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Lahti L-39}}}'''[br]''라티 L-39''}}}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570.jpg|width=100%]]}}}|| || '''종류''' ||[[대전차소총]]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핀란드)]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939년]]~[[1945년]] || || '''개발''' ||아이모 라티 || || '''개발년도''' ||[[1939년]] || || '''생산''' ||VKT || || '''생산년도''' ||[[1940년]]~[[1945년]] || || '''생산수''' ||최대 1,906정 || || '''사용국''' ||[include(틀:국기, 국명=핀란드)] || || '''사용된 전쟁''' ||[[계속전쟁]] || ||<-2> {{{#White '''기종'''}}} || || '''파생형''' ||L-39/44 || ||<-2> {{{#White '''세부사항'''}}} || || '''탄약''' ||[[20mm#s-3|20×138mmB]] || || '''급탄''' ||10발들이 박스탄창 || || '''작동방식''' ||[[가스 작동식]] || || '''총열길이''' ||1300mm || || '''전장''' ||2200mm || || '''중량''' ||49.5kg || || '''발사속도''' ||30RPM || || '''탄속''' ||800m/s || || '''유효사거리''' ||400m || || '''최대사거리''' ||65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external/www.thegunzone.com/lahti.jpg]]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핀란드]]에서 만들어 사용한 [[대전차 소총]]. == 상세 == [youtube(gPhSxDwhTIA)] 이름대로 1939년 [[겨울전쟁]] 때 제작되었다. 자체 성능도 우수하고 핀란드군이 [[전투종족]]이었던 만큼 [[계속전쟁]] 이후로도 2천정 가까이 생산되며 꾸준히 활용되었다. 물론 대전차 소총이 다 그렇듯 전쟁 중기 이후로는 전차들의 장갑이 두꺼워지며 저격용이나 대인용으로 용도변경이 이루어졌다. 이때 등장한 대공용 모델도 있는데 자동사격이 가능해 그냥 [[기관포]]가 되어버렸다. 대공 말고도 '''대저격수 소총'''으로도 쓰였는데, 핀란드군 2명이 1조가 되어 1명이 핀란드군 장교의 모양을 한 디코이를 들어서 소련군 저격수가 디코이를 쏘게 유도하고, 소련군 저격수의 위치를 계산한 뒤에 다른 한 명이 이 총으로 '''저격수와 그 저격수가 끼고 있는 엄폐물을 통째로 박살내는 식'''으로 운용되었다.[* 현대의 [[M107 LRSR]]과 같은 대물저격총들도 강한 파괴력과 사거리를 이용해 비슷하게 운용된다.] 어찌보면 20mm를 썼었기에 가능한 부분. 구경이 구경이니만큼 덩치가 상당히 큰데 소구경의 [[대전차포]]인지 대구경의 대전차 소총인지 구분이 힘들 정도의 물건이다. 탄창 무게만도 2킬로그램에 총 자체의 무게는 50킬로그램 전후에 달하여 평소 운용시에는 말에 달고 끌고 다닐 정도였다. 이는 당시 기술력으로 20mm급 탄을 안정적으로 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무게와 덩치를 키울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며, 같은 구경의 일본군의 [[97식 자동포]]나 [[졸로투른 S-18]]도 비슷하게 무겁고 덩치가 컸다. 또한 20mm탄을 사용하는 덕택에 노리쇠도 매우 커다랗고 육중한데다가 후퇴거리도 매우 길기에 기존의 소총들 처럼 장전손잡이를 당겨서 장전하는 것은 힘든지라 장전법도 기존의 총기들과 매우 다르게 개틀링 건을 사격할때처럼 회전식 장전손잡이를 돌려서 노리쇠를 후퇴시켜 장전을 해줘야 한다. == 미디어에서 등장 == [[앨리슨]] 4권에서 빌헬름 슐츠가 궤도장갑차를 저격하는데 사용한다. 엄밀히 말하자면 지구와 다른 행성이지만 일러스트나 작중묘사로 볼 때 라티 L-39다. [[터미네이터]]의 총포상 장면에서 짧게 등장하고, [[총덕]] 만화 지오브리더스에서도 나온다. [[폴아웃 3]], [[폴아웃: 뉴 베가스]]의 [[가우스 소총(폴아웃 시리즈)|가우스 소총]]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 손잡이, 총열, 총기 우측면의 손잡이를 보면 빼도박도 못 할 라티다. [[특근(2016)|웹툰 특근]] 마지막화에서 박정봉이 [[도철]]에게 죽을 위기에 처한 김효찬과 서기웅을 구하기 위해 잠시 등장한다. 한국만화 [[블랙 코브라]]에서 [[Ka-50|호컴]]을 잡기 위한 비장의 카드로서, 블랙 코브라[* AH-1 코브라의 개조형이다.] 양 옆에 라티 L-39를 달고 나온다. 강력한 위력 때문에[* [[Ka-50|호컴]] 뒤에 있던 건물 입간판들이 뻥뻥 뜷릴 정도이다.] 취급에 애를 먹지만,[* 반동이 커서 기체가 크게 흔들릴 정도이며, 탄약을 재장전하기 위해, 추락하는 척 해서 지상으로 내려온 뒤에 재장전해야 했을 정도로 취급에 애로사항이 많았다.] 그래도 비장의 카드로 달고 온 무장답게 [[Ka-50|호컴]]을 어떻게 격파해내는데에 성공한다. [[워게임: 레드 드래곤]]의 핀란드군 DLC에 라티를 사용하는 화력 지원반 Nostoväki가 등장한다. 라티 자체의 화력은 사거리 내의 보병은 물론 경장갑차량도 쉽게 잡아내지만, 훈련도가 예비군이라 이동속도가 절망적인 게 문제. 여담으로 군복의 모델링이 독일 국방군복과 비슷하게 생긴 2차대전 당시 핀란드 군복이다. [[데빌 메이 크라이 3]]에 [[단테(데빌 메이 크라이)/원거리 무기#s-7|"스파이럴"]]이란 총이 나오는데, 크기와 생김새가 이것과 판박이다. 자세히 보면 완전히 같지만은 않지만, 전반적으로는 제일 닮은 총. == 둘러보기 == [include(틀:2차 세계대전/핀란드 보병장비)] [include(틀:냉전/핀란드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대전차 소총]][[분류:반자동 소총]][[분류:보병 무기/세계 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