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영어 단어 == 살다, 거주하다, 생방송의 등의 용례로 사용된다. == 방송 용어 == 미리 녹음하거나 녹화한 것이 아닌 그 자리에서 행해지는 연주나 방송 따위를 말한다. === [[생방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생방송)] 또한 다음과 같이, 해당 용례가 확장되어 합성어 형태의 일반명사로 사용되고 있다. * [[라이브 커머스]] === 프로그램명 === '생방송'이라는 용례에 걸맞게, 시사프로그램 등에서 프로그램 제목으로 사용되고 있다. * [[KBS 제1라디오]]의 시사 프로그램 [[주진우 라이브]] * [[KBS창원방송총국]]과 [[KBS진주방송국]]의 [[KBS 제1라디오]]의 시사 프로그램 [[라이브 경남]], [[라이브 진주]] * [[KBS 1TV]]의 시사 프로그램 [[일요진단 라이브]] * [[KBS 1TV]]의 시사 프로그램 [[더 라이브]] * [[KBS 2TV]]의 교양 프로그램 [[굿모닝 대한민국 라이브]] * [[JTBC]]의 시사교양 프로그램 [[썰전 라이브]] * [[JTBC]]의 [[JTBC 뉴스룸]] 부속 유튜브 프로그램 [[JTBC 소셜 라이브]] * [[문재인 정부]]의 [[청와대]] 공식 프로그램 [[LIVE 11시 50분 청와대입니다.]] * 일본 [[웨더뉴스]]의 24시간 날씨 프로그램 [[웨더뉴스 LiVE]] * 미국 [[NBC]]의 생방송 코미디 프로그램 [[새터데이 나잇 라이브]]과 그의 국내판 [[SNL 코리아]] === 음악방송의 실황 연주 === 한국에서는 주로 [[립싱크]], [[핸드싱크]]의 반대 개념으로 쓰이며 일본에서는 즉석에서 연주하는 공연, 콘서트를 의미한다.[* 정확히는 클래식 음악의 연주회는 콘서트, 아이돌이나 밴드 음악 등 대중 음악의 연주회는 라이브로 구분하여 사용한다.]([[http://news.kukinews.com/news/article.html?no=293496|소녀시대는 정말 립싱크를 했을까… “AR, MR은 뭐고 LAR, LMR은 뭐야?”]], [[https://www.mk.co.kr/news/entertain/view/2017/08/559494/|음악방송, 라이브로 둔갑한 립싱크 ‘꼼수’]]) ([[https://youtu.be/kRWNBUg873M|라이브의 대표적인 예]]) 현재 대한민국 가요계의 아이돌들은 AR을 바탕으로 노래를 부르며 2010년까지는 완전한 라이브였다. 유튜브에 [[MR 제거]] 영상들이 많이 있는데 댓글들을 보면 'CD를 씹어 먹는다', '음원과 똑같다', '라이브를 잘한다'라는 댓글들이 많다. 하지만 사실은 AR을 바탕으로 한 것이라 완전히 제거가 된 것이 아니며 MR만 제거했을 뿐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완전한 라이브 실력이 드러나지 않는 것'''이다. 다만 래퍼들은 라이브를 못하면 매우 티가 나는 데다가 수익의 대부분이 공연 페이고 많은 메인 스트림 래퍼들이 경연에 참가하거나 [[피처링]] 등으로 무대에 서는 일이 많아져서 이 경우에는 대중들에게도 보여지게 되므로 래퍼들에겐 라이브 실력이 굉장히 중요하다. 트로트 가수의 경우에는 악단 형태의 공연을 많이 하기 때문에 라이브를 많이 하며 오디션 같은 경연 무대에서는 립싱크 방지를 위해서 밴드 형태로 구성한다. 클래식 같은 경우 대부분이 라이브다. 음반 같은 것은 라이브 녹음보다는 스튜디오 녹음이 더 많은데, 음반으로 들었을 때보다 라이브 공연을 들을 경우 훨씬 더 세밀한 부분을 느낄 수 있다. 심장을 울리는 천둥같은 팀파니 소리는 덤. 이 용례의 확장형으로, 이러한 실황 연주 녹음본을 판매하는 [[라이브 앨범]]이 있다. 또한 일본을 중심으로 사용되는 [[라이브 뷰잉]]이라는 서비스가 2010년대부터 성황리에 운영되고 있다. 항목 참조. == 인명, 그룹명 == === 미국의 [[록밴드]] === [[파일:external/static.rateyourmusic.com/1046686.jpg]] Live, 1988년 [[미국]] 펜실베이니아에서 결성되어 2009년까지 활동한 얼터너티브 록 밴드이다. 중학교 장기자랑 대상 밴드 채드 테일러(기타), 패트릭 달헤이머(베이스), 채드 그레이시(드럼)에 에드 코왈칙(보컬)이 가세해서 밴드의 형태가 갖추어졌다. 어린 시절부터 [[R.E.M.]]과 [[U2]]의 팬으로 이들의 영향을 많이 받은 90년대 얼터너티브 음악을 했다. 여기에 동양 철학에 영감을 많이 받은 신비주의적인 가사를 많이 써 얼터너티브 음악신에서 특이한 위치를 차지했다. 1991년 나온 첫 앨범 "Mental Jewelry"는 주목을 받지 못하고 1994년의 "Throwing Copper"가 뒤늦은 히트로 빌보드 앨범 차트 1위를 차지하면서 [[우드스탁]]에도 참가하였다. 이후 나온 앨범 "Secret Samadhi"도 1위를 기록했고, 총 7장의 정규 앨범의 판매고가 전 세계적으로 2000만 장을 넘는 인기를 누렸다. 이름 때문에 인터넷 검색이 가장 힘든 밴드며 이름처럼 라이브를 꽤 잘 했다. 빡빡머리 보컬 에드 코왈칙[* 영화 [[파이트 클럽]]에서 웨이터로 출연한다. 대사는 "Sir, anything you want is free of charge, sir." ]의 카리스마가 압권이다. 2009년 갑작스레 활동중단을 선언했고 곧 라이브 곡들의 저작권 독점을 둔 에드 코왈칙과 나머지 멤버들 간의 갈등이 드러나며 해체는 피할 수 없는 수순이 되었다. 2010년 5월 나머지 세 멤버가 에드 코왈칙을 고소하면서 20년 우정이 [[막장]]으로 치달았다. 이후에 에드 코왈칙이 탈퇴한 이후 [[포스트 그런지]] 성향의 밴드 Unified Theory 출신의 보컬리스트 크리스 신(Chris Shinn)을 영입하여 2014년에 The Turn을 발표했으나 코왈칙의 부재 탓인지 빌보드 차트 133위로 폭망하면서(...)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한다. 그러던 도중에 2017년에 에드 코왈칙이 재가입하였고 오리지널 라인업으로 재결성하여 투어를 나서는 것을 보면 잘 해결된 것으로 보인다. === 래퍼 [[DPR LIVE]]의 옛 예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DPR LIVE)] === [[라비(가수)|라비]]가 설립한 보컬 레이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THE L1VE)] == 캐릭터명 == === [[가면라이더 리바이스]]의 [[2호 라이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가면라이더 라이브)] === [[카타르 월드컵]] 마스코트 라이브(La'eeb)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문단=2.3)] == 영화/드라마/소설 == === 영화 라이브 === [youtube(gGGcdxsBWjM)] 2020년 6월에 개봉했으며 원제는 Line of Duty. [[아론 에크하트]] 배우와 코트니 이튼 배우가 주연한 범죄 추적 액션 영화이다. === tvN 드라마 [[라이브(드라마)|라이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라이브(드라마))] === [[카카오페이지]] 연재 소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더 라이브(소설))] == 음악 == === [[THE iDOLM@STER SP]] 수록곡 [[livE]]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ivE)] === [[카라]]의 미니 6집 [[Day&Night(카라)|Day&Night]] 수록곡 [[Day&Night(카라)#Live|Live]]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Day&Night(카라), 앵커=Live)] == 정보통신 == === 게임계 용어 === 게임 매체에서는 온라인 게임의 경우 모든 개발이 끝나고 정식 서비스가 시작되면서부터를 라이브 서비스라고 부른다. === 소프트웨어 [[Live2D]]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ive2D)] === 도메인 .live === [[도메인#신규 일반 최상위 도메인(New gTLD)|신규 일반 최상위 도메인(New gTLD)]]이며 아카라이브 등이 이 도메인을 사용하고 있다. === 일본의 [[MCN]] [[.LIVE]]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IVE)] === 기기명 === * [[갤럭시 기어 라이브]] * [[갤럭시 버즈 라이브]] [[분류:영어 단어]][[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