보았다는 말을 했다. * <디 아이돌>의 저조한 흥행과 2023년 미국 작가·배우 조합의 파업의 영향으로 제작사 BRON은 파산했다.[[https://m.dcinside.com/board/commercial_movie/691486|#]] [[분류:미국 드라마]][[분류:2023년 드라마]][[분류:HBO 오리지널]][[분류: A24]][[분류:The Week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