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afbase.com/IMGP7813.jpg|width=580]] [[F-5]] [[전투기]]에 장착된 M39A3 [[20mm]] 리볼버 기관포. 사진의 항공기는 KF-5 제공호가 아니고 미국에서 제작된 F-5 항공기이다. (AOA 감지기 위치가 반대) [목차] == 개요 ==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독일]]의 총기 제작회사 [[마우저]]는 MG213이란 [[기관포]]를 개발했으나, 너무 늦게 개발한 나머지 이 기관포를 실험만 해보고 생산까진 하지 못했다. [[파일:attachment/MG213.jpg|width=100%]] MG213의 간단한 개요도. 2차 대전 당시에는 이미 다양한 20mm 기관포가 있었으나, MG213의 구조는 독특했다. 이 기관포는 마치 [[리볼버]] 방식의 [[권총]]처럼 약실이 여러 개 있었으며 이것은 돌아가면서 탄이 장전되고, 탄을 격발시키며, [[탄피]]를 빼내는 과정을 반복했다. 이를 '''리볼버 기관포'''([[리볼버 캐논|revolver cannon]])라고 하는데, 이는 [[화약]]이 터질 때 상당히 많은 힘이 가해지는 약실을 여러 개로 나눠서 장전, 격발, 탄피 추출이라는 여러 과정으로 이루어진 발사를 빠르게 하려고 하는 것이다. 이런 개념만 놓고 보자면 [[개틀링 기관총|개틀링]] 기관포와 비슷하지만 개틀링과는 달리, [[리볼버]]식 기관포는 [[포탄]]이 지나가는 길, 즉 [[포신]] 자체는 하나이고 약실만 여러 개다. 이 때문에 개틀링 방식의 기관포보다 연사 속도는 떨어지지만, 대신에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고 가벼운 장점이 있다. == 장단점 == *장점 *부피가 작고 가볍다: 상술했듯 포신이 여러개인 개틀링과 달리 포신이 하나, 약실만 여러개라 가볍고 부피가 작다. *더 큰 구경의 총탄을 쓰기 쉽다: 물론 둘다 기관포의 한계에서 못벗어나기 때문에 구경확대의 제약이 있지만 30mm구경이 현실적인 최대치인 개틀링 건에 비해서 리볼버 캐논은 35mm포 또한 현역이고[* [[밀레니엄 CIWS]]가 쓰는 35mm포. ] 실험적인 제품또한 따지면 이보다 더 큰 구경의 포 또한 있다. *단점 *과열과 포신 마모도 문제: 연사력이 매우 빠르지만, 문제는 늘어난 약실에 비해서 포신 하나만으로 버텨야 하다보니 포신에 가해지는 부담이 상당히 큰데. 이로 인해 과열 문제가 제일 크고, 과열로 인한 포신의 수명도 짧아진다. 이 때문에 포신의 내구도를 강화하는데 어느정도 투자가 필요하다보니 개틀링건보다 훨씬 가볍거나 하진 않으며 오히려 개틀링 화기 중 총열이 적은 버전보다 무거운 편이다[* 같은 20mm를 기준으로 할 경우 20mm M39 리볼버 기관포는 80kg수준의 무게를 가지고 있으나 3총신 개틀링 포인 M197은 60kg정도로 오히려 더 가볍다. 물론 이는 M39보다 M197이 훨씬 후대에 개발된 제품이라는걸 감안해야되지만 리볼버캐논으로 개틀링 기관포보다 훨씬 경량화 하려면 적어도 30mm이상 구경으로 가야 체감이 가능하다.] == 국가별 생산 == [[영국]]과 [[프랑스]]는 이러한 리볼버 방식 기관포 작동 방식을 받아들여서 각각 새로운 [[30mm]] 기관포인 [[ADEN]]과 [[DEFA]]를 개발했다. 둘 다 연사력이 분당 1200발로, 구경 대비 아주 빠른 편이다. [[미군]] 역시 T-160이란 이름으로 [[스프링필드 아모리|스프링필드 조병창]]에서 [[리볼버]]식 [[20mm]] [[기관포]]를 개발했다. 그리고 이 기관포를 당시 화력이 부족하다고 여기던 [[F-86]]에 시험적으로 달아서 [[6.25 전쟁]]이 진행 중이던 [[1953년]] 말엽에 실전에 사용해 보았다(F-86은 원래 [[12.7mm]] M3 중기관총 6정을 장착했다.).[* 원래는 [[XF5U]]에 가장 먼저 달 예정이었다.] 이후 이 리볼버식 기관포는 정식으로 군에 채용되면서 M39란 이름이 붙었으며, [[F-86]]H [[전폭기]], [[F-100]] 슈퍼세이버, [[F-101]] 부두 및 [[F-5]] [[전투기]]에 장착되었다. 그러나 이후 미군은 더 빠른 연사속도를 갖는 [[개틀링 기관총|개틀링식]] 기관포인 M61, 통칭 [[발칸포]]를 전투기용 고정무장으로 채택한다. 한편 [[영국군]]과 [[프랑스군]]은 여전히 ADEN 및 DEFA [[기관포]]를 고집하는데, 대체로 [[유럽]] 쪽은 연사속도는 [[개틀링 기관총|개틀링]]보다 느리지만 탄 한 발 한 발의 위력이 더 강한 [[30mm]] 기관포를 선호하기 때문이다. [[스웨덴]]제인 [[JAS 39]]도 [[독일]]산인 [[마우저]] BK-27이라는 27mm 리볼버 기관포를 사용한다. [[소련]] 또한 1950년대쯤 [[툴라 조병창]]에서 개발한 R-23이라는 23mm 구경의 리볼버 기관포 개발했는데 이 기관총에는 탄두를 탄피에 내장시킨 탄피단축형 탄약을 채용하는 매우 실험적인 무기였는데 Tu-22등에 실험적으로 채용된것을 빼면 군에서 채용하지는 않았지만 대신에 이 총기의 개량형인 R-23M이 [[살류트 프로그램|살류트 3호]]에 들어가 세계 최초의 우주선 무장으로써 활용되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https://www.popularmechanics.com/military/weapons/a18187/here-is-the-soviet-unions-secret-space-cannon/|관련 기사]] == [[ShKAS]]와의 관계 == '''관련없다'''. 하지만 많이 혼동된다. 이런 문제는 인터넷 블로그에서는 물론이고 전문서적에서도 발견되곤 한다. 아래 그림을 보면 관련없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ShKAS]]는 급탄구조가 로터리식일 뿐이다. 오히려 [[탄창#s-4.1.9|헬리컬 탄창]]과 더 유사하다. [[파일:쉬카스 구조.png|width=600]] ShKAS의 구조도 [[파일:MK213 구조.png]] 리볼버 기관포 MK213의 구조도 [[분류:기관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