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지구의 대륙과 지역)] Lemuria [목차] == 개요 == [[파일:레무리아 위치.jpg]] [[초고대문명설]]에 등장하는 가상의 대륙. [[인도양]]에 위치하고 있으며 [[아프리카]]의 [[마다가스카르]] 섬에서부터 [[인도]]를 거쳐 [[동남아시아]]까지 이어져 있었다고 알려져 있다. 종종 [[태평양]]에 있었다고 알려진 [[무 대륙]]과 혼동되기도 하나 다른 대륙이다. == 상세 == 이름의 유래는 [[여우원숭이]](Lemur)인데, 마다가스카르 섬에 사는 여우 원숭이의 [[화석]]이 인도에서도 발견되자 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두 지역 사이를 이어주는 거대한 대륙이 존재하였다고 주장한 것이었기 때문. 여우 원숭이의 경우처럼 이런 식으로 사이에 바다를 두고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같은 화석이 발견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가상의 대륙의 존재를 가정하는 소위 [[육교]]설이 횡행하였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 [[대륙 이동설]]과 이후 [[판 구조론]]이 정설로 받아들여지면서 사장되었다. 리처드 셰이버라는 [[지구공동설]] 신봉자는 이 대륙이 지구 내부에 존재하고 그 대륙에 데로족(Deros)이라 불리는 초과학 문명을 지닌 사악한 [[렙틸리언]] 종족이 있어 종종 지상에 몰래 올라와 미녀들을 납치해서 [[성노예]]로 삼는가 하면 사람들에게 독전파를 쏘아 정신병을 일으키고 강대국들 간의 군사 충돌을 조장하는 등 만악의 근원이라는 주장을 했었다. 후일 셰이버 본인이 [[조현병]] 환자였음이 밝혀졌다. 인도양에 위치한 가공의 대륙이라는 점에서 인도 [[타밀족]]의 전설에 등장하는 대륙인 [[https://en.wikipedia.org/wiki/Kumari_Kandam|쿠마리 칸담(Kumari Kandam)]]과 엮이기도 한다. == 철학에서 == [[윌리엄 S. 버로스]]의 단편 '마다가스카르의 유령 여우원숭이(The Ghost Lemurs of Madagascar)'에서도 대륙 레무리아가 언급된다. 이 단편에서 등장하는 Lemurs는 여우원숭이가 아니라 기묘한 고대 양서류 존재로 묘사되며, 시간조작을 하는 존재로 나온다. 시간조작을 하는 존재들인 만큼 이들은 [[칸트]]적 선형의 시간 관념을 이상하다고 생각하는 모습을 보인다. 철학자 닉 랜드로 대표되는 CCRU는 [[윌리엄 S. 버로스]]의 이 단편을 자신들의 오컬트적 작업(텍스트 'Lemurian Time War'[* 책 "Ccru Writings 1997–2003"에 실려있는 텍스트로 CCRU의 중요 텍스트 중 하나.])에 활용하였다. 버로스는 우리가 외부(the Outside)에 의해 선형적 시간에 갇히게 되었다고 생각했고 그 선형적 시간으로부터 탈출할 방법을 이 단편을 통해 모색하였다고 CCRU는 보았다.[* 이 방법으로 버로스는 텍스트를 잘라서 랜덤하게 섞어내는 방법을 사용했다.] CCRU는 그 노력을 이어받되 다른 방법론을 모색하였다. 그렇게 선택한 것이 카오스 매직(chaos magick)이다. 카오스 매지션들은 '객관적 현실'의 존재에 의문을 품으며, 이 객관적 현실을 조작할 수 있는 믿음과 테크닉이라면 그것이 [[오컬트]]적인지 아닌지 신경쓰지 않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이들에게는 [[오컬트]]에 등장하는 여러 요소들이 실재하냐 아니면 단지 인간 머리 속 존재이냐는 중요하지 않다.] 즉, 사람들의 세계관을 바꾸거나 어떤 심리적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오컬트적인 것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카오스 매직이다. 이 과정에서 누모그램(numogram)이라는 것을 만들어 냈는데, 이는 유대교 [[카발라]]의 [[세피로트의 나무|생명의 나무]]를 변용한 것이다. 누모그램은 일종의 time map이며 CCRU는 이 누모그램의 Cthelll(zone 9, gate 45에 해당) 자리에 lemur들이 거주한다고 본다. 누모그램은 리무리안 시간 마법(Lemurian time sorcery)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며, 이를 통해 외부(the Outside)[* 외부는 선형적 시간을 넘어선다.]와 소통하고 선형적 시간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한다.[* 닉 랜드는 미래의 사건이 과거의 사건에 인과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본다. 닉 랜드의 기묘하다할만한 인과와 시관 관념에 의거하면 그렇다.] 이상의 내용이 기묘한 헛소리로 들리고 잘 이해가 안 갈 것이다.[* 실제로 CCRU는 작업물을 내는 과정에서 [[메스암페타민]]을 빨고 작업한 것으로 악명이 높다.][* 이러한 이유로 닉 랜드를 포함해 닉 랜드에 영향을 준 [[들뢰즈]]와 같은 후기구조주의 철학 전반에 대해 [[키치]] 철학이라는 비판이 가해지기도 한다.] 그러나 CCRU 그룹은 이후 사변적 실재론 계통의 철학적 운동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들은 오늘날 꽤 영향력 있는 철학자 그룹이 되었다. 또한 닉 랜드는 [[가속주의]]라는 철학적, 정치적 운동의 기원이 되는 인물이기도 하다. == 대중매체에서의 모습 == * [[크툴루 신화]]에서는 [[아틀란티스]]와 함께 [[그레이트 올드 원]]들에게 멸망한다. * [[라피스 : 네오 다크세이버 V2]]의 무대가 되는 대륙이다. [[레무리아 대륙]] 참조. * [[데몬베인]]의 [[필살기]]인 [[레무리아 임팩트]]는 여기서 따왔다. * [[굉굉전대 보우켄쟈]]에서 중반부 주요 소재로 등장한다. * [[Ever17]]의 배경인 [[LeMU]]의 이름과 컨셉은 여기서 따왔다. * [[유희왕/OCG]]에는 [[망각의 도시 레뮤리아]]라는 카드가 나온다. * [[황금의 태양]]에 이것을 모티브로 한 Lemuria란 대륙이 있다. * [[영웅전설]] [[궤적 시리즈]]의 무대인 [[제무리아 대륙]]의 어원이 여기서 따왔다. * [[김진명]]의 괴작 코리아닷컴에 어이없는 인류 최후의 비밀이 나온다... * [[용자 라이딘]]의 주인공 아키라의 모친 이름도 여기서 따왔다. *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에 등장하는 인공위성인 레무리안 스타(Lemurian Star)의 명칭은 여기서 유래했다. * [[차일드 오브 라이트]]의 무대가 여기서 따온 것이며 신화에 등장하는 모든 생명체의 고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 [[용기전승]]에 레무리아 대륙이 등장한다. * [[BOFU2016]]에 올라온 악곡 [[Lemuria]]는 이것이 주제인 악곡이다. * 메카닉 장르 TRPG [[메탈릭 가디언 RPG|메탈릭 가디언]]에서는 태평양에 부상한 대륙의 나라로, 과학 대신 마법이 발달되어 있어 다른 국가와는 다르게 [[마장기|마법으로 운용하는 기체]]를 운용한다. 이 외에도 하이퍼보리아의 습격을 예고하거나 지구에 퍼지는 어비스 오염을 경고하면서도, 연방에 복속되지 않는 상황을 유지하고 있어 흑막 의혹이 돌기도 하는 중. * [[울트라맨 맥스]]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리처드 세이버의 주장에서 모티브를 따온 것으로 보이는 '데로스'라는 지저종족이 등장한다. 지저에서 산다는 점과 이름을 제외하면 원본과는 전혀 딴판으로, 딱히 미녀들을 납치하거나 강대국 간의 갈등을 조장하거나 하지는 않지만, 인류의 활동으로 인해 오존층을 뚫고 유해한 우주광선이 지저까지 들어오자 생존을 위해서 인류 문명을 멸망시키려고 하였다. * 빙하전사 가이스라가 12화에서 이 대륙을 찾기 위해 연구하는 내용이 나온다 * 오스트리아 메탈 밴드 비전스 오브 아틀란티스(Visions of Atlantis)는 이곳을 주제로 하는 노래를 2곡 발표했다. 첫 번째는 2004년 앨범 Cast Away의 Lemuria, 다른 하나는 2018년 앨범 The deep and the dark의 Return to Lemuria. * 컴투스의 게임 [[낚시의신]]의 12번째 대륙으로 등장했다. 등장 물고기들은 모두 환상 속 물고기들이다. * [[몬타나 존스]]의 40화에 레무리아의 숨겨진 유적과 보물이 등장한다. * [[원신]]에서도 [[폰타인]] 건국 [[마신전쟁(원신)|마신전쟁]]에서 주요 세력(레무리아 제국)으로 언급된다. * [[SCP-001/MAMJUL & KORAR]]에선 고대 [[다에바 문명|다에바 언약]]이 있었던 지역으로 나온다. == 기타 == * [[영국령 인도양 지역]]의 표어가 '''"[[제국주의|레무리아는 우리의 것]]"'''이다(...). * 인도양에 있었다가 없어진 소대륙으로 [[모리티아]]가 있지만, 이미 6억 6000만년 전에 지각변동으로 없어졌다. [[분류:초고대문명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