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로빈 올즈'''}}}[br]'''Robin Old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obin_Olds.jpg|width=100%]]}}} || ||<|2> '''출생''' ||[[1922년]] [[7월 14일]] ||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 || ||<|2> '''사망''' ||[[2007년]] [[8월 6일]] (향년 84세) || ||미국 [[콜로라도]] 스팀보트 스프링즈 || || '''복무''' ||미합중국 육군 항공대[br][[미합중국 공군]](1941~1967)|| || '''최종 계급''' ||[[공군]] [[준장]][* Brigadier General] || || '''주요 이력''' ||미 공군 [[에이스(전투조종사)|에이스 파일럿]] || || '''주요 참전''' ||[[제2차 세계대전]][br][[베트남 전쟁]] || || '''주요 서훈''' ||[[공군 십자훈장|공군 십자 훈장]][br]공군 수훈 근무 훈장 [br]은성 훈장[br]공로 훈장[br]수훈 비행 십자 훈장[br]항공 훈장[br][[공군십자장]][br]전쟁 십자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ol_Robin_Olds_epic_mustache.jpg|width=100%]] || || [[파일:external/www.kunsan.af.mil/110103-F-0000O-004.jpg|width=100%]] || [[파일:external/image2.findagrave.com/19948151_1404351391.jpg|width=100%]] || || 미8전비 홈페이지에서 올려놓은 사진이다. || [[미국공군사관학교]] 생도대장 시절. || '''Robin Olds'''[* 이 성은 태어날 때는 Oldys라고 쓰다가 어릴 적에 집안 사람들이 전부 y자를 빼버렸다.]는 [[미합중국 공군]]의 '''트리플 에이스'''이자, [[미사일 만능주의]]라는 늪에 빠져 허덕이던 [[미군]]에게 [[도그파이트]]의 가치를 일깨운 '''[[명장]]'''. 평생을 현장에 머무르고자 노력한 타고난 투사이기도 하다. == 어릴 적 == 아버지는 [[미합중국 육군]]의 초기 항공부대가 꿈틀거릴 적 전략폭격과 항공력의 중요성을 일깨웠던 '''[[빌리 미첼]] 장군의 [[전속부관]]'''으로 활동하며 훗날 육군항공 소장까지 지내는 로버트 올즈(Robert Olds)였다. 어릴 적부터 미 육군 항공대의 주요 장교단과 어울리던 가족 덕에 인맥의 퀄리티가 참으로 엄청난데, 어릴적 옆집 아저씨 중에는 훗날 '''초대 미 [[공군참모총장]]을 지내는 칼 스패츠 소령'''이 있었고, 미첼 장군이 군법회의에 회부되어 강제 예편당하는 장면을 아버지를 따라 직접 법정에서 목격했다고 한다. 아버지도 자주 복엽기로 로빈을 태우고 비행하며 즐거운 어린 시절을 보낼 수 있었다. 이래저래 어릴 적부터 비행기 조종사의 꿈을 꾸기에 더없이 좋은 환경이었다. 하지만 그 외에 어린 로빈은 [[미식축구]]에도 환장해 있었다. 그것도 그냥 좋아하는게 아니라 [[올 아메리칸]]급으로 잘해서 프로리그 스카우터들이 군침을 흘렸을 정도. 하지만 그는 아버지를 따라 군대에 입대하기로 결심, [[미국육군사관학교]]에 들어가서 풋볼과 비행기 조종을 병행하기로 결심한다. [[버지니아 군사대학]]과 [[다트머스 대학교]]의 미식축구 장학금을 쌩깠다고 하니 대단한 각오를 했던 듯. 하지만 나치 독일의 [[폴란드 침공]] 이후 전투기 조종사로서 일찍 활동하고 싶었던 로빈은 캐나다 공군에 입대한다고 땡깡을 부리기도 했다. 아버지한테 혼나고 얌전히 웨스트포인트에 들어가긴 했다만. 로빈은 웨스트포인트에서 풋볼로 특히 절륜한 활약을 펼쳤는데[* 아예 풋볼 감독까지 다트머스에서 로빈을 데려가려던 그 감독을 모셔왔다. 마침 그 감독도 웨스트포인트 출신이다.], 온갖 풋볼 명문은 죄다 박살내고 [[미국해군사관학교]]를 [[진주만 공습]] 8일 후에 짓밟는 만행을 저질러 악명을 높였다. 전국의 풋볼 스카우트들이 군대 가지 말고 풋볼이나 하자고 계속 꼬시기도 했다고. 다만 '''몰래 술을 홀짝거리다가'''[* 한국 [[육군사관학교]]의 3금제도와 비슷한 금기다.] 대위생도(Cadet Captain)에서 이등병생도(Cadet Private)로 쫙 강등되는 [[흑역사]]도 있긴 했다. 어쨌든 이 시절의 아찔한 흑역사는 훗날 [[미국공군사관학교]] [[생도대장]]이 되었을 때도 훈육에 있어 좋은 경험이 되었다. 이후 전시체제에 들어가면서 미군이 사관생도들을 1년 일찍 임관시킬 때 올즈는 예정대로 항공장교를 지원했다. 이 시절 육사는 상황이 워낙 급했던지라 지상군 지원하는 생도들과 항공 지원하는 생도들을 아예 따로 교육시켰다고. 올즈는 1943년 5월 30일 조종교육을 수료하며 [[헨리 아놀드|햅 아놀드]] 장군에게 배지를 받은 뒤 소위로 임관했다. == [[제2차 세계대전]] : 최후의 [[P-38 라이트닝|라이트닝]] 에이스 == P-38 조종사로 유럽전선에 배치. 1944년 8월 14일 독일군의 [[Fw190]]을 격추하며 첫 격추 기록을 세웠다. 1944년 9월에는 [[P-51]] 머스탱으로 기종을 교체했다. 전쟁이 끝날 때까지 총 12기의 적기를 격추하고 11.5기 지상격파 전과를 올려 [[에이스]] [[파일럿]]의 반열에 올랐다. 1947년에는 인기 여배우 엘라 레인스(Ella Raines)와 결혼했다. [[한국전쟁]] 때는 참전을 지원했으나 부인인 엘라 레인스가--결혼 3년만에 과부가 되고 싶지 않았는지--자신의 인맥을 총동원하여 참전을 막고 [[NATO]] 지역 근무로 발령받게 했으며, 한국전쟁에 참전하지 못한 것을 평생 천추의 한으로 생각했다. == [[베트남 전쟁]] == [[파일:external/www.jqpublicblog.com/Olds.jpg]] 베트남전이 한창 절정을 항해가던 1965년, 주영 미 공군에서 [[F-101]] 비행단을 이끌던 올즈 대령은 펜타곤의 동기로부터 [[준장]] 진급과 본토 발령이 내정됐다는 연락을 받는다. 보통 사람이라면 뛸듯이 기뻐했을 이 소식에 올즈는 오히려 좌절했다. 베트남에서 전투조종사로서 실전을 경험할 방법이 완전히 사라진다는 뜻이었기 때문이다. 죽어도 베트남에서 전투기를 몰고 싶었던 올즈는 딱 군법재판만 안 가면서 징계로 진급이 누락될만한 사고를 하나 궁리해냈는데, 바로 기지 개방 행사 때 방문객들 앞에서 F-101으로는 시도도 말아야 할 위험천만한 곡예비행을 벌여버리는 것이었다. 초저공 4방향 교차라는 정신나간 기동으로 마무리 된 이 비행을 직접 보고 꼭지가 돌아버린 지역 사령관(2성 장군)은 그를 불러다 길길이 날뛰며 원래 당사자에겐 보여줘서도 안 되는 진급 추천서를 들이민 뒤 눈앞에서 찢어버렸고, 계획된 목적을 완벽하게 달성한 올즈는 너무나 기쁜 나머지 '''"감사합니다!"'''라고 우렁차게 외쳤다고 한다. 그리고 1966년 10월 30일, [[F-4 팬텀 II|F-4]]로 기종전환을 마친 로빈 올즈 대령은 드디어 태국 우봉 공군기지에 주둔한 제8전투비행단의 단장으로 부임하여 그토록 염원하던 베트남 전쟁 참전을 시작한다. >올즈가 들어오던 첫 날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해요. 그 사람은 이렇게 말했죠. "난 이번에 새로 왔다. 지금부터 너희들을 가르칠텐데, '''난 여기있는 누구보다도 뛰어나다'''"며 우리를 하나씩 하나씩 손가락으로 가리켰어요. 훈련내용은 개선됐고, 비로소 진짜 '전투비행단'이 됐죠. >-히스토리 채널, <실전최강 전투기대전> 볼로작전 中. 베트남전 당시 허접하다고 얕봤던 북베트남군의 [[MiG-17]], [[MiG-21]]이 의외로 뛰어난 고기동성을 이용해 크고 빠른 대신 둔중하고 [[미사일 만능주의]]에 빠져 기관포도 없던 미군의 [[F-4 팬텀 II|F-4]]를 농락하자 북베트남군의 약점은 소련식의 경직된 지상관제 체제임을 간파하여 크게 한방을 먹여주니 그게 바로 [[볼로 작전]]이다. 자세한 설명은 해당 문서를 참조. || [[파일:F-4_USAF_15.jpg|width=100%]] || || F-4C-21-MC 일련번호 63-7680[br]미합중국 태평양공군사령부 제13공군, 제8전투비행단, 433 전술전투비행대대 태국, 우본 왕립 태국 공군기지[br]1972년 5월 10일 MiG-17 2기, MiG-21 2기 격추 || 본인도 이 전쟁에서 MiG-21 2기, MiG-17 2기를 격추해 총 4기의 격추 스코어를 올렸다. 참고로 이중 1967년 5월 4일 격추한 [[MiG-21]]은 후일 베트남 공군 최고 에이스에 등극하는 [[응우옌반꼭]]의 기체였다. 사실 1기만 더 격추하면 [[스티브 리치]] 대위보다 먼저 베트남전에서 미 공군 최초의 [[에이스]]가 될수 있었는데, 동료 조종사들의 증언에 따르면 에이스가 되면 나이도 많고 해서 본토로 전출될까봐 일부러 5기째의 격추를 피하고 윙맨에게 격추 기회를 양보해줬다고 한다. --[[어뷰징]]-- --킬수[[주작]]-- 이처럼 그의 눈물나는 현역생활 연장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어느 사이에 그 실력이 상층부의 귀에 들어가버려 본인에겐 안타깝지만(...) 1967년 9월에 본토로 전출되어 [[준장]]으로 진급~~당~~하고 [[미국공군사관학교]] 생도대장으로 발령났다. 사실 본토 발령 직전에 격추 기회가 한 번 더 있었는데, 베트남을 떠나는 것도 확정됐겠다 더는 전과를 양보할 필요가 없던 올즈 본인이 이번에는 직접 미그를 잡으려고 들어갔지만 그 악명높은 [[AIM-4 팰콘]]이 또 죄다 오작동을 일으키는 바람에 베트남 최초의 에이스 타이틀 획득은 수포로 돌아갔다. [[1972년]]에 베트남전 최후의 대규모 항공작전인 [[라인배커 작전]]이 발동되자, 자신의 계급을 대령으로 자진 강등하고서라도 일선으로 돌아가고자 청원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더 이상 파일럿으로 활동할 수 없다는 사실에 실망하여 1973년에 퇴역했다. 2007년 7월 14일 향년 84세로 별세했다. == 기타 == * 탁월한 조종 실력, 활달하고 적극적인 성적에 훈련병 시절부터 시작해 현역으로 있는 내내 사고를 치며 좌천을 받는 행적 등이 여러모로 [[탑건(영화)|탑건]]의 주인공 [[매버릭]]을 연상시킨다. 특히, 후속작 [[탑건: 매버릭]]에서 '''동기인 [[톰 카잔스키|아이스맨]]이 [[대장(계급)|대장]] 계급을 달고 [[미합중국 태평양함대]]의 사령관을 지내는 와중에도'''[* 올즈에게도 비슷한 동료가 한 명 있다. 흑인 최초의 공군 대장이 된 [[대니얼 제임스 주니어|대니얼 "채피" 제임스 주니어]] 장군으로, 무척 죽이 잘 맞는 사이였다고 한다. 펜타곤 근무 시절 만나 주영 미공군에 부단장으로 데려갔고, 베트남전 때도 마찬가지로 부단장으로 불러내서 볼로 작전에서 함께 싸웠다.] 정작 자신은 '''계속해서 비행을 하기 위해 [[대령]] 위로는 진급하지 않는 행적을 보여''' 더욱 유사해졌다. * [[롤링썬더 작전]] 시기에는 기관포가 고정무장으로 탑재되지 않은 F-4C/D의 보완책으로 20mm 기관포 포드를 운용하자는 의견이 많았는데, 올즈 대령 본인은 이를 그다지 반기지 않는 입장이었다. 애초에 공중전투기동 및 공대공 전술 훈련이 극히 부실했던 당시의 미 공군 교육훈련 체제 자체가 근본적인 원인이고,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 달랑 기관포 포드만 던져줬다간 멋모르는 젊은 조종사들이 팬텀에게 불리한 선회전으로 [[MiG-17]]과 붙어볼 유혹만 늘릴 뿐이라는 게 그의 시각이었다. 그래서 가장 적극적으로 기관포 포드 도입을 주장하던 프레드릭 블레세(Frederick Blesse) 대령[* 이쪽도 한국전쟁 당시 [[F-86 세이버]]로 10기를 격추한 더블 에이스다.]이 근무한 제366전투비행단이 기관포 포드를 먼저 운용하는 동안 제8전투비행단은 기관포 포드 대신 미사일을 주로 사용했다. 제366전투비행단은 SUU-16/A 기관포 포드 도입 겨우 한 달만에 4기의 미그 건킬(gun kill) 전과를 올리면서 그 유용성을 입증했지만, 궁극적으로 기관포의 유무보다 교육훈련의 내실이 훨씬 더 중요하다는 올즈 대령의 주장 역시 옳았던 것으로 판명되었다. 1972년 [[라인배커 작전]]에서 기술적 요인에 집착한 미 공군과 [[탑건]]으로 대표되는 교육훈련 및 전술적 요소를 강조한 미 해군의 공대공 전투 성과를 비교해봤을 때 후자가 훨씬 뛰어났던 것이다. 특히 기관포를 거의 운용하지 않은 미 해군 팬텀 특성상 해군항공대 격추 전과는 모두 미사일에 의한 것이었다. [[분류:미국의 군인]] [[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 [[분류:베트남 전쟁/군인]] [[분류:1922년 출생]] [[분류:2007년 사망]][[분류:에이스 파일럿]] [[분류:호놀룰루 출신 인물]] [[분류:미국육군사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