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철학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1890년 출생]][[분류:1981년 사망]][[분류:경신고등학교(서울) 출신]][[분류:오산고등학교(서울) 출신]] |||| [[파일:류영모.png|width=100%]]|| || '''성명''' ||류영모(柳永模)[* 두음법칙이 적용된 유영모로 알려진 경우가 많다.] || || '''호''' ||다석(多夕) || || '''출생''' ||[[1890년]] [[3월 13일]][br][[조선]] [[한성부]] || || '''사망''' ||[[1981년]] [[2월 3일]] (향년 90세)[br][[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구기동]] 자택 || || '''학력''' ||수하동 소학교 {{{-1 (중퇴)}}}[br]경성일어학당 {{{-1 (졸업) }}}[br][[경신고등학교(서울)|경신학교]] {{{-1 (명예졸업) }}}[* 아래 후술할 사건으로 인해 졸업장을 받지 못하였다. 사후 명예졸업장을 받게 된다.][br][[도쿄이과대학|도쿄 물리학교]] {{{-1 (수료)}}} || || '''약력''' ||양평학교 교사[br][[오산학교]] 교사[br][[오산학교]] 교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의 [[개신교]] 사상가, 교육자, 철학자. 최초로 [[노자]]의 [[도덕경]][* 류영모의 도덕경 번역 제목은 '늙은이'였다.]을 국역한 사람으로 유명하다. == 생애 == 1890년 3월 13일 [[서울]] [[숭례문]] 인근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에는 서당에서 [[한문]]을 수학하였다. 잠시 소학교에서도 2년만 수학하다가 다시 서당에서 한문을 공부했다. 15세에 [[개신교]]에 입문하여 연동교회에 다녔고 경성일어학당에 입학하여 일본어를 공부했다. 이후 1907년 서울 [[경신고등학교(서울)|경신학교]]에 입학하여 공부하였다. 1909년 경신학교 졸업시험이 있었고 36명 졸업생 가운데 [[수석|수석졸업]]을 할 예정이었으나 교장서리를 맡고 있는 레이너가 기존 교사들을 퇴임시키고 새로운 교사를 뽑는 것에 반대하여 동기들과 졸업장 받기를 거부했다. 결국 그 해 [[경신학교]] 졸업생은 14명뿐이었다.[* 그의 사후인 2011년, [[경신고등학교(서울)|경신고등학교]]는 104회 졸업식에 즈음하여 류영모 선생에게 명예졸업장을 수여한다.] 경신학교 졸업 거부 후 양평학교 교사를 잠시 맡게 되었으나 1910년 [[이승훈(1864)|이승훈]]의 초빙을 받아 [[오산학교]] 교사로 2년간 근무하였다. 1912년 일본 도쿄에 가서 [[도쿄이과대학|도쿄 물리학교]]에 입학하여 수학하던 중 신앙에 대한 깨달음으로 출세를 멀리하자는 결심을 하여 1년만에 유학생활을 접고 조선으로 귀국했다. 1914년부터 [[최남선]]과 교류하면서 여러 잡지에 철학적인 글을 기고했다. 1915년에 김효정과 결혼하였다. 1919년 [[3.1 운동]] 때 이승훈이 3.1 운동 거사 자금으로 모은 돈 6000원을 보관하다가 발각되었으나 아버지가 경영하는 경성피혁에 보관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의 아버지가 대신 체포되었다. 1921년부터 1922년까지 [[조만식]]의 후임으로 [[오산학교]] 교장을 지냈다. 1942년 성서조선사건에 언루되어 종로경찰서에 구금되어 57일 만에 풀려나기도 하였다. 그리스도교에 입교하기도 하였으나 톨스토이[* 1980년 톨스토이를 본받아 객사하기 위해 가출하였다가 순경에게 업혀 돌아온 적이 있다.]와 노자를 공부하면서 무종교주의적인 입장으로 전향하였다. 1955년 자신이 1956년 4월 26일 사망한다 예언을 하고 다석일지 4권을 집필하였다. 1959년 [[노자]]의 [[도덕경]]을 '늙은이'라는 제목으로 최초로 국역하였다. 1981년 2월 3일 18시 30분에 자택에서 사망하였다. == 사후 == 2005년 류영모를 기리기 위해 다석사상연구회와 다석학회가 설립되었다. == 여담 == * 독립운동가이자 사학자인 [[함석헌]]의 스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