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 ||<-2>
{{{#ffffff,#ffffff '''{{{+1 리틀 나이트메어}}}'''[* 개발 초기(2014년)에는 Hunger라는 이름이었으나 2016년 8월 12일부터 리틀 나이트메어로 바뀌었다.][br]Little Nightmare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리틀 나이트메어.png|width=100%]]}}} || || '''개발''' ||[[Tarsier Studios]] || || '''유통'''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 || '''플랫폼''' ||[[Microsoft Windows]] | [[PlayStation 4]] | [[Xbox One]] | [[Nintendo Switch]] | [[Stadia]] | [[Android]] | [[iOS]] || || '''ESD''' ||[[Steam]] | [[GOG.com]] | [[험블 번들]] | [[PlayStation Network]] | [[Microsoft Store]] | [[닌텐도 e숍/Nintendo Switch|닌텐도 e숍]] | [[Google Play]] | [[App Store]] || || '''장르''' ||[[어드벤처 게임|어드벤처]], [[퍼즐 게임|퍼즐]], [[플랫폼 게임|플랫폼]], [[3인칭]] [[호러 게임]] || || '''출시''' ||'''PC / PS4 / XBO'''[br][[2017년]] [[4월 28일]][br]'''NS'''[br][[2018년]] [[5월 18일]][br]'''Stadia'''[br][[2020년]] [[6월 1일]][br]'''Android / iOS'''[br][[2023년]] [[12월 12일]] || || '''엔진''' ||[[언리얼 엔진 4]] || ||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굴림체]]가 아닌 [[http://www.pocheon.go.kr/www/contents.do?key=5582|포천시에서 제공하는 글꼴]]이 사용되었다. 크레딧 마지막 부분에도 해당 폰트를 사용했음을 밝히고 있다.] || || '''심의 등급''' ||[[게임물관리위원회|[[파일:게관위_15세이용가.svg|width=16]] '''{{{#000000,#dddddd 15세 이용가}}}''']][* 사실적인 공포감 표현 [[https://www.grac.or.kr/Statistics/Popup/Pop_ReasonInfo.aspx?8fb4a0b923c1db4507acb98982a6a470a6c813a6a053e8e5ec12581d53453bb0|XBO]] [[https://www.grac.or.kr/Statistics/Popup/Pop_ReasonInfo.aspx?262ebefc2c3ca899dba8abee46fd42dca6c813a6a053e8e5ec12581d53453bb0|PS4]] [[https://www.grac.or.kr/Statistics/Popup/Pop_ReasonInfo.aspx?9bf33c3873c4f7afbd65db4c57ab13f4a6c813a6a053e8e5ec12581d53453bb0|PC]] [[https://www.grac.or.kr/Statistics/Popup/Pop_ReasonInfo.aspx?eec834b78cfc8a88c6f280c2e046a124a6c813a6a053e8e5ec12581d53453bb0|NS]]] || || '''해외 등급''' ||[[오락 소프트웨어 등급 위원회|[[파일:ESRB Teen.svg|width=16]] '''{{{#000000,#dddddd ESRB T}}}''']][br][[컴퓨터 오락 등급 기구|[[파일:CERO C.svg|width=16]] '''{{{#000000,#dddddd CERO C}}}''']][br][[범유럽 게임 정보|[[파일:PEGI 16.svg|width=16]] '''{{{#000000,#dddddd PEGI 16}}}''']] || || '''관련 사이트''' ||[[https://en.bandainamcoent.eu/little-nightmares|[[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LittleNights, 크기=25)] || || '''상점 페이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424840/Little_Nightmares/|[[파일:스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lVcL5wNFUGs)]}}} || || '''{{{#ffffff,#ffffff 출시 트레일러}}}'''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pE_BThBLwwM)]}}} || || '''{{{#ffffff,#ffffff 어콜레이션 트레일러}}}'''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5ctdjfUbLDE)]}}} || || '''{{{#ffffff,#ffffff 1차 트레일러}}}''' || >Little Nightmares에서 당신이 어린 시절에 겪었던 공포들과 마주하게 될 공포스럽고도 기묘한 이야기를 경험하세요! '목구멍'은 미쳐버린 영혼들이 다음 먹이를 찾아 헤매고 있는 거대하고 신비한 배입니다. 그곳에서 식스가 탈출하도록 도와주세요. 여행의 과정에서, 당신은 감옥과 같이 식스를 가두는 함정투성이의 인형의 집이자 당신이 발견해야만 하는 비밀로 가득 차 있는 놀이터에서 탈출하기 위해 그곳을 탐험하게 됩니다. 다시 한 번 당신의 어린 시절로 돌아가서 상상력을 자극해, 탈출구를 찾아내세요! >---- >- 리틀 나이트메어 Steam 설명 2017년 4월 28일에 출시한 [[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의 첫 작품으로 [[한국어]]를 정식 지원하며 줄여서 '리나메'라고도 부른다. == 시스템 요구 사항 == ||<-3>
'''{{{#ffffff,#ffffff 시스템 요구 사항}}}''' || || '''구분''' || '''최소 사양''' || '''권장 사양''' || ||<-3> '''{{{#ffffff,#ffffff Windows}}}''' || || '''운영체제''' ||Windows 7 64 bit ||Windows 7 64 bit || || '''프로세서''' ||Intel CPU Core i3 ||Intel CPU Core i7 || || '''메모리''' ||4 GB RAM ||8 GB RAM || ||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X 460 ||NVIDIA GeForce GTX 660 || || '''API''' ||DirectX 버전 11 ||DirectX 버전 11 || || '''저장 공간''' ||10 GB 사용 가능 공간 ||10 GB 사용 가능 공간 || || '''추가 사항''' ||SSE4.2 required ||SSE4.2 required || == 특징 == 플레이 구성은 [[LIMBO]]나 [[INSIDE]]처럼 퍼즐 플랫포머식 어드벤처 호러 게임이다. INSIDE, LIMBO와 분위기가 비슷한데 해당 회사의 게임들을 [[벤치마킹]]한 듯하다. 모든 그림자가 거대한 어둠으로 느껴지던 유년 시절의 꿈과 악몽을 떠올리게 하는 작품. 제물을 찾아 헤매는 타락한 영혼들이 거주하고 있는 거대하고 불가사의한 선박, [[목구멍]](The Maw)에서 노란 우비를 입은 주인공 식스(Six)가 빠져나오는 모험을 그린 [[어드벤처 게임]].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 모티브를 얻었는지 유사한 장면들이 존재한다. 손님들이 있는 객실 영역도 일본식으로 꾸며져 있고, 일본식 가면을 쓴 손님도 있으며, 숙녀는 아예 대놓고 일본풍이다. 해외에서도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이 기괴하고 공포스러웠다면 이렇지 않았을까 하는 리뷰가 있는데, 그만큼 신비하고 기괴한 분위기가 특징적이다. 게임 분위기는 전체적으로 상당히 어둡고 갑툭튀라고 할 만한 건 많지 않지만, 심리적 압박감이 매우 강해서 몰입도가 상당한 편이다. 또한 아주 섬세하지는 않으나 초반에 잠깐 나온 [[마른 남자|자살한 사람]][* 이게 자살이 아니라는 추측도 있긴 하다. 바닥의 의자보다 천장에 달린 다리의 위치가 훨씬 높기 때문.]이나 식인 관련 묘사 등도 이 게임의 특징 중 하나. 출시 이후, 데모에서도 볼 수 있었던 그래픽과 작중 분위기, 연출은 매우 큰 호평을 받고 있지만 길게 끌어봤자 3시간이라는 플레이 타임은 [[플레이어]]에게 심한 여운을 남긴다는 이유로 '아쉽다'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같은 시기에 출시한 [[아웃라스트 2]]처럼 점차 DLC가 부족한 부분들을 채워줄 것 같다는 얘기도 많다.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코리아]]에서 한국어판 예약 판매 정보가 4월 10일 보도 자료로 배포되었으며, 4월 12일 [[http://yepan.net/bbs/yp_link.php?bo_table=game&wr_id=37673&no=1|예약판매]]를 시작. 정식 발매되기 2년 전인 2015년에 개발사인 Tarsier 스튜디오에서 Hunger라는 제목으로 트레일러 영상을 공개했었다. 지금과 거의 비슷한 스테이지도 있고, DLC 챕터인 깊은 곳과 비슷하게 물이 차 있는 스테이지를 식스로 플레이하는 것도 보인다. 관리인은 거의 비슷하나 쌍둥이 요리사는 얼굴이 조금 다르다.[* 콘셉트 아트에선 요리사가 세 명이었다. 또한 손님도 본편과 생김새가 다소 다른 편이다.] [[https://youtu.be/5ctdjfUbLDE|유튜브 페이지]] == 등장인물 == [include(틀:스포일러)] === 본편 === ==== [[식스(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식스(Six)]]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식스(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 ==== [[노움(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노움(Nome)]]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노움(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 ==== [[거머리들(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거머리들(Leeches)]]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거머리들(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 ==== [[관리인(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관리인(The Janitor)]]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관리인(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 ==== [[쌍둥이 요리사|쌍둥이 요리사(The Twin Chefs)]]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쌍둥이 요리사)] ==== [[손님들|손님들(The Guests)]]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손님들)] ==== [[숙녀(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숙녀(The Lady)]]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숙녀(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 === DLC === ==== [[키드(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키드(The Runaway Kid)]]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키드(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 ==== [[할멈(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할멈(The Granny)]]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할멈(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 === 그 외 인물 === 모두 큰 비중이 없거나 그냥 지나가는 듯이 보이는 [[엑스트라]]다. 이외에도 선박 인원 방에 기괴하게 생긴 사람의 [[초상화]]가 많이 널려 있다. * '''[[나룻배 남자]]''' * '''[[닥터 노(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닥터 노]]''' * '''손전등을 든 소녀'''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손전등을 든 소녀.png|width=350]] DLC 챕터인 "깊은 곳"에서 키드가 마주치는 여자아이. 빛에 닿는 아이들을 [[돌]]로 만들어 버리는 눈이 있는 홀에서 처음 마주하며, 상자 옆에 숨어 있다. 키드가 홀의 밑바닥에 도착하면 도망치며, 나중에 홀을 빠져나가면 이 소녀가 '''이불로 만든 밧줄을 창문 밖으로 던지고 있는 장면을 볼 수 있다.'''[* 식스가 처음에 타고 올랐던 바로 그 이불 밧줄이다.] 나중에 [[하수도]]로 빠진 이후엔 [[손전등]]을 떨어뜨려 놓고 사라지는데, 바로 앞의 나무벽 틈새로 들어가기 직전 거머리의 검은 체액이 질질 끌린 자국이 있으며, 나무 벽엔 작은 손자국이 찍혀 있고, 건너편에는 [[거머리]] 한 마리가 있는 걸로 보아 거머리에게 [[끔살]]당한 듯. 키드로 플레이할 때 통상적이지 않은 꼼수 등을 사용해 이 소녀를 따라잡거나 해도 반응을 보이지 않으며 [[순간이동]]까지 한다. 철저하게 단역으로 기획된 듯.[*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손전등을 든 소녀의 행방?.png]] 다만 한 가지 이상한 건 끌려간 흔적이나 벽의 손자국은 피해를 받았다는 모습을 확실하게 보여주지만 '''앞에 있는 발자국은 너무 또렷하게 정자로 찍혀있다.''' 손전등 같은 중요한 물건을 놓고 간 건 이상하지만 최소한 거머리에게 끌려간 것은 아닐 것으로 추정된다.] * '''매달린 남자'''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매달린 남자.png|width=350]] 게임 초반에 천장 위에 걸려있는 [[소파]]처럼 같이 천장에 매달려 있다. 대롱대롱 매달린 채 죽어있는 걸 보아 목을 매고 [[자살]]한 듯. 바닥에 유서처럼 보이는 편지가 떨어져있다. 정체는 불명. 행잉맨이라고도 부른다. 숙녀가 목구멍을 떠나려는 [[관리인(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관리인]]의 다리를 잘라 버린다는 얘기가 돌았으나 사실 이 얘기는 별로 신빙성이 높지가 않은데, 실제로 모델링에서 팔과 가슴까지 구현되어 있고, [[https://youtu.be/JKucDtArtFk|숙녀의 방에 있는 사진 중, 목매 죽은(?) 왁스 벨맨이거나 아님 다리가 기다란 초상화 남자가 아니냐는 두 가지 의견이 돌고 있다.]][* 그런데 [[리틀 나이트메어 II]]의 보스인 마른 남자와 비슷한 옷차림에 똑같이 다리가 길고 의자에 흠집도 똑같은 것으로 보아 어쩌면 마른 남자일지도 모른다. 그런데 마른 남자가 맞다면 왜 목구멍에 있는지가 의문이다.] 관리인 파트에서 나오는 노래를 판독하면 이런 내용이다. >배에서 악몽을 꾸고 있어. >나와 함께 가자, 안돼, 안돼, 안돼, 안돼. >그는 떠났고, 떠났고, 교수형에 처해졌어. >날 떠나지 마, 이제 바닷속에 벨맨은 없어. >안녕, 안녕, 우리는 외로워. >도와줘, 도와줘, 그러면 내 길을 볼 거야, 내 길을 >그리고 너는 우리의 바다 위로 올라오는 후광을 보게 될 거야. >재미 좀 봐, 베로니카가 왔어 >어서, 그가 베로니카를 잘랐어 >뛰어, 뛰어, 베로니카가 왔어 >우리 바다로 나룻배를 띄웠어. '교수형에 처해진 남자'가 이 인물로 추측되는데, 해당 파트에서 벨맨이 등장할 예정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벨맨이 삭제되면서 목이 매달린 것으로 나왔다는 의미거나, 벨맨이 이 남자를 목매달았고 후에 추격전에서 사망할 예정이었던 것을 묘사한 노래일 수도 있다. * '''아이들'''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아이들.jpg|width=350]] 게임 초반에 진행하다 보면 선박에서 아이들을 돌보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제일 처음 보는 아이들은 육아실[* DLC 챕터들의 주인공인 키드 또한 게임 시작 시 이곳에서 깨어난다.]에서 자고 있는 아이들인데, 하나같이 몸집이 식스보다 조금 큰 편이다. 또한 나중에 식스가 배고파할 때 쇠창살 너머로 [[빵]]을 던져주는 아이도 있는데, 얘도 그 이후로는 그냥 웅크리고만 있고 별 행동을 보이지 않는다. 그냥 그렇다 싶어서 지나가는 일들이지만, 어째서 손님을 대접하는 선박에서 아이를 키우고 있는지는 의문점. [[주방]] 스테이지에 쌓여 있는 [[고기]]의 정체가 바로 이 아이들이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 실제로 [[감옥]]과 소굴의 관리인의 작업실에서 아이들을 고기 자루에 포장해서 갈고리에 걸어 주방으로 보내는 것을 볼 수 있다.[* 키드도 포장되어 보내졌으나 자루를 찢고 탈출했다.] 심지어 게임 내의 어떤 자루는 꿈틀거리기까지 한다. 주변에 쌓여있는 철창은 아이들을 가둬뒀던 철창으로 추측된다. * '''신발 속 괴물'''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신발 속 괴물.png|width=350]] 소굴 챕터에서 등장하는 적. 데모 버전에서는 데모를 끝내는 마지막을 장식했지만, 정작 게임에서는 한 번만 나오고 마는 존재. 소굴 초반에 식스가 관리인을 피해 [[신발]]로 가득한 방에 들어왔을 때 등장한다. 제대로 된 모습도 보이지 않고 산 같이 쌓인 신발 더미 안에 식스가 빠졌을 때만 쫓아오는 것이 [[암네시아: 더 다크 디센트]]의 물 괴물 케른크와 매우 흡사하다. 그리고 그 구역을 나오면 그 이후로 한 번도 나오지 않는다. 하는 짓을 보면 이후에 나온 DLC의 할멈과 유사하지만, 당연히 할멈일 가능성은 없다. 할멈은 식스가 신발 더미에 도착하기 전에 [[감전사]]했기 때문. 외전작 [[iOS]] 게임에 [[쓰레기장]] 맵에서 이 괴물과 비슷한 녀석이 한 번 더 등장한다. * '''왁스 벨맨'''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왁스 벨맨.jpg|width=350]] 게임상으론 아예 등장이 없지만, 데모 버전 영상에 콘셉트 아트로 나온 인물. 옷차림새는 나름 평범하지만 눈코입이 안 보일 정도로 기괴하게 녹아버린 듯한 얼굴을 하고 있다. 관리인 포지션이었을 듯. 이 왁스 벨맨이 매달린 남자(행잉 맨)의 자살하기 전 모습이라는 말도 있다. 또한 식스가 목구멍에 잡혀있을 때 구해준 조력자라는 가설도 있다. 그 이유로 숙녀에게 교수형을 당했다는 것. 하지만 옷과 키 등이 달라서 많은 유저들은 이를 부정하고 있다. 주된 근거는 관리인이 듣는 노래를 판독하면 '벨맨이 목이 매달렸다'라고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인데, 해당 노랫말에서 목이 매달린 남자와 삭제된 벨맨은 별개인 것으로 볼 수도 있다. * '''그림자 아이들'''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그림자 아이들.png|width=350]] DLC 거주지 챕터에서 등장하는 적. 크기는 키드와 비슷하고 숙녀처럼 [[가면]]을 쓰고 있다. 두 번째 석상을 꽂아서 불이 꺼지면 나타나며 [[손전등]]을 5초 정도 비추면 부서진다. 키드를 보면 돌진해서 죽이지만 그냥 접촉하기만 해도 죽는다. 여러 마리가 등장하고, 닿기만 해도 죽고, 손전등을 비추면 피하기도 해서 꽤나 성가시다. == [[리틀 나이트메어/스토리|스토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리틀 나이트메어/스토리)] == 도전 과제 == 리틀 나이트메어 본편 도전 과제가 13개(숨겨진 도전 과제 포함), DLC 관련 도전 과제가 9개 있다. ||
'''아이콘''' || '''도전 과제명''' || '''습득 방법''' || '''비고''' || ||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도전 과제 감옥.jpg]] || '''{{{+1 감옥}}}'''[br](The Prison) ||카나리아가 그 새장에서 어떻게 날아다니는지 보세요![* 챕터 1 완료] || || ||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도전 과제 소굴.jpg]] || '''{{{+1 소굴}}}'''[br](The Lair) ||작은 분실물들은 가끔은 자신의 집에 돌아오는 길을 찾아오기도 합니다.[* 챕터 2 완료] || || ||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도전 과제 주방.jpg]] || '''{{{+1 주방}}}'''[br](The Kitchen) ||주방장들이 당신을 그리워할 것입니다![* 챕터 3 완료] || || ||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도전 과제 객실 영역.jpg]] || '''{{{+1 객실 영역}}}'''[br](The Guest Area) ||배고픈 늑대들 사이에 작은 여우가 있군요![* 챕터 4 완료] || || ||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도전 과제 숙녀의 방들.jpg]] || '''{{{+1 숙녀의 방들}}}'''[br](The Lady's Quarters) ||폭풍이 오고 있습니다. 우비가 아주 도움이 되겠군요.[* 챕터 5 완료] || || ||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도전 과제 내면의 강함이 모든 것이다.jpg]] || '''{{{+1 내면의 강함이 모든 것이다}}}'''[br](Hard to the Core) ||당신의 뭐가 다른 걸까요? 왜 그렇게 당신은 용감할까요?[* 한 번도 죽지 않고 1시간 이내에 게임 클리어하기. 도중에 일시정지하면 시간 카운팅도 멈춘다.] || || ||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도전 과제 당신의 삶을 밝혀라.jpg]] || '''{{{+1 당신의 삶을 밝혀라}}}'''[br](Light Up Your Life) ||모든 빛을 믿을 수는 없지만, 이 빛은 상당히 안전합니다![* 20개의 랜턴과 양초에 불 붙이기. 게임 내에 총 25개가 있다.] || || ||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도전 과제 작은 분실물들.jpg]] || '''{{{+1 작은 분실물들}}}'''[br](Little Lost Things) ||친절함은 당신의 여정에서 실패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게임 내에 있는 모든 노움 안아주기. 총 13--마리--명이 있다.] || || ||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도전 과제 악동.jpg]] || '''{{{+1 악동}}}'''[br](Rascal) ||작은 파괴자, 작은 야수, 목구멍이 당신을 연회에서 벌할 것입니다.[* 게임 내에 있는 모든 숙녀 조각상 부수기. 총 10개가 있다.] || || ||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도전 과제 교묘함.jpg]] || '''{{{+1 교묘함}}}'''[br](Elusive) ||어이 재빠른 쥐새끼야, 어떻게 그렇게 잘 도망쳐다닐 수 있는 거니?[* 적으로부터 6번 도망치기.] || 숨겨진 도전 과제 || ||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도전 과제 높게 뛰어라.jpg]] || '''{{{+1 높게 뛰어라}}}'''[br](Highly Sprung) ||거기에 무엇이 잠들어있는지 안다면, 더 높게 뛸 수 있습니다![* 침대 위에서 6번 점프하기.] || 숨겨진 도전 과제 || ||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도전 과제 식스의 노래.jpg]] || '''{{{+1 식스의 노래}}}'''[br](Six's Song) ||이렇게 많은 키들이 있는데도 아직 당신의 우리를 열 수 있는 열쇠는 없군요![* 챕터 2 진행 도중에 있는 피아노 건반을 모두 밟아야 한다.] || 숨겨진 도전 과제 || ||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도전 과제 주방 조리사.jpg]] || '''{{{+1 주방 조리사}}}'''[br](Kitchen Hand) ||요리가 완성되었으며, 연회는 아주 멋질 것입니다.[* 챕터 3 진행 도중에 있는 부엌 솥(생선을 토막내고 있는 탁자 앞)에 3개의 재료를 던져 넣어야 한다.] || 숨겨진 도전 과제 || ||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도전 과제 휴! 가까웠어.jpg]] || '''{{{+1 휴! 가까웠어}}}'''[br](So Close) ||다음번엔 더 잘할 수 있을 거예요.[* DLC '깊은 곳' 챕터 완료] || DLC 도전 과제 || ||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도전 과제 끝이 보인다..jpg]] || '''{{{+1 끝이 보인다.}}}'''[br](End in Sight) ||마지막 여정은 대체로 무난할 거예요.[* DLC '은신처' 챕터 완료] || DLC 도전 과제 || ||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도전 과제 우린 다시 만나게 될 거에요..jpg]] || '''{{{+1 우린 다시 만나게 될 거에요.}}}'''[br](We'll Meet Again) ||[* DLC '거주지' 챕터 완료] || DLC 도전 과제 || ||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도전 과제 혼자가 아냐.jpg]] || '''{{{+1 혼자가 아냐}}}'''[br](Not Alone) ||별일 없니?[* DLC '깊은 곳' 챕터 내 모든 표류물 획득하기. 총 5개가 있다.] || DLC 도전 과제 || ||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도전 과제 거기 누구 있어요?.jpg]] || '''{{{+1 거기 누구 있어요?}}}'''[br](Is Anybody Out There?) ||그곳에 당신을 보러 갈 수 있다면 좋겠어요.[* '은신처' 챕터 내 모든 표류물 획득하기. 총 5개가 있다.] || DLC 도전 과제 || ||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도전 과제 당신을 잃어 가고 있어요..jpg]] || '''{{{+1 당신을 잃어 가고 있어요.}}}'''[br](I'm Losing You) ||[* DLC '거주지' 챕터 내 모든 표류물 획득하기. 총 5개가 있다.] || DLC 도전 과제 || ||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도전 과제 펀 & 게임스 어헤드.jpg]] || '''{{{+1 펀 & 게임스 어헤드}}}'''[br](Fun & Games Ahead) ||[* '깊은 곳' 욕조 너머 방 오른쪽 구석에 붕대로 둘둘 싸인 공(?)이 있다. 방 가운데에 있는 세면대에 던져 넣으면 달성.] [[https://youtu.be/7Z3UMg8i7Hc|#]] || DLC 도전 과제 || ||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도전 과제 목구멍 안 잿더미.jpg]] || '''{{{+1 목구멍 안 잿더미}}}'''[br](Ashes in The Maw) ||[* '은신처' 용광로에 노움 조각상을 던져 넣기. 노움 조각상은 관리인의 작업대 위에 있다.] [[https://youtu.be/Eym9IZsxW2c|#]] || DLC 도전 과제 || ||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도전 과제 잿더미를 잿더미로.jpg]] || '''{{{+1 잿더미를 잿더미로}}}'''[br](Ashes to Ashes) ||[* '거주지' 비밀 방 탁자 위에 있는 항아리 깨트리기. 시작 지점 좌측에 있는 작은 구멍을 지나면 방이 하나 나오는데, 책장에 같은 표지의 책을 꽂아 넣으면 책장이 열리며 비밀 방이 나타난다. 도서관 구역에서 책을 찾아야 하며 게임 초반에 책을 들고 걸어가면 숙녀에게 걸리기 때문에 어느 정도 진행하여 거주지의 불을 끈 뒤 시도하는 것이 좋다.] [[https://youtu.be/EsnO-MjzmnQ|#]] || DLC 도전 과제 || == DLC == ||<-2>
{{{#ffffff,#ffffff '''{{{+1 리틀 나이트메어 깊은 곳}}}'''[br]Little Nightmares The Depth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깊은 곳.jpg|height=230]]}}} || || '''개발''' ||[[Tarsier Studios]] || || '''유통'''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 || '''출시''' ||[[2017년]] [[7월 7일]] || ||<-2>
{{{#ffffff,#ffffff '''{{{+1 리틀 나이트메어 은신처}}}'''[br]Little Nightmares The Hidewawa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은신처.jpg|height=230]]}}} || || '''개발''' ||[[Tarsier Studios]] || || '''유통'''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 || '''출시''' ||[[2017년]] [[11월 10일]] || ||<-2>
{{{#ffffff,#ffffff '''{{{+1 리틀 나이트메어 거주지}}}'''[br]Little Nightmares The Residenc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거주지.jpg|height=230]]}}} || || '''개발''' ||[[Tarsier Studios]] || || '''유통'''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 || '''출시''' ||[[2018년]] [[2월 23일]] || [clearfix] DLC로 Tobias Lilja가 작곡한 오리지널 사운드트랙과 식스의 외형을 바꿀 수 있는 "Scarecrow Sack"과 "Upside-down Teapot"이 존재하며, 식스가 아닌 키드로 또다른 챕터를 플레이하는 "Secrets of The Maw" DLC가 존재한다. Secrets of The Maw Expansion Pass는 출시 초기 12,900원으로 판매를 시작했지만 정작 DLC는 할 수 없었고 7월 7일 "The Depths(깊은 곳)"가 업데이트되면서 챕터에서 선택이 가능해졌다. 개발사는 Secrets of The Maw의 DLC 에피소드를 세 개의 챕터로 발매하였다. 첫 번째 챕터인 "깊은 곳"은 7월 7일에, 두 번째 챕터인 "The Hideaway(은신처)"는 11월 10일에 공개되었으며, "The Residence(거주지)"라는 마지막 챕터는 다음 해인 18년 2월에 출시됐다. 세 개의 각 챕터는 하나씩 따로 구매하거나 또는 Secrets of The Maw Expansion Pass로 일괄적으로 구매하여 플레이할 수 있다. == OST == ||
'''번호''' || '''곡명''' || '''설명''' || || 01 || Lure of the Maw[br]목구멍의 유혹 || 타이틀 테마곡. || || 02 || Parasites[br]기생충 || 거머리들의 테마곡. || || 03 || Prison Walls[br]감옥 벽들 || || || 04 || Hunger 1[br]굶주림 1 || 식스가 빵조각을 먹을 때 흐르는 음악. || || 05 || Light out[br]소등 || || || 06 || The Death Waltz[br]죽음의 왈츠 || || || 07 || The Lost Things[br]잃어버린 것들 || || || 08 || Six's Theme 1[br]식스 테마 1 || 매 챕터마다 식스가 허기를 느낄 때 나오는 음악. 굉장히 기묘한 음을 가지고 있다. || || 09 || The Janitor Awaits[br]관리인은 기다리고 있다 || 관리인의 추격 테마곡. || || 10 || The Nome's Next[br]노움들의 둥지 || || || 11 || Cold Feet[br]콜드 피드 || || || 12 || Cornered[br]구석에 몰리다 || || || 13 || Moaning Drone[br]신음하는 저음 || || || 14 || Hunger 2[br]굶주림 2 || || || 15 || A Feeling For Meat[br]고기에 대한 느낌 || 쌍둥이 요리사의 추격 테마곡. || || 16 || New Arrivals[br]갓 온 사람 || 선박의 바깥 입구 테마곡. 이곳에서 수많은 손님들이 선박으로 들어가고 있다. || || 17 || March Of The Guests[br]손님들의 행진 || 손님들의 추격 테마곡. || || 18 || The Way Out[br]탈출구 || 손님들의 마지막 추격 테마곡. 음산한 분위기가 강하다. || || 19 || Hypnosis[br]최면 || 숙녀의 방에 도달할 때의 테마곡. 그녀의 흥얼소리가 들린다. || || 20 || The Lady Circles[br]숙녀의 원 || "숙녀의 원, 혹은 동그라미"라는 의미로 숙녀와의 보스전에서 나오는 음악.[br]전체적인 음은 숙녀가 거울을 볼 때마다 흥얼거린 노래의 음과 흡사한 편이다. || || 21 || Hunger 3[br]굶주림 3 || 식스가 노움과 숙녀를 잡아먹을 때 흐르는 음악. || || 22 || Six's Theme 2[br]식스 테마 2 || 엔딩 음악. 식스가 숙녀를 뜯어먹은 뒤 검은 기를 빨아들이는 능력으로 자신을 덮쳐오는 손님들을 죽인다. || || 23 || Beneath The Waves[br]해저 || || || 24 || Prison Toys[br]감옥의 장난감 || "감옥의 장난감"이라는 의미를 가진 사운드트랙. 인게임에서 감옥 안에 있는 장난감들을 뜻하는 모양.[br]실제로 장난감이 있는 곳에 오르골이 있는데 이 노래를 담은 오르골이다.[br]잘 들어보면 어콜레이션 트레일러의 브금과 똑같다. || 듣고 싶다면 [[https://youtube.com/playlist?list=OLAK5uy_nWoT6aoq3ZCDjaqKFyYLtpFWhUzKq0F9Q|이곳]]으로. == 미디어 믹스 == === 코믹스 === ||
<-2>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코믹스.jpg|width=100%]] || ||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코믹스 1권.jpg|width=100%]] || [[파일:리틀 나이트메어 코믹스 2권.jpg|width=100%]] || || '''{{{#fff 글}}}''' ||John Shackleford || || '''{{{#fff 그림}}}''' ||Aaron Alexovich || || '''{{{#fff 장르}}}''' ||[[호러]] || || '''{{{#fff 출판사}}}''' ||comiXology || || '''{{{#fff 등급}}}''' ||'''17세 이용가''' || ||<-2> '''{{{#fff 한국어판 보러가기}}}''' || || [[https://m.dcinside.com/board/americancomics/83422|issue 1]][*링크 해당 링크는 유효하지 않을 수 있음.] || [[https://m.dcinside.com/board/americancomics/83542|issue 2]][*링크] || 2017년부터 연재되었으며 [[스토리]] 해석 및 오리지널 캐릭터도 등장한다. ==== 에피소드 목록 ==== * '''1권''' 식스가 어떻게 목구멍에 온 건지가 나오는데 길거리를 외롭게 떠돌아 다니다 "[[나룻배 남자]]"와 만나 낡은 배를 타고 목구멍에 왔다고 한다. * '''2권''' 식스와 마찬가지로 "나룻배 남자"와 만나[* 단 이 회차에 [[닥터 노(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닥터 노]]가 여기 등장한다는 추측도 있다.] 목구멍에 온 아이들의 이야기가 나온다. === 애니메이션 === TV [[애니메이션]]으로 방영될 예정이며, 제작은 [[헨리 셀릭]]과 [[루소 형제]]가 맡는다. [[https://www.hollywoodreporter.com/heat-vision/russo-brothers-adapting-video-game-little-nightmares-tv-1012736|#]] == 2차 창작 == * [[https://youtu.be/TrCWc5G7H9g|Hungry For another One]] * [[https://youtu.be/pg-5EJLEhGA|Little nightmares]] * [[https://youtu.be/bykYnp4QW5c|Six]] * [[https://youtu.be/7lN9-5O8tpo|Dive into the Madness]] * [[https://youtu.be/5B6GaqRjK7U|Dream no More]] 2차 창작 일러스트는 당연히 식스가 중점적으로 다뤄지고, 모노 또는 키드가 나올 땐 십중팔구 식스와 엮는 그림들이다. [[https://www.pinterest.co.kr/search/pins/?q=little%20nightmares|#]] == 평가 == ||<-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플랫폼''' || '''메타스코어''' ||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791; font-size: 0.75em" [[PlayStation 4|{{{#ffffff PS4}}}]]}}}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 code=critic-reviews/?platform=playstation-4, g=, score=78)]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 code=user-reviews/?platform=playstation-4, g=, score=8.0)]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3333; font-size: 0.75em" [[PC|{{{#ffffff PC}}}]]}}}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 code=critic-reviews/?platform=pc, g=, score=81)]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 code=user-reviews/?platform=pc, g=, score=8.1)]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07c11; font-size: 0.75em" [[Xbox One|{{{#ffffff XBO}}}]]}}}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 code=critic-reviews/?platform=xbox-one, g=, score=83)]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 code=user-reviews/?platform=xbox-one, g=, score=8.0)]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3333; font-size: 0.75em" [[iOS|{{{#ffffff iOS}}}]]}}}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 code=critic-reviews/?platform=ios-iphoneipad, score=리뷰 부족)]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 code=user-reviews/?platform=ios-iphoneipad, score=리뷰 부족)] || ||<-3> {{{#!wiki style="margin: 0 -5px" {{{#!folding [ DLC 평가 | 펼치기 · 접기 ] ||<-3>
{{{#ffffff,#dddddd '''깊은 곳'''}}}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3333; font-size: 0.75em" [[PC|{{{#ffffff PC}}}]]}}}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the-depths, code=critic-reviews/?platform=pc, score=리뷰 부족)]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the-depths, code=user-reviews/?platform=pc, y=, score=5.9)]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07c11; font-size: 0.75em" [[Xbox One|{{{#ffffff XBO}}}]]}}}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the-depths, code=critic-reviews/?platform=xbox-one, score=리뷰 부족)]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the-depths, code=user-reviews/?platform=xbox-one, r=, score=4.1)]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791; font-size: 0.75em" [[PlayStation 4|{{{#ffffff PS4}}}]]}}}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the-depths, code=critic-reviews/?platform=playstation-4, y=, score=62)]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the-depths, code=user-reviews/?platform=playstation-4, y=, score=6.0)] || ||<-3> {{{#ffffff,#dddddd '''은신처'''}}}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3333; font-size: 0.75em" [[PC|{{{#ffffff PC}}}]]}}}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the-hideaway, code=critic-reviews/?platform=pc, score=리뷰 부족)]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the-hideaway, code=user-reviews/?platform=pc, y=, score=5.7)]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07c11; font-size: 0.75em" [[Xbox One|{{{#ffffff XBO}}}]]}}}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the-hideaway, code=critic-reviews/?platform=xbox-one, score=리뷰 부족)]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the-hideaway, code=user-reviews/?platform=xbox-one, r=, score=3.6)]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791; font-size: 0.75em" [[PlayStation 4|{{{#ffffff PS4}}}]]}}}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the-hideaway, code=critic-reviews/?platform=playstation-4, score=리뷰 부족)]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the-hideaway, code=user-reviews/?platform=playstation-4, y=, score=5.8)] || ||<-3> {{{#ffffff,#dddddd '''거주지'''}}}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3333; font-size: 0.75em" [[PC|{{{#ffffff PC}}}]]}}}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the-residence, code=critic-reviews/?platform=pc, score=리뷰 부족)]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the-residence, code=user-reviews/?platform=pc, y=, score=5.7)]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07c11; font-size: 0.75em" [[Xbox One|{{{#ffffff XBO}}}]]}}}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the-residence, code=critic-reviews/?platform=xbox-one, score=리뷰 부족)]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the-residence, code=user-reviews/?platform=xbox-one, r=, score=3.8)]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791; font-size: 0.75em" [[PlayStation 4|{{{#ffffff PS4}}}]]}}}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the-residence, code=critic-reviews/?platform=playstation-4, score=리뷰 부족)]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the-residence, code=user-reviews/?platform=playstation-4, r=, score=4.8)] || ||<-3> {{{#ffffff,#dddddd '''완전판''' {{{-3 (본편 + DLC)}}}}}}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791; font-size: 0.75em" [[PlayStation 4|{{{#ffffff PS4}}}]]}}}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complete-edition, code=critic-reviews/?platform=playstation-4, score=리뷰 부족)]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complete-edition, code=user-reviews/?platform=playstation-4, y=, score=7.1)]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3333; font-size: 0.75em" [[PC|{{{#ffffff PC}}}]]}}}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complete-edition, code=critic-reviews/?platform=pc, score=리뷰 부족)]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complete-edition, code=user-reviews/?platform=pc, y=, score=6.3)]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07c11; font-size: 0.75em" [[Xbox One|{{{#ffffff XBO}}}]]}}}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complete-edition, code=critic-reviews/?platform=xbox-one, score=리뷰 부족)]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complete-edition, code=user-reviews/?platform=xbox-one, y=, score=7.4)]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60012; font-size: 0.75em" [[Nintendo Switch|{{{#ffffff Switch}}}]]}}}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complete-edition, code=critic-reviews/?platform=nintendo-switch, g=, score=79)]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little-nightmares-complete-edition, code=user-reviews/?platform=nintendo-switch, g=, score=8.0)] || }}}}}} || ||<-3>
[[오픈크리틱|[[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파일:오픈크리틱 @rating=strong@-man.png|width=65]] || [[https://opencritic.com/game/4206/little-nightmares| {{{#333333,#ffffff '''평론가 평점'''}}}[br]{{{#333333,#ffffff '''79 / 100'''}}}]] || [[https://opencritic.com/game/4206/little-nightmares| {{{#333333,#ffffff '''평론가 추천도'''}}}[br]{{{#333333,#ffffff '''72%'''}}}]] || ||<-3> {{{#!wiki style="margin: 0 -5px" {{{#!folding [ DLC 평가 | 펼치기 · 접기 ] ||<-3>
{{{#ffffff,#dddddd '''깊은 곳'''}}} || || [[파일:오픈크리틱 weak-man.png|width=65]] || [[https://opencritic.com/game/4568/little-nightmares-the-depths| {{{#333333,#ffffff '''평론가 평점'''}}}[br]{{{#333333,#ffffff '''61 / 100'''}}}]] || [[https://opencritic.com/game/4568/little-nightmares-the-depths| {{{#333333,#ffffff '''평론가 추천도'''}}}[br]{{{#333333,#ffffff '''31%'''}}}]] || ||<-3> {{{#ffffff,#dddddd '''은신처'''}}} || || [[파일:오픈크리틱 fair-man.png|width=65]] || [[https://opencritic.com/game/5173/little-nightmares-the-hideaway| {{{#333333,#ffffff '''평론가 평점'''}}}[br]{{{#333333,#ffffff '''68 / 100'''}}}]] || [[https://opencritic.com/game/5173/little-nightmares-the-hideaway| {{{#333333,#ffffff '''평론가 추천도'''}}}[br]{{{#333333,#ffffff '''43%'''}}}]] || ||<-3> {{{#ffffff,#dddddd '''완전판''' {{{-3 (본편 + DLC)}}}}}} || || [[파일:오픈크리틱 strong-man.png|width=65]] || [[https://opencritic.com/game/6090/little-nightmares-complete-edition| {{{#333333,#ffffff '''평론가 평점'''}}}[br]{{{#333333,#ffffff '''78 / 100'''}}}]] || [[https://opencritic.com/game/6090/little-nightmares-complete-edition| {{{#333333,#ffffff '''평론가 추천도'''}}}[br]{{{#333333,#ffffff '''60%'''}}}]] || }}}}}} || [include(틀:평가/Steam, code=424840, rating=매우 긍정적, percent=94, count=37\,468, rating2=압도적으로 긍정적, percent2=96, count2=510, date=2023-10-05)] 본편은 리틀 나이트메어 특유의 연출과 스토리텔링으로 호평받고 있다. 그러나 DLC는 다소 혹평받고 있는데, 본편에 비하면 너무나도 게임의 재미와 완성도가 떨어진다. 치밀했던 구성과 적절한 난이도가 이 추가 DLC에서 확연히 달라지는 것을 체감할 수 있다. 특히 전체적으로 플레이 타임을 늘리기 위한 쓸데없는 노가다를 요구하며, 조금만 생각하면 쉽게 풀 수 있었던 퍼즐이 DLC 3 거주지 챕터에서는 힌트가 적고 난해해서 공략을 보게 만들 정도로 이해가 안 되는 부분도 많다. 그래도 새로운 적들과 스토리를 보완해주는 점은 호평받고 있다. == 기타 == * 스토리 경로는 엔딩과 시작 지점으로 보아 [[베리 리틀 나이트메어]](?)[* 사실 이 게임은 본 게임사인 Tarsiar가 제작한 게 아닌 판권을 지닌 ALIKE Studios가 제작하고 반다이 남코가 유통했기 때문에 본 작이 같은 시간대를 공유하는지는 공식적으로 확정되진 않았다.] → [[리틀 나이트메어 II]] → 리틀 나이트메어로 예상된다. * 캐릭터 및 배경 디자이너는 이전에 나왔던 호러 게임인 [[암네시아: 더 다크 디센트]]의 디자인에 참여한 적이 있었다. 당시 콘셉트 아트를 보면 분위기가 리틀 나이트메어와 비슷하다. * 2021년 1월 14일 기준 선착순으로 제품키를 풀었다. 다만 선착순이었기에 이미 정보를 아는 사람이나 매크로를 돌린 사람들이 많이 가져갔다고 한다. * 에픽게임즈 스토어 무료 배포 이후 몇 개월이 지난 2021년 5월 29일 기준, 스팀에서 단 하루 동안 리틀 나이트메어를 100% 할인 이벤트로 무료 배포하였고 저번 무료 배포와 달리 선착순이 아닌 기간 한정 무료 배포이기 때문에 기간 내에 받기 버튼만 눌러도 영구 소장이 가능하였다. [[분류: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분류:2017년 Windows 게임]][[분류:2017년 PS4·XB1 게임]][[분류:2018년 Nintendo Switch 게임]][[분류:2023년 모바일 게임]][[분류:Stadia]][[분류:Stadia Pro]][[분류:스웨덴 게임]][[분류:어드벤처 게임]][[분류:인디 게임]][[분류:퍼즐 게임]][[분류:플랫폼 게임]][[분류:호러 게임]]