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 '''Reuters'''}}}[br]로이터 || ||<-2> [[파일:Reuters_Logo(2).svg|width=300]] || || '''국가''' ||[[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영국]]|| || '''창립''' ||[[1851년]] [[10월]] ([age(1851-10-01)]주년) || || '''편집장''' ||알레산드라 갈로니|| ||<|2> '''본사''' ||[[영국]] [[런던]] 카나리 워프||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영국 E14 5AJ 런던, 너비=100%)]}}}|| ||<-2> [[https://www.reuters.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홈 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뉴스]] [[통신사(언론)|통신사]]. 1851년 10월 설립되어 세계에서 매우 오래된 뉴스 통신사 중 한 곳이다. 로이터 통신이라고도 알려져있다. [[AP통신]], [[AFP]]와 함께 세계적으로 매우 영향력 있는 국제 뉴스 통신사로 꼽힌다. == 역사 == 파울 율리우스 로이터(Paul Julius Reuter)에 의해 창립되었다. [[1849년]] [[독일]]의 [[아헨]]에서 통신사를 차렸다가, [[1851년]] [[런던]]으로 이전해서 재창립한 것이 현대 로이터의 기원이다. [[19세기]]부터 본격적으로 뉴스 및 [[신문]]사업이 활발해지자 이 신문사들이 기자들을 다 데리고 있는 것은 비효율적이었고, 이에 통신사를 창립하자는 목소리가 나온다. 게다가 마침 [[영국]]에서 세계 최초의 만국[[박람회]]인 [[엑스포]], 즉 [[1851 런던 엑스포]]를 개최하자 영국에서 뻗어나가는 뉴스 공급이 필요했다. 결국 로이터가 이를 눈치채고 [[독일]]에서 영국으로 귀국하여 [[1851년]] 10월 로이터를 세운다. [[1851 런던 엑스포]] 폐막일이 [[1851년]] [[10월 15일]]인데 로이터 창립은 런던 엑스포 폐막 직전이었다. 이후 [[대영제국]]을 상징하는 통신사로 급성장하여, [[1880년대]] [[영국]]과 [[유럽]] 대륙을 잇기 위해 세계 최초로 해저 전신망을 부설하였다. 그래서 [[20세기]] 들어서자마자 세계 최대의 통신사가 되었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자 로이터의 독점도 서서히 끝나가는데, 영국 내에서 지방신문들이 연합해서 통신사를 세운 것이다. 그래도 로이터는 계속 영국 최대의 통신사로 [[제2차 세계 대전]]까지 세계 최대 규모를 유지했다. 그러나 2차대전 결과 영국도 [[식민지]]를 독립시키게 되면서 로이터는 점차 사세가 약해졌고, 세계 최대 통신사라는 지위도 [[미국]] [[AP통신]]한테 빼앗겼다. [[2007년]] [[캐나다]]의 톰슨 코퍼레이션한테 인수되었다. 이후 로이터는 사업회사와 [[지주회사]]를 분할하여 지주회사 로이터는 톰슨 코퍼레이션과 합병하여 톰슨 로이터가 되었다. (사실상 톰슨 코퍼레이션이 로이터를 사버림.) == 현황 == 세계 최대였던 통신사답게 영향력을 무시 못한다. 전 세계 각지에 기자들을 상주시켜 각종 세계 정보를 빠르게 유통한다. [[한국]]으로 치면 [[연합뉴스]]와 비슷한데 연합뉴스의 상위호환이다. 애당초 로이터가 통신사의 사업모델을 만든 곳이기도 하고. 로이터에 소속된 기자 수는 1만 명 이상으로, [[블룸버그]]의 기자 수와 비슷하다. 그러나 AP의 기자 수보다는 적다. 블룸버그처럼 증권가에서 유명한 로이터 단말기를 판매하는 걸로 유명하다. 흔히 로과장, 블대리로 불릴 정도로 트레이더들에겐 친숙한 존재이다. == 기타 == [[분류:뉴스통신사업자]][[분류:영국의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