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페루 대통령]][[분류:페루의 정치인]][[분류:1962년 출생]][[분류:법조인 출신 정치인]] [include(틀:역대 페루 대통령)]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0415, #d91023 20%, #d91023 80%, #b70415)" '''[[페루 대통령|{{{#fff 페루 공화국 제64대 대통령}}}]][br]{{{#fff {{{+1 디나 에르실리아 볼루아르테 세가라}}}[br]Dina Ercilia Boluarte Zegarra}}}'''}}}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디나 볼루아르테.jpg|width=100%]]}}} || ||<|2> {{{#fff '''출생'''}}} ||[[1962년]] [[5월 31일]] ([age(1962-05-31)]세) || ||[[페루]] 찰완카 || || {{{#fff '''국적'''}}} ||[[페루]] [[파일:페루 국기.svg|width=28]] || ||<|4> {{{#fff '''재임기간'''}}} ||제67대 제1부통령 || ||[[2021년]] [[7월 28일]] ~ [[2022년]] [[12월 7일]]|| ||제64대 [[페루 대통령]]|| ||[[2022년]] [[12월 7일]] ~ 현직|| || {{{#fff '''직업'''}}} ||[[정치인]], [[법조인]] || || {{{#fff '''종교'''}}} ||[[가톨릭]] || || {{{#fff '''학력'''}}} ||산 마르틴 데 포레스 대학교 {{{-1 ([[법학]] / [[학사]])}}} || || '''{{{#fff 정당}}}''' ||[include(틀:무소속)][* [[자유 페루]] 소속이었으나 출당되었다.] || || {{{#fff '''약력'''}}} ||개발사회통합부장관 {{{-2 (2021~2022)}}}[br]제67대 제1부통령 {{{-2 (2021~2022)}}}[br]'''제64대 대통령 {{{-2 (2022~현직)}}}'''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ina-boluarte.jpg|width=100%]]}}}|| [[페루]]의 제64대 대통령. 페루의 첫 여성 대통령으로 [[2022년 페루 친위 쿠데타 시도]]로 카스티요 대통령이 파면으로 궐위되며 [[부통령]]으로서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좌파]] 성향으로 본 소속 정당은 [[자유 페루]]였으나 카스티요 대통령이 중도화 및 비리를 문제로 출당되며 같이 출당되어 현재는 [[무소속]]이다. == 생애 == 아푸리막주의 찰완카에서 태어났으며, 산 마르틴 데 포레스 대학교를 졸업하고 법조인으로 활동했다. [[2021년 페루 대통령 선거]]에서 [[페드로 카스티요]] 후보의 러닝메이트로 출마하여 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본래 [[자유 페루]] 소속이었으나 당 지도부에 의해 출당되었다. 그러나 [[2022년 페루 친위 쿠데타 시도]]로 인해 페드로 카스티요가 파면되면서 대통령 직무를 승계하였고 페루의 첫 여성 대통령이 되었다. [[12월 7일]] 취임 후 첫 의회 연설에서 전임 페드로 카스티요 대통령의 친위 쿠데타 시도에 대해 강력하게 비판하고 정치적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통합 정부를 구성할 의지를 천명했다.[[https://edition.cnn.com/2022/12/07/americas/dina-boluarte-profile-intl-latam/index.html|#]] 공식 취임 후 카스티요의 남은 임기 3년 반 동안 대통령으로서의 임무를 수행하겠다고 밝혔으며 새로 선임한 장관들에게 반부패 서약을 요구하는 등 카스티요 전 대통령과 다른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2022년 페루 시위|반정부 시위]]에 나섰던 국민들은 아예 정부 해산 및 조기 총선을 요구하고 있다. 카스티요에 반대했던 시위대 말고 지지 의사를 표명한 시위대도 볼루아르테의 퇴진을 요구하고 있다.[[https://newsis.com/view/?id=NISX20221211_0002118768&cID=10101&pID=10100|#]] 특히, 아푸리막[* 2021년 대선 당시 카스티요 전 대통령은 아푸리막에서 1차 투표에서만 53.4%를 득표하는 압도적인 지지세를 과시했다.]에서는 반란 수준의 폭동으로 커졌으며, 30일 동안 비상사태를 선포했다.[[https://www.swissinfo.ch/spa/per%C3%BA-crisis_gobierno-peruano-declara-el-estado-de-emergencia-en-todo-el-pa%C3%ADs-por-30-d%C3%ADas/48134954|#]] 결국 시위 격화로 경찰과 시위대가 충돌해 청소년 2명이 사망하고 5명이 다치는 사태가 일어나자 요구를 일부 수용해 조기 총선을 추진하기로 했다. 다만 즉각적인 총선을 여는 것은 아니고 2024년 4월로 기존보다 2년 당기는 정도로 조정하는 수준.[[https://www.ytn.co.kr/_ln/0104_202212121917155337|#]] 그러나, 의회에서 조기 총선안이 부결되면서 정국 격량은 이어질 모양새.[[https://m.yna.co.kr/view/AKR20221217004851072?section=international/all|#]] 나중에 2024년 4월로 앞당기기로 했다. 취임 직후 실시된 새 대통령 취임 찬반 여론조사에서 찬성 27% '''반대 71%'''라는 충격적인 결과가 나왔다. [[https://mobile.twitter.com/AmericaElige/status/1604288975082070022|#]] 12월 17일 볼루아르테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사퇴할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47556?sid=104|#]] 2023년 1월 9일. 훌리우카 지역에서 시위에 대응한 경찰에 의해 [[훌리아카 대학살|최소 18명이 사망하고 100명 이상이 부상당한 사건]]이 벌어졌다.[[https://elbuho.pe/2023/01/paro-juliaca-que-sucedio-en-las-inmediaciones-del-aeropuerto-donde-se-produjeron-12-muertes/|#]] 따라서 비판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통령 및 총통 일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