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라틴 문자)] [목차] == 개요 == 언어별 확장 [[로마자]] 목록으로, 확장 로마자가 나오는 텍스트를 입력할 때 유용할 것이다. 이 문서에서 '확장 로마자'는 다음 문자에 속하지 않은 모든 로마자를 말한다. * 대문자: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 소문자: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이 목록은 일반적인 영문 자판([[QWERTY]] 자판) 사용 시 확장 로마자를 한두 글자 입력할 때 이용하기 위해 만든 것이다. 해당 언어를 많이 입력한다면 해당 언어 전용 자판이 효율적이다. 다만 [[키보드 배열#AZERTY|프랑스어 자판]]처럼 자국어에 쓰이는 글자도 제대로 입력하지 못하는 자판도 있다. [[다이어크리틱]](diacritic) 문서도 참고할 것. ※ 복붙을 쉽게 하려면 아래의 각 글자에 링크를 걸지 말고 [[틀:라틴 문자]]에 직접 글자를 추가할 것. == 키보드상 입력 방법 == [[아래아 한글]]을 설치하면 함께 설치되는 한컴 입력기에서는 [[유니코드]]에서 [[https://en.wikipedia.org/wiki/Latin-1_Supplement_(Unicode_block)|Latin-1 Supplement 구획]]에 존재하는 로마자를 입력 가능하다. [[https://en.wikipedia.org/wiki/QWERTY#US-International|US-International]] 키보드를 설치해서도[* [[Windows 10]] 기준 설정에서 시간 및 언어→언어 창에서 영어(미국)을 언어 추가하고 언어 셀을 클릭하면 나오는 옵션에서 미국-국제어 키보드를 선택한다.] 입력 가능하다.[* 사실 특정 언어만 입력할 거면 그 언어의 키보드 배치를 사용해도 되지만, AZERTY나 QWERTZ 배치 대신 익숙한 QWERTY를 사용하거나 여러 언어를 함께 입력하는 등의 경우에 대안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여러 언어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레이아웃이 많이 있다.] 로망스어권(루마니아어 제외), 게르만어권의 언어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외 다른 [[다이어크리틱]](diacritics) 입력을 원할 시 [[http://symbols.typeit.org|이 사이트]] 참고. 이쪽으로 들어가면 symbols에서는 무조건 diacritics만 붙이며 이외에 IPA, 병음 등과 언어별 확장 문자 입력이 가능하다. [[Windows 10]]에서는 [[윈도우 키|{{{Win}}}]]+{{{.}}} 또는 {{{Win}}}+{{{;}}}을 치면 나오는 특수 문자 표에서 입력할 수 있다. 삼성 스마트폰은 English (US) 기준으로 해당하는 기본 문자를 길게 눌러서 입력 가능하다. Gboard는 알파벳[* 영어등 라틴문자를 사용하는 언어에서 가능하나, 알파벳이 가장 많은 확장 문자를 지원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비유럽권 언어에서 사용하는 확장 문자나 마이너한 확장문자는 없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해당 언어 키보드를 사용해야 한다.] 기준으로 기본 문자를 길게 눌러서 입력 가능하다. === 한컴 입력기에서 입력 방법 === 전환 방법은 [[쉬프트|shift]]+[[컨트롤|ctrl]]. 또한 밑의 목록 중에서 shift를 동반해 눌러야 하는 물결부호, 분음부호, 합자 등은 입력되지 않을 수 있으니 주의. 양음 부호(accent aigu): '''ctrl + ''''을 먼저 누른 후 원하는 모음(a, e, i, o, u, y) 입력 억음 부호(accent grave): '''ctrl + `'''을 먼저 누른 후 원하는 모음(a, e, i, o, u) 입력 곡절 부호(accent circumplexe): '''ctrl + shift + 6 (ctrl + ^)'''을 먼저 누른 후 원하는 모음(a, e, i, o, u) 입력 분음 부호(tréma): '''ctrl + shift + ; (ctrl + :)''' 또는 '''ctrl + shift + ' (ctrl + ")'''을 먼저 누른 후 원하는 모음(a, e, i, o, u, y) 입력 물결 부호(tilde): '''ctrl + shift + ` (ctrl + ~)'''을 먼저 누른 후 a, o 입력 합자(ligatures): '''ctrl + shift + 7 (ctrl + &)'''을 먼저 누른 후 a, o 입력 Å: '''ctrl + shift + 2 (ctrl + @)'''을 먼저 누른 후 a 입력 Ø: '''ctrl + /'''을 먼저 누른 후 o 입력 Ç : '''ctrl + ,'''을 먼저 누른 후 c 입력 Ð : '''ctrl + ''''을 먼저 누른 후 d 입력 Ñ : '''ctrl + shift + ` (ctrl + ~)'''을 먼저 누른 후 n 입력 ß : '''ctrl + shift + 7 (ctrl + &)'''을 먼저 누른 후 s 입력 Þ : '''ctrl + shift + \ (ctrl + |)'''을 먼저 누른 후 p 입력(t가 아니다!) ¿ : '''ctrl + shift + / (ctrl + ?)''' 입력 ¡ : '''ctrl + shift + 1 (ctrl + !)''' 입력 === US-International 키보드 입력 방법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2/22/KB_US-International.svg]] 파란색 글자는 AltGr을 누른 상태에서 동시에 입력하면 된다. AltGr은 오른쪽 Alt 또는 Alt+Ctrl로 구현된다. 빨간색 글자는 Dead key라 하여 이 키를 눌렀다 떼고 다음 키를 입력하면 합자가 된다. Dead key에 해당하는 원래 글자는 다음에 스페이스 바를 누르면 원래 글자가 입력된다. 예) * ä: 오른쪽 Alt 또는 Alt+Ctrl을 누른 상태에서 동시에 q 입력, 또는 "를 누르고 다음에 a 입력 * æ: 오른쪽 Alt 또는 Alt+Ctrl을 누른 상태에서 동시에 z 입력 * §: 오른쪽 Alt 또는 Alt+Ctrl을 누른 상태에서 동시에 Shift와 함께 s 입력 * ù: `를 누르고 다음에 u 입력 == [[아프리칸스어]] (af) & [[네덜란드어]] (nl) == [anchor(af)] * 대문자: Á Â É È Ê Ë Î Ï Ô Ö Û IJ(네덜란드어 한정) * 소문자: á â é è ê ë î ï ô ö û ij(네덜란드어 한정) == [[아제르바이잔어]] (az) == [anchor(az)] * 대문자: Ç Ə Ğ İ Ö Ş Ü * 소문자: ç ə ğ ı ö ş ü == [[브르타뉴어]] (br) == [anchor(br)] * 대문자: Ê Ñ Ù * 소문자: ê ñ ù * 기타: ʼ == [[세르보크로아트어]] (sh) == [anchor(sh)] * 대문자: Č Ć Dž Đ Lj Nj Š Ž * 소문자: č ć dž đ lj nj š ž == [[카탈루냐어]] (ca) == * 대문자: À Ç É È Í Ï Ó Ò Ú Ü * 소문자: à ç é è í ï ó ò ú ü == [[체코어]] (cs) == [anchor(cs)] * 대문자: Á Č Ď É Ě Í Ň Ó Ř Š Ť Ú Ů Ý Ž * 소문자: á č ď é ě í ň ó ř š ť ú ů ý ž == [[웨일스어]] (cy) == [anchor(cy)] * 대문자: Á À Â Ä É È Ê Ë Í Ì Î Ï Ó Ò Ô Ö Ú Ù Û Ü Ẃ Ẁ Ŵ Ẅ Ý Ỳ Ŷ Ÿ * 소문자: á à â ä é è ê ë í ì î ï ó ò ô ö ú ù û ü ẃ ẁ ŵ ẅ ý ỳ ŷ ÿ == [[덴마크어]] (da) & [[노르웨이어]](no) == [anchor(da)] * 대문자: Æ Ø Å * 소문자: æ ø å == [[독일어]] (de) == [anchor(de)] * 대문자: Ä Ö Ü ẞ[* 2017년 6월 29일 독일어 정서법 개정으로 대문자 에스체트(ß)가 추가되었다.] * 소문자: ä ö ü ß == [[에스페란토]] (eo) == [anchor(eo)] * 대문자: Ĉ Ĝ Ĥ Ĵ Ŝ Ŭ * 소문자: ĉ ĝ ĥ ĵ ŝ ŭ == [[스페인어]] (es) & [[갈리시아어]] (gl) == [anchor(es-gl)] * 대문자: Á È É Í Ñ Ó Ú Ü * 소문자: á è é í ñ ó ú ü == [[에스토니아어]] (et) == [anchor(et)] * 대문자: Š Ž Õ Ä Ö Ü * 소문자: š ž õ ä ö ü == [[바스크어]] (eu) == [anchor(eu)] * 대문자: Ç Ñ * 소문자: ç ñ == [[스웨덴어]] (sv) & [[핀란드어]] (fi) == [anchor(sv-fi)] * 대문자: Å Ä Ö * 소문자: å ä ö == [[페로어]] (fo) == [anchor(fo)] * 대문자: Á Ð Í Ó Ú Ý Æ Ø * 소문자: á ð í ó ú ý æ ø == [[프랑스어]] (fr) == [anchor(fr)] * 대문자: À Â Æ Ç É È Ê Ë Î Ï Ô Œ Ù Û Ü Ÿ * 소문자: à â æ ç é è ê ë î ï ô œ ù û ü ÿ == [[아일랜드어]] (ga) == [anchor(ga)] * 대문자: Á É Í Ó Ú * 소문자: á é í ó ú == [[스코틀랜드 게일어]] (gd) == [anchor(gd)] * 대문자: À È Ì Ò Ù * 소문자: à è ì ò ù == [[과라니어]] (gn) == [anchor(gn)] * 대문자: Á Ã É Ẽ G̃ Í Ĩ Ñ Ó Õ Ú Ũ Ý Ỹ * 소문자: á ã é ẽ g̃ í ĩ ñ ó õ ú ũ ý ỹ * 기타: ʼ == [[하와이어]] (haw) & [[사모아어]] (sm) == [anchor(haw-sm)] * 대문자: Ā Ē Ī Ō Ū * 소문자: ā ē ī ō ū * 기타: ʻ == [[헝가리어]] (hu) == [anchor(hu)] * 대문자: Á É Í Ó Ö Ő Ú Ü Ű * 소문자: á é í ó ö ő ú ü ű == [[이탈리아어]] (it) == [anchor(it)] * 대문자: À È É Ì Í Î Ò Ó Ù Ú * 소문자: à è é ì í î ò ó ù ú == [[아이슬란드어]] (is) == [anchor(is)] * 대문자: Á Ð É Í Ó Ú Ý Þ Æ Ö * 소문자: á ð é í ó ú ý þ æ ö == [[쿠르드어]] (ku) == [anchor(ku)] * 대문자: Ç Ê Î Ş Û * 소문자: ç ê î ş û == [[룩셈부르크어]] (lb) == [anchor(lb)] * 대문자: Ä É Ë * 소문자: ä é ë == [[리투아니아어]] (lt) == [anchor(lt)] * 대문자: Ą Č Ę Ė Į Š Ų Ū Ž * 소문자: ą č ę ė į š ų ū ž == [[라트비아어]] (lv) == [anchor(lv)] * 대문자: Ā Č Ē Ģ Ī Ķ Ļ Ņ Š Ū Ž * 소문자: ā č ē ģ ī ķ ļ ņ š ū ž == [[마오리어]] (mi) == [anchor(mi)] * 대문자: Ā Ē Ī Ō Ū * 소문자: ā ē ī ō ū == [[몰타어]] (mt) == [anchor(mt)] * 대문자: Ċ Ġ Ħ Ż * 소문자: ċ ġ ħ ż == [[폴란드어]] (pl) == [anchor(pl)] * 대문자: Ą Ć Ę Ł Ń Ó Ś Ź Ż * 소문자: ą ć ę ł ń ó ś ź ż == [[포르투갈어]] (pt) == [anchor(pt)] * 대문자: Á À Â Ã Ç É Ê Í Ó Ò Ô Õ Ú * 소문자: á à â ã ç é ê í ó ò ô õ ú == [[루마니아어]] (ro) == [anchor(ro)] * 대문자: Ă Â Î Ș Ț * 소문자: ă â î ș ț == [[슬로베니아어]] (sl) == [anchor(sl)] * 대문자: Č Š Ž * 소문자: č š ž == [[슬로바키아어]] (sk) == [anchor(sk)] * 대문자: Á Ä Č Ď É Í Ĺ Ľ Ň Ó Ô Ŕ Š Ť Ú Ý Ž * 소문자: á ä č ď é í ĺ ľ ň ó ô ŕ š ť ú ý ž == [[알바니아어]] (sq) == [anchor(sq)] * 대문자: Ç Ë * 소문자: ç ë == [[튀르키예어]] (tr) == [anchor(tr)] * 대문자: Â Ç Ğ İ Î Ö Ş Ü Û * 소문자: â ç ğ ı î ö ş ü û == [[투르크멘어]] (tk) == [anchor(tk)] * 대문자: Ä Ç Ž Ň Ö Ş Ü Ý * 소문자: ä ç ž ň ö ş ü ý == [[베트남어]] (vi) == [anchor(vi)] * 대문자: À Ả à Á Ạ · Ă Ằ Ẳ Ẵ Ắ Ặ ·  Ầ Ẩ Ẫ Ấ Ậ · Đ · È Ẻ Ẽ É Ẹ · Ê Ề Ể Ễ Ế Ệ · Ì Ỉ Ĩ Í Ị · Ò Ỏ Õ Ó Ọ · Ô Ồ Ổ Ỗ Ố Ộ · Ơ Ờ Ở Ỡ Ớ Ợ · Ù Ủ Ũ Ú Ụ · Ư Ừ Ử Ữ Ứ Ự · Ỳ Ỷ Ỹ Ý Ỵ * 소문자: à ả ã á ạ · ă ằ ẳ ẵ ắ ặ · â ầ ẩ ẫ ấ ậ · đ · è ẻ ẽ é ẹ · ê ề ể ễ ế ệ · ì ỉ ĩ í ị · ò ỏ õ ó ọ · ô ồ ổ ỗ ố ộ · ơ ờ ở ỡ ớ ợ · ù ủ ũ ú ụ · ư ừ ử ữ ứ ự · ỳ ỷ ỹ ý ỵ == 로마자 표기법 == [anchor(romanization)]이 문단에서는 기본 문자가 로마자가 아닌 언어의 로마자 표기법에서 확장 로마자가 사용되는 경우를 다룬다. * [[객가어]] (hak): [[백화자(객가어)]] 문서 참고. * [[일본어]] (ja): [[헵번식 로마자 표기법]], [[훈령식 로마자 표기법]], [[일본식 로마자 표기법]] 문서 참고. * [[한국어]] (ko):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문서 참고. * [[민남어]]/[[대만어]] (nan): [[대라병음]], [[백화자(민남어)]] 문서 참고. * [[광동어]] (yue):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광동어]] 참조. * [[표준중국어]] (zh): [[한어병음]],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국어 주음부호 제2식]], [[통용병음]],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관화]] 문서 참고. [[분류:로마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