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라오스 국회의 원내 구성)]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라오 인민혁명당 당기.svg|width=100%]]}}} || |||| 당기 || |||| || |||| {{{+5 '''라오 인민혁명당 ''' }}}[br]{{{+2 ພັກປະຊາຊົນປະຕິວັດລາວ}}} || |||| || || '''[[약칭]]''' ||LPRP || || '''[[총비서]]''' ||[[통룬 씨쑬릿]] || || '''창당''' ||[[1955년]] [[3월 22일]] || || '''창당자''' ||[[까이쏜 폼위한|까이썬 폼위한]] || || '''중앙 당사''' ||[[라오스]] [[비엔티안]] || || '''청년조직''' ||라오 인민 혁명 청년단 || || '''[[당군|군사조직]]''' ||[[라오스군|라오 인민군]] || || '''국제조직''' ||[include(틀: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 || || '''당원''' ||348,686명^^([[2021년]] 기준)^^ || || '''[[기관지#s-2|기관지]]''' ||[[http://www.pasaxon.org.la/|빠싸쏜(ຊາຊົນປ)]][* [[라오어]]로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 '''[[국회]]''' ||158석 / 164석 || || '''[[이념]]&정치노선''' ||[[공산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 || '''정치적 스펙트럼''' ||[[극좌]](공식), [[혼합정치]][* 마르크스-레닌주의에 [[자본주의]]적 요소를 첨가했다. 다만 사실상 시장 경제를 수용한 중국과 달리 어디까지나 자본주의적 요소를 도입한 수정공산주의에 가깝다.] || || '''상징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CC0000; border: 1px #6950A1;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D700 빨강 {{{-2 (#CC0000)}}}}}}}}} || [목차] [clearfix] == 개요 == [[라오스]]의 [[공산당]]이다. 모체는 빠텟 라오이며, [[1975년]] 이후 라오스 내의 [[권력]]을 [[독점]]하였다. [[정책]]은 정치국과 당 중앙에서 내리며, [[총비서]] 및 당중앙 위원을 선거하는 [[당대회]]는 5년마다 열린다. 본래는 비서국에 대한 [[선거]]도 이루어졌으나 비서국은 [[1991년]] 폐지되었다. == 역사 == 라오 [[인민혁명당]]은 [[1930년]]에 [[호찌민]]에 의해 세워진 [[인도차이나 공산당]]을 그 모태로 생성되었다. 원래 인도차이나 공산당은 [[베트남인]]들로 이루어졌지만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전역으로 뻗어나가며 [[1936년]] 라오파가 형성되었다. [[1940년대]] 중반 [[라오인]] 당원을 모집하기 위한 [[운동]]이 일어났다. [[1951년]] [[2월]], 인도차이나 공산당은 제2차 대회에서 당의 해산과 [[인도차이나]]의 3국을 대표하는 3개의 당으로 나뉘었다. [[쑤파누웡]] 왕자가 이끄는 빠텟 라오로 알려진 [[독립운동]]이 [[베트남 독립동맹회]]와 연계하여 [[인도차이나 전쟁]]을 치르는 동안 인민당은 [[1955년]] [[3월 22일]] 제1차 대회에서 그 성립을 공식적으로 선언하였으나 여전히 [[비밀]] [[조직]]으로 남아 있었다. 제1차대회는 3~400명 정도의 당원을 대표하는 25명의 대표자들이 참석했다. 인민 당원들은 [[1975년]]까지 빠텟 라오를 통해 활동해왔다. [[1956년]] 빠텟 라오의 분파인 라오스애국전선이 성립, 수 차례의 연립 [[내각]]에 참가하였다. 1960년대 빠텟 라오는 [[미국]]의 지원을 받는 라오스 정부를 대상으로 [[내전]]을 일으켜 북동부 지역을 점령하였다.[[http://www.namimall.kr/board/namimall_info_04/132?page=9|#]] [[1972년]] 2월의 제2차 당 대회에서 라오스 [[인민당]]은 라오스 인민 혁명당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75년]] 봄 빠텟 라오의 [[군대]]가 전국을 장악, 미국의 지원을 받던 기존 정부를 [[1975년]] [[5월]]에 무너뜨리고 라오인민혁명당이 정권을 잡게 되었다. 그리고 [[1975년]] [[12월]]에 이르면 [[왕]]도 폐위시켜 [[인민공화국]]을 선언하게 되었다. 제3차당대회는 [[1982년]]까지 열리지 않고 있었다가 [[1986년]]의 4차, [[1991년]]에 5차 당대회가 열리는 등 4~5년마다 [[당대회]]가 열리고 있다. == 구조 == * 라오스 인민혁명당 중앙위원회 * [[총비서]]: [[통룬 씨쑬릿]] * 라오스 인민혁명당 중앙정치국 * 라오스 중앙국방 및 안전위원회 * 라오스 [[헌법]] * 라오스 인민회의 * 라오스 최고인민재판소 == [[이데올로기]] == 라오 인민혁명당은 [[베트남 공산당]]을 모델로 한 [[마르크스-레닌주의]] [[정당]]이며, [[소련]]과 [[소련 공산당]]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1980년대]]엔 [[미하일 고르바초프]] 서기장의 [[글라스노스트/페레스트로이카|페레스트로이카]] 개방 정책을 [[모델]]로 한 농지 집단화의 포기, [[자본주의]]적 '''요소'''의[* 국가자본주의 논란이 큰 중국과 달리 자본주의로 바꾼게 아니라 어디까지나 자본주의적 요소를 도입한 수정공산주의에 가깝다.] 도입과 국영기업에 대한 통제 감소 등의 경제개혁을 추진했다. 이 경제개혁은 [[1990년대]]에도 계속 진행되었다. 하지만, 라오스 인민혁명당은 [[소비에트]]의 [[글라스노스트]]는 도입하진 않은 상태에서 [[종교의 자유]]를 허용하고, [[일당제]]는 유지하고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공산주의)] [[분류:공산주의 정당]][[분류:반제국주의 정당]][[분류:라오스의 정치]][[분류:1955년 정당]][[분류:독재정당]][[분류: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